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제도화 과정에서 지역별 특성 고려해야

  • 등록 2024.10.04 06:32:35
크게보기

최보윤의원,지역별 타 지역 의료기관 이용률 큰 차이 보여

비대면 진료 이용 시 타 지역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비율이 지역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나 지역 간 의료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보윤 의원 ( 국민의힘 ) 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 비대면 진료 의료기관 소재지 및 수진자 주소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 비대면 진료 이용 패턴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 내 의료기관 이용률을 살펴보면 서울이 62.8% 로 가장 낮았으며 전북 75.2%, 광주 80.6%, 대구 80.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이들 지역 주민들이 타 지역 의료기관을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반면 제주 (90.8%), 충북 (91.7%), 강원 (91.8%) 등은 지역 내 의료기관 이용률이 90% 를 웃돌아 대조를 이뤘다 이어서 전남 (88.3%), 울산 (88.3%), 경북 (86.1%) 등도 비교적 높은 지역 내 이용률을 보였다 .

 

특히 서울의 경우 타 지역 거주자의 이용 비율이 높았다 서울 소재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은 환자 중 37.2% 가 타 지역 거주자였다 이는 비대면 진료에서도 서울 소재 의료기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시사한다 .

 

최보윤 의원은 " 비대면 진료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역 간 의료 이용 패턴의 격차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  , " 특히 서울 전북 광주 등 일부 지역의 낮은 지역 내 이용률은 지역 의료체계 강화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 고 말했다 .

 

이어 " 향후 비대면 진료 제도화 과정에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 "  , " 지역 의료기관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균형 있는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또한 " 비대면 진료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지역 의료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 고 덧붙였다 .

 

한편 서울과 경기는 전체 비대면 진료 청구 건수의 각각 25.1% 와 21.2% 를 차지하여 전체 비대면 진료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