대동맥박리, 신속·정확한 치료가 ‘생명’

  • 등록 2024.04.26 10:55:55
크게보기

국제성모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류상완 교수,‘위험요인’ 있다면 증상 없어도 조기 검진 필요

대동맥은 심장에서 우리 신체 기관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크고 굵은 혈관이다. 온몸의 장기로 혈액을 보내는 혈관이기에 흔히 인체의 ‘고속도로’로 표현된다. 고속도로에 손상이 발생하면 차량의 흐름도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대동맥박리가 이와 같다. 

대동맥박리는 대동맥의 안쪽 벽이 찢어진 상태로 대동맥류와 함께 대표적인 대동맥 질환이다. 대동맥박리가 진행되면 안쪽 혈관벽이 찢어지기 때문에 신체기관의 혈액 공급이 차단돼 상태가 급격히 악화된다. 

미국 통계에 따르면 급성 대동맥박리가 발생하는 경우 40%의 환자들은 병원에 오기 전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동맥박리가 중증·응급질환인 이유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국내 ‘대동맥류 및 대동맥박리(질병코드: I71)’ 환자는 2022년 36,272명으로 2018년(27,429명)에 비해 32% 증가했다. 또한 연평균 약 7.3%씩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류상완 교수는 “대동맥질환은 인구 고령화, 서구화된 식습관, 고혈압, 흡연 등을 이유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특히 대동맥박리는 발생 직후 1시간이 지날 때마다 사망률이 1%씩 상승하며, 48시간내 수술을 받지 않으면 50%가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전문 의료팀의 신속·정확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급성 대동맥박리는 발생 부위에 따라 치료 방법이나 응급한 정도에 차이가 있다. 가장 응급한 경우는 심장에서 가까운 부분인 ‘상행대동맥’에 박리증이 발생한 경우다. 이때는 진단 후 가능한 조기에 수술적 처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른 부위에 발생한 대동맥박리도 파열의 위험성이 증가한 상황이거나 파열이 발생했다면 즉시 수술 또는 시술이 시행되어야 한다. 


대동맥박리 환자의 대부분은 동맥경화에 의해 대동맥류(확장증)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30%의 환자에서는 대동맥류가 없는 상태에서도 유전적 질환이나 염증, 대동맥 내벽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으며 연령대 또한 20대부터 80대까지 다양하다. 

류 교수는 “대부분의 혈관질환과 마찬가지로 대동맥질환도 동맥경화의 유발과 악화가 위험요인”이라며 “위험요인의 조절과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동맥경화증의 위험요인으로는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을 비롯해 흡연, 비만, 스트레스 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급격히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질환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혈관질환은 뚜렷한 증상이 없이 진행된다. 이후 뇌졸중이나 급성 심근경색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했을 때 증상이 생기며 심각한 후유증을 남긴다. 대동맥박리의 원인이 되는 대동맥류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결국 박리증이나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 극심한 통증과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대동맥질환은 조기검진을 통한 진단과 개인 관리가 중요하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영상의학의 발전으로 대동맥류의 조기 진단도 증가하고 있다. 혈관질환의 검진에는 한번의 촬영으로 뇌혈관, 대동맥, 말초혈관 일부를 검사할 수 있는 CT 혈관조영술이나 혈관초음파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류상완 교수는 “미국혈관학회에서는 만성질환이 있거나 흡연력이 있는 65세 이상, 혈관질환의 가족력을 가진 경우 혈관검진을 시행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며 “만약 대동맥질환의 위험요인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혈관 체크를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혈관질환은 전신질환이다. 뇌혈관에 문제가 생겼던 환자는 심장혈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대동맥이나 하지동맥과 같은 말초동맥에도 동맥경화증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따라서 전신적인 혈관질환에 대한 검진과 함께 합병증 예방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용발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