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제제 등 99종 의약품 불법 유통 '덜미'

  • 등록 2013.11.26 09:30:40
크게보기

식약처,몸짱 만들기용 불법 의약품 유통시킨 일당 적발 판매자 구속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스테로이드제제 등 의약품을 불법 유통·판매한 안모씨(남, 만 28세), 조모씨(남, 만 28세) 등 4명을 「약사법」위반혐의로 구속 송치하고, 추가 관련자 5명을 불구속 송치하였다고 밝혔다.

수사 결과, 전·현직 보디빌딩 선수나 헬스트레이너인 안모씨 등은  ‘11년 5월부터 ’13년 10월까지 태국, 필리핀 등지에서 휴대여행객 소지품이나 국제택배를 통해 스테로이드 등을 국내 반입한 뒤 인터넷 사이트와 휴대전화 메신저를 통해 총 3,583회 14억 2,310만원 상당을 판매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남성호르몬제제’, ‘단백동화스테로이드제제’, ‘갑상선호르몬제’ 등 총 99종의 의약품을 근육 증강 제품(8~10주 투약), 근육 모양 다듬기 제품(8~10주 투약), 이들 제품 투약으로 인한 부작용 완화 제품 등으로 구분해 판매하였다. 주 구매층은 보디빌딩 선수나 헬스트레이너와 같이 몸매 관리에 관심이 높은 층이었다.
 

해당 의약품들은 잘못 복용할 경우 무정자증, 전립선종양, 심부전, 간경화, 여성형유방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의사 처방없이 무분별하게 해당 의약품을 병용 섭취하는 경우 부작용이 훨씬 심각할 수 있다.

식약처는 이번 사건이 최근 맹목적인 몸짱 신드롬에 편승한 잘못된 의약품 복용과 불법 의약품 온라인 거래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 차원의 의약품 불법 유통 및 오남용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위해 관세청 등 관련 부처와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보디빌딩 관련협회 등을 통해 의약품 오남용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디빌딩 시 불법 의약품 투약법

 

■ 벌크: 근육량 증강을 위한 시기(8~10주 주기)

연번

제품명

성분명

투약주기

투약량

(기허가 용량)

투약기간

1

에난

Testosterone Enanthate

2회/주

500mg/주*

8~10주

서스

Testosterone compound

2

데카

Nandrolone Decanoate

2회/주

500mg/주

8~10주

3

디볼

Methandrostenolone

3~6정/일

30~60mg/일**

4~5주차까지

옥시

Oxymetholone

* 국내 동일성분 기허가품목 예나스테론주 용법용량: 250mg/2~3주
** 국내 동일성분 기허가품목 한불옥시메토론정 용법용량: 5~15mg/일

■ 컷팅: 시합전 근육의 모양을 다듬기 위한 시기(8~10주 주기)

연번

제품명

성분명

투약주기

투약량

투약기간

1

프로피

Testosterone Propionate

2회/주

300mg/주

8~10주

2

이퀴

Boldenone Undecylenate

2회/주

500mg/주

8~10주

프리모볼란

Methenolone Enanthate

마스테론

Drostanolone Propionate

아나바

Oxandrolone

파라볼란트렌볼론

Trenbolone Hexahydrobenzylcarbonate

 

■ 케어: 벌크 및 컷팅 중 여유증 등 부작용 발생시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제품 복용(벌크 또는 컷팅과 중복복용, 3~4주 주기)

연번

제품명

성분명

투약주기

투약량

투약기간

1

놀바

구연산타목시펜

1~2정/일

20~40mg/일

3~4주

2

HCG

태반성성선자극호르몬

0.25~0.5ml/5일

5000~10000i.u/3주

3주

3

클로

클로미펜시트르산염

1~2정/일

50~100mg/일

3~4주


☞ 평소 ‘벌크’세트를 투약하며 운동을 하다가 시합이 가까워 오면 ‘컷팅’세트를 투약하고, ‘벌크’ 또는 ‘컷팅’ 중 부작용 발생시 ‘케어’제를 추가로 투약함

 

노재영 기자 imph7777@daum.net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