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르프로펜 함유 최초 트로키제, '스트렙실' 국내 출시

  • 등록 2011.07.15 01:46:03
크게보기

옥시레킷벤키저, 14일(목) 임페리얼 팰래스 호텔서 '스트렙실 런칭 컨퍼런스' 개최해

인후에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인 플루르비프로펜(Flubiprofen)을 함유한 최초의 트로키제, '스트렙실(Strepsils)'이 국내에 첫 출시되었다.

옥시레킷벤키저(Reckitt Benckiser)는  14일 임페리얼 팰래스 호텔에서 '스트렙실 런칭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50년 전통, 전 세계 판매 1위 '스트렙실'의 위상을 한국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Gaurav Jain 옥시레킷벤키저 대표이사는 인사말을 통해 "스트렙실은 가비스콘에 이어 한국에 두 번째로 출시하게 되었다"며 "한국에 첫 번째로 출시한 가비스콘이 성공을 거둔 것처럼 스트렙실도 큰 성공을 거두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아직 한국에는 인후통(염)만을 치료하는 약이 없는 걸로 안다"며 "이번 스트렙실의 출시와 함께 인후통(염)을 가진 한국 환자들의 증상이 완화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목은 매우 민감하여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붓거나 아플 수 있다. 그 원인으로 바이러스, 세균, 매연·먼지·건조한 환경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직도 인후통을 앓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종합감기약이나 일반 진통제를 복용한다.

스트렙실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인 프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을 함유한 최초의 트로키제로, 아픈 목에 직접 작용하여 붓기와 통증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준다.

스트렙실은 약 1개(2.6g) 중 플루르비프로펜 8.75mg 함유하고 있으며 1개를 입안에서 서서히 녹여 복용한다. 한 번 복용하면 그 효과가 3~6시간 지속된다.

스트렙실은 1950년대에 영국에서 처음 출시되었으며, 현재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등 40개 국가 이상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 세계 판매 1위의 브랜드이다.

스트렙실은 플루르비프로펜을 함유한 최초의 트로키제로, 이부프로펜과 유사한 안전성을 가진다. 통증의 원인이 되는 부위에 염증생성에 관여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해 진통과 소염작용을 한다.

또한 ▲인후의 통증을 15분 이내에 감소시켜 통증에 빠르게 작용하고 ▲4시간 이상 지속되는 효과를 가지며 ▲주성분인 플루르비프로펜을 아픈 목에 직접전달하는 국소작용을 하고 ▲낮은 용량의 NSAID로(8.75mg) 인후염에 효과적임과 동시에 우수한 내약성을 가진다.

한편, 스트렙실은 복용시 목이 간질간질한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미미하고 일시적이다.

옥시레킷벤키저는 생활용품과 헬스케어 분야에서 세계를 주도하는 기업 중 하나로, 작년 매출액은 15조 2천억 원, 시가 총액 44조 2천억 원이다. 최근 SSL Internation plc.를 인수하면서 그 규모가 더 커졌다.

현재 180개 국가에서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 옥시레킷벤키저는 60개 국에 법인을 두고 2,3000여 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Gaurav Jain 대표는 이날 런칭 컨퍼런스에서 지난 3년 기준으로 9~1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OTC 제품의 역량을 높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존 옥스포드 교수(John Oxford,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와 아드리안 쉐퍼드 홍보팀장(Adrian Shephard, Professional Relations Manager/RB)이 인후통(염)의 증상과 인후통(염)에 스트랩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발표하였다.

엄영지 기자 heroine0827@gmail.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