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2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갑상선암 수술 중 신경 모니터링 했더니... ‘목소리 이상’ 후유증 '뚝'

서울대병원 김수진 교수, 신경모니터링을 활용 일시적 되돌이후두신경 마비 1.8%, 영구적 되돌이후두신경 마는 0%로 줄어 “ 신경 모니터링 보다 확대돼야”

갑상선암 수술 후 후두신경 손상을 걱정하는 환자가 많다. 후두신경은 목소리를 만들어내는 신체기관인 성대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신경으로, 되돌이후두신경과 상후두신경으로 구분한다. 이 신경들이 손상돼 나타나는 성대마비는 갑상선암 수술의 가장 흔하면서 치명적인 후유증이다.


되돌이후두신경이 마비되면 성대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아 쉰 목소리가 나온다. 손상이 심한 경우, 좌우 성대 모두 운동이 어려워 호흡곤란 등의 응급상황을 겪기도 한다. 미국 내분비외과 교과서에 따르면 갑상선 절제술 후 환자의 2.5~5%에서 일시적 되돌이후두신경 마비가, 1~1.5%에선 영구적 마비가 나타난다.


상후두신경은 굵기가 1mm 이하로,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워 수술 중  손상 빈도가 5~24%에 이른다. 상후두신경이 손상되면, 고음 발성 장애 및 목소리의 피로가 쉽게 찾아온다. 특히 연예인, 성악가, 교사 등 목소리를 많이 쓰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이다.


서울대병원은 후두신경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2009년부터 수술 중 신경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신경 모니터링은 되돌이후두신경과 상후두신경에 0.5-3mA의 미세한 전기 자극을 주고, 이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근전도)를 측정해, 신경의 기능 및 성대마비의 유무를 확인하는 최신 의료기술이다.


유방내분비외과 김수진 교수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갑상선수술 중 신경모니터링을 활용하니 일시적 되돌이후두신경 마비는 1.8%, 영구적인 되돌이후두신경 마비는 0%로 줄었다.


상후두신경도 수술 3개월 후 기능평가에서 수술 전과 기능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수진 교수는 “수술 후 삶의 질에서 목소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며 “수술 중 신경 모니터링을 하면 갑상선을 깨끗이 절제하면서도, 후두신경은 완벽히 보존할 수 있는 만큼 의료 현장에서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교수는 2015년 ‘갑상선 수술 중 상후두신경 모니터링의 우수성’이란 주제의 연구로 국제 종양성형내분비외과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고, SCIE급 국제 학술지에도 ‘되돌이후두신경 및 상후두신경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백스다임, ‘일본뇌염 백신개발 프로젝트’ 정부지원 과제 선정...3조 2천억원 시장 공략 단백질 신속생산 원천기술을 보유한 백스다임(VAXDIGM, 대표 김성재)은 보건복지부 산하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VITAL-Korea)의 2024년도 1차 ’필수예방접종자급화’ 분야의 일본뇌염 백신 개발 프로젝트(연구개발 과제 번호: RS-2024-00335717)가 정부 지원 과제로 선정되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백스다임이 주관연구기관을 맡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상욱 교수팀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비임상 연구를 위한 본 과제는 2025년 6월 30일까지 GMP 시설에서 임상시험의약품 생산 및 품질평가와 임상시험의약품을 사용한 독성 및 유효성 평가를 통해 ‘임상시험승인’을 목표로 진행되며, 국가지원 연구비가 8억 7천 5백만원 지원되는 프로젝트이다. 일본뇌염 백신이 국내에 도입되기 이전에는 매년 수천명의 환자 수가 발생하였지만, 1971년 백신 도입 이후에는 환자 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백신의 도입 이후에도 일본뇌염에 의한 발병은 지속되어 완전한 종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일본뇌염 백신은 1세대 백신 개발 및 생산 방식인 사백신 또는 생백신 방식으로 생산되어, 유전자재조합 백신에 비해 생산성 및 품질 관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반월상연골판파열, 치료 시기 놓치면 ...'이병' 앞당길 수 있어 무릎 관절 사이에는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돕는 연골 구조물이 있다. 바로 반월상연골판이다. 반월상연골판은 대퇴골(넓적다리뼈)과 경골(정강이뼈)의 관절면 사이, 즉 무릎 관절 사이에 위치하는 반달(C자) 모양의 연골판이다. 무릎 관절의 안쪽과 바깥쪽에 하나씩 위치한다. 반월상연골판파열은 반월상연골판이 외부 충격이나 퇴행성 변화로 손상되는 질환이다. 무릎에서 ‘뚝’하는 소리가 난 뒤 심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무릎이 뻣뻣하거나 맥없이 힘이 빠지는 느낌만 들어 손상된 줄 모르고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손상된 부위가 작을 때는 자연치유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파열 범위가 넓어지거나 관절연골까지 손상될 수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허준영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반월상연골판파열은 20대에서 외상에 의한 경우가 종종 보고되지만, 대부분 40~50대에서 반월상연골판의 점진적 퇴행적 변화 등에 의해 사소한 일상생활이나 경미한 부상으로 발생한다”며 “반월상연골판파열은 자연치유가 힘든 질환으로 자칫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2차적인 관절 내 연골 손상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퇴행성관절염을 촉진하는 위험 요인이 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