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여 년간 글쓰기 교육 현장을 이끌어온 이가령 교수가 신간 '고수의 글쓰기'를 통해 한 문장이라도 잘 쓰고 싶은 이들을 위한 실용적 글쓰기 비법을 공개했다.
이가령 교수는 책에서 기존의 단순한 나열식 글쓰기를 넘어선 창의적 글쓰기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나는 어제 집 근처 공원에 갔다. 바람이 불고 날씨가 좋았다"와 같은 평범한 서술 대신, "맑은 하늘 아래 바람이 솔솔 불어와 기분이 절로 상쾌해졌다. 벤치에 앉아 있다가 문득, 한참을 지나간 가을 냄새가 남아 있는 걸 깨달았다"처럼 '느낌 좋아 보이게' 쓰는 것이 고수의 글쓰기라고 설명한다.
이 교수는 30년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쓰기를 5단계로 체계화했다. 1단계 글감 찾기, 2단계 서사력 키우기, 3단계 표현력 완성하기, 4단계 어휘력 늘리기, 5단계 철학 녹이기가 그것이다. 특히 글감 선택에서는 "글은 넓게 펼치는 것이 아니라 좁게 들어가는 일"이라며 "주제는 한껏 좁히고 그 안에서 단 하나의 장면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반려견과의 관계를 다룰 때도 전체적인 이야기보다는 '노견을 위해 밥을 불리는 조용한 시간' 같은 구체적 장면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표현력 향상을 위해서는 '설명하지 말고 보여주라'는 원칙을 제시한다. "너무 짜증이 났다"라고 직접 표현하는 대신 "손에 힘을 주면서 볼펜을 세게 눌렀다. 종이가 찢어질 듯했다. 입술을 깨물면서 애써 참았지만, 결국 숨을 헐떡이며 자리에서 벌떡 일어났다"처럼 구체적 상황과 행동을 묘사하면 독자가 직접 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숙명여대에서 국어국문학 석사, 칼빈대학에서 인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이가령 교수는 현재 우리글진흥원 교육원장과 국제웰에이징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그는 이오덕 선생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한 생활 밀착형 글쓰기 교육을 이어가며 '쉽고 정확하게 쓴 글이 바르고 귀한 글'이라는 교육 철학을 실천해왔다. 국립국어원, 우리글진흥원, 전국인재개발원 등에서 근무하며 글쓰기를 지도했고, EBS, KBS, MBN 등 주요 방송에 글쓰기 전문가로 출연하며 대중과 소통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