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만성질병’ 비만... 식욕억제제 등 약물요법 도움 받아 효과적 체중감량 가능

식욕억제제 복용 시 향정·비(非)향정, 장·단기요법 등 약물 특성 정확히 알고 충분한 전문의 상담 필요

“먹어봐야 어차피 내가 아는 그 맛.” 한 뮤지컬 배우가 체중 감량과 유지를 위한 비결로 전한 말이다. 대한민국 다이어터들의 체중감량 의지를 다잡는 명언이지만,  사실 ‘의지’만 가지고 비만을 치료하기란 쉽지 않다. 한 해외 연구에 따르면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으로 비만을 치료한 사람 중 고작 10-30%만이 4년 후에도 감량 체중의 절반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비만은 치료가 어렵고 재발하기 쉬운 ‘만성질병’이기 때문에 운동 외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동원되곤 한다. 그 중 하나가 체중 조절을 위한 식욕억제제다.


식욕억제제는 식욕을 느끼는 뇌에 작용하여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거나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약을 말한다. 식사, 운동 및 행동수정 요법의 보조요법으로서 복용법과 주의사항 등을 유의해 복용하면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식약처가 식욕억제제의 안전한 복용을 위해 발표한 ‘식욕억제제 안전사용 가이드’를 바탕으로 식욕억제제를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복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Q1. 식욕억제제와 체중조절약, 같은 말인가?


체중조절약에는 작용기전에 따라 식욕을 느끼는 뇌에 작용해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거나 포만감을 증가 시키는 식욕억제제, 음식물로 섭취한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를 차단해 섭취 지방이 체내 흡수 되는 것을 줄이고 밖으로 배설되게 하는 지방흡수억제제가 있다. 최근에는 혈당 농도에 자극을 받아 분비되는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해 포만감을 유발하는 글루카곤양펩티드(GLP-1)도 출시돼 있다.


 


Q2. 식욕억제제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에서 식욕억제제로 허가 받은 의약품 성분은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로카세린, 부프로피온염산염∙날트렉손염산염 복합제가 있다. 각 제제들은 향정신성 의약품과 비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나뉘고, 3개월 미만의 단기 복용과 장기 복용으로 승인된 약제로 구분할 수 있다.


 


Q3. 향정신성과 비(非)향정신성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향정신성의약품’이란 인간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이를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위해가 있는 의약품을 말한다. 식약처는 의존성이나 내성이 발생할 수 있는 의약품을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별도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국내 시판된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는 유럽 국가에서 시판되지 않는다.


향정신성의약품으로 관리되고 있는 식욕억제제 성분은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로카세린이 있다. 부프로피온염산염과 날트렉손염산염이 복합된 제제는 식욕억제제 중 유일하게 비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Q4. 향정신성 식욕억제제와 비(非)향정신성 식욕억제제 약리기전의 차이는 무엇인가?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로 분류된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제제는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혹은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하거나 포만감을 높인다. 마진돌 제제의 경우 신경전달물질인 카테콜아민의 재흡수를 차단함으로써 신경 연접부 내 농도를 높여 식욕을 억제하고, 로카세린 제제는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 2C(5-HT2c) 수용체에 직접적으로 작용, 식욕억제중추(pro-opiomelanocortin, POMC)를 활성화해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높인다.



 


비향정신성 식욕억제제인 부프로피온염산염과 날트렉손염산염 복합 제제는 부프로피온 성분이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를 억제, 뇌의 시상하부의 식욕억제중추(POMC)를 활성화해 식욕을 억제하거나 포만감을 높인다. 날트렉손 성분은 오피오이드 길항제로서 오피오이드 수용체와 연관된 POMC의 자가억제를 차단해 POMC 의 식욕 억제 작용을 강화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두 성분은 뇌의 보상중추(reward pathway)에도 작용해 식욕뿐 아니라 배가 불러도 다른 것을 섭취하고자 하는 식탐도 억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Q5. 식욕억제제 처방 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식욕억제제 처방 시 중요한 것은 약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극적인 상담이다. 각 약물의 성분 별로 복용할 수 있는 체질량지수(BMI) 등의 기준과 복용을 금하는 환자, 주의사항, 부작용 등이 다르기 때문에, 복용 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민원 홈페이지(ezdrug.mfds.go.kr) 등을 통해 해당 약물에 대해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좋다. 진단 및 상담 시에는 환자의 과거에 앓았던 병력, 건강기능식품까지 포함한 복용중인 약물과 식품이 공유돼야 한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질환 병력은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며, 최근 1년 이내에 식욕억제제 복용 경험이 있다면 복용 시점과 약물의 이름 공유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약물 알러지나 과민증이 있는 경우도 확인해야 한다.



 


Q6. 식욕억제제 복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은 무엇이 있는가?


식욕억제제 복용 시 식사요법은 반드시 병행해야 하며, 운동 및 행동수정 요법까지 병행해야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약물치료는 모든 환자에서 동등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담당 의료진은 약제의 작용 기전, 용량 및 부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환자는 의사의 지시에 따른 복용량과 복용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식욕억제제는 다른 식욕억제제와 더불어 우울증 치료제인 플루옥세틴, 설트랄린,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등의 의약품과 병용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식욕억제제 복용 중에 술을 먹으면 유해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Q7. 목표 체중이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식욕억제제를 복용해도 되는가?


식욕억제제 중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성분 제제들은 3개월 미만 단기요법으로 승인됐다. 4주 정도 복용해도 만족할 만한 체중감량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복용을 중지해야 한다. 부프로피온염산염와 날트렉손염산염이 복합된 제제와 로카세린은 1년 이상의 장기요법으로 승인됐다. 12주 복용 후 체중 감량이 5% 미만인 경우, 복용을 유지하는 것이 의미 있는 체중감량을 달성하거나 유지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 약물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Q8. 오는 5월 강화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따라 향성신성 식욕억제제 처방 시 주의점이 있는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불법유통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 향정신성 의약품을 비롯한 마약류의 수출입, 제조, 판매, 투약 등 전체 취급사항을 오는 5월부터 시스템을 통해 보고하도록 의무화했다. 이에 따라 병의원, 약국 등 마약류취급의료업자는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로카세린 성분의 향정신성의약품을 구입, 조제, 투약, 폐기, 양도·양수한 경우 마약류통합관리 시스템에 보고해야 한다.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를 인터넷이나 홈쇼핑, 방문판매 등으로 구입한 경우,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형사 처벌 받게 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구강 건강이 좋지 않으면 충치와 잇몸 질환 발생... 방치하면 이런 결과 초래 치아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음식을 섭취하고 분해해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정확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도와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치아와 잇몸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중요성을 간과하고 구강 건강을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구강 건강이 좋지 않으면 충치와 잇몸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치하면 다른 신체 기관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잇몸 질환은 심장, 뇌졸중, 당뇨병과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흔히 풍치라 불리는 치주질환은 치아를 감싸고 있는 잇몸에서 생긴 염증이 잇몸뼈인 치조골을 녹이면서 발생한다. 염증이 잇몸에만 국한된 경우를 치은염, 잇몸뼈 주변까지 퍼지면 치주염이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치주질환 및 치은염 환자는 2022년 1811만7919명으로 질병별 환자 수 1위를 기록했다. 실제 치주질환과 치은염은 우리 국민의 약 90%가 사는 동안 한 번 이상은 걸리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환자 수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권소연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치과 교수는 “치주염의 경우 오랜 시간 점차적으로 뼈를 녹이는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