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뇌졸중,발생 지속 증가...치명률,심근경색증 감소 뇌졸중 증가

  • 등록 2024.12.29 12:19:30
크게보기

심근경색증 2022년 34,969건 발생, 발생률 68.2건/10만 명, 발생 30일 내 9.0%, 1년 내 15.8% 사망
뇌졸중 2022년 110,574건 발생, 발생률 215.7건/10만 명, 발생 30일 내 8.2%, 1년 내 20.1% 사망
질병관리청, 「2022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 결과 발표

2022년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에 따르면 심근경색증의 2022년 발생 건수는 34,969건이며, 남자가 25,944건으로 여자 9,025건보다 약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구분별로 보면 첫 발생은 0세-79세까지는 남자가 많고, 80세 이상에서는 여자의 발생 건수가 많았으며, 재 발생은 모두 남자의 발생건수가 높았다. 2022년 전체 심근경색증 중 재발생 심근경색증의 분율은 9.6%로, 2012년 6.5% 대비 증가하였다.

  2022년 심근경색증 발생률(건/10만 명당)은 68.2건으로 남자 101.6건, 여자 35.1건이었다.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에서 327.5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발생률도 높았다

  심근경색증 연령표준화 발생률(건/10만 명당) 추이를 살펴보면, 2012년 36.2건에서 2022년 38.6건으로 6.6% 증가하였으나, 2020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은 지속되고 있다. 

 시도별 심근경색증 연령표준화 발생률(건/10만 명당)은 2022년 전남(53.4건), 광주(45.2건) 순으로 높았고, 세종(33.0건), 울산(33.3건) 순으로 낮았다. 남자는 전남(72.0건)이 가장 높았으며, 여자는 전북(13.8건)이 가장 낮았다.

 시도별 연령표준화 발생률 추이의 경우 최근 10년 간 수도권과 강원, 충청권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광주, 전남의 경우는 10년 전 대비 연령표준화 발생률이 높아졌다.

  심근경색증 발생 후 30일 이내 사망자 분율인 30일 치명률은 2022년 9.0%이었다. 심근경색증 발생 이후 남자 7.5%, 여자 13.2%가 30일 이내 사망하고, 65세 이상에서는 14.3%가 30일 이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명률은 80세 이상에서 가장 높고, 연도별 추이로 보면 최근 10년 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심근경색증 30일 치명률 현황 


  심근경색증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자 분율인 1년 치명률은 2022년 15.8%이었다. 심근경색증 발생 이후 남자 13.3%, 여자 23.1%가 1년 이내 사망하며,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다. 1년 치명률도 고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나며, 전반적으로는 감소 추세이다.

  「2022년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에 따르면 뇌졸중의 2022년 발생 건수는 110,574건이며, 남자 61,988건으로 여자 48,586건보다 약 1.2배 높았다.

 발생구분별로 보면 뇌졸중의 첫 발생과 재 발생 건수의 경우 0세-79세까지는 남자가 많고, 80세 이상에서는 여자의 발생 건수가 높았다. 2022년 전체 뇌졸중 중 재발생 뇌졸중의 분율은 20.4%로, 2012년 17.5% 대비 증가하였다.

  2022년 뇌졸중 발생률(건/10만 명당)은 215.7건으로, 남자 242.7건, 여자 188.9건이었다.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에서 1,515.7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발생률도 높았다.

  뇌졸중 연령표준화 발생률(건/10만 명당)은 2022년 114.6건으로 2012년 152.7건 대비 25.0% 감소하였다. 남자는 2012년 159.5건에서 2022년 124.7건, 여자는 2012년 144.0건에서 2022년 100.6건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시도별 뇌졸중 연령표준화 발생률(건/10만 명당)은 2022년 전북(134.5건), 충북(131.2건) 순으로 높았고, 서울(101.6건), 세종(104.8건) 순으로 낮았다. 남자는 전북(146.0건)이 가장 높았으며, 여자는 서울(88.4건)이 가장 낮았다.

 시도별 연령표준화 발생률 추이의 경우 최근 10년 간 모든 지역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세종(168.1건→104.8건)과 제주(165.3건→119.5건)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뇌졸중 발생 후 30일 이내 사망자 분율인 30일 치명률은 2022년 7.9%으로, 남자 6.9%, 여자 9.1%로 여자가 남자보다 2.0%p 높았다. 80세 이상에서 치명률이 12.7%로 가장 높았고, 0-19세(7.4%), 40-49세(6.7%) 순으로 높았다.

 뇌졸중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자 분율인 1년 치명률은 2022년 20.1%이었다. 남자 18.5%, 여자 22.1%가 뇌졸중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하며, 65세 이상에서 뇌졸중 발생 후 1년 이내 32.1%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추이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2020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은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질환으로 타 질환보다 건당 의료비가 많이 들고, 생존한 경우에도 후유증으로 심각한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질병 부담이 큰 질환이다.

 신속한 응급의료 체계와 권역별로 중증 심뇌혈관질환 관리체계가 확보되어야 질환 발생 시 적절한 의료기관으로 빠른 이송과 응급대처가 가능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내 심뇌혈관질환 발생 규모를 확인할 수 있는 「2022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 결과를 발표하였다.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는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심뇌혈관질환 발생규모 파악을 위해 가공통계로 생산하고 있으며,건강보험공단의 건강정보 및 사망 원인 DB를 분석하여 2011년부터 2022년까지의 심뇌혈관질환인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의 발생 건수, 발생률, 치명률(30일, 1년)을 산출하였다.

  이번에 발표하는 통계자료는 우리나라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규모에 대한 자료로서, 향후 심뇌혈관질환 관련 보건의료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의료기관 내원 전 사망한 사례까지 포함한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전체 발생 규모 확인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질병 부담 및 시급성을 고려하여 통계 생산 대상 심뇌혈관질환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