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생후 28개월 남자 아기가 기침과 콧물 증상으로 내원했다. 초기에는 단순 감기로 보였으나 하루가 지나면서 쌕쌕거리는 호흡과 발열, 식욕부진 등이 나타난다는 부모의 설명을 듣고 RSV 검사 결과 양성이 확인됐다. 아기는 안정을 위한 수액치료가 필요했고 며칠간 입원 치료 후 호전돼 퇴원했다.
날씨가 차고 건조한 겨울철을 맞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이 증가하며 영유아 보호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황 과장은 “대부분의 RSV 감염은 처음에는 가벼운 감기처럼 시작하지만 일부 영유아에게는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 겨울철 가장 신경 써야 하는 호흡기 바이러스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 영유아·소아청소년 중심 겨울철 유행 바이러스
RSV는 주로 영유아, 어린이, 면역력이 약한 성인에게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침 콧물 발열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으로 시작해 심할 경우 호흡 곤란, 쌕쌕거림, 식욕 저하 등이 동반된다.
황영진 과장은 “특히 생후 2년 이하 아이들은 기도 직경이 좁은 편이라 RSV에 감염될 경우 증상이 빠르게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며 “겨울철 RSV는 전염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은 특히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 예방이 최선, 청결과 손 씻기 필수
RSV는 치료보다 예방이 더 중요한 바이러스다. 아이들이 늘 만지는 장난감과 공용 물건을 자주 소독하고 외출 후 아이와 손 씻기는 철저히 해야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가급적 피하고 기침이나 콧물 증상이 시작되면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감기 증상이 있는 아이는 충분한 휴식과 따뜻한 음식 섭취가 도움이 된다.
황 과장은 “보호자들이 일상 속에서 손 씻기만 철저히 해도 감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특히 2세 이하 아이들은 증상 관찰에 더욱 신경을 쓰고, 호흡이 가빠 보이거나 먹는 양이 줄어든다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