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결절 교사에게 유독 많이 발병..직업병?

  • 등록 2014.06.17 07:32:24
크게보기

국민건강보험공단 분석결과, 목소리 건강의 적신호'성대결절', 여성이 남성의 2배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 성대결절(J38.2)’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2013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은 9만 7,438명이며, 성별로 구분하면 남성 3만 1,733명, 여성 6만 5,70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으로 살펴보아도 남성 126명, 여성 264명으로 여성이 많았다.

[표 1] 연령대별 ‘ 성대결절(J38.2)' 진료인원 및 성비(2013년)

                                                                                                   (단위 : 명, 배)

연령대별 ‘ 성대결절(J38.2)' 진료인원 및 성비(2013년)
구분 전체 9세 이하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세 이상
진료인원 전체 97,438 3,189 9,026 15,230 18,551 18,151 18,566 9,527 5,198
남성 31,733 2,154 3,818 4,014 4,548 4,968 5,745 3,886 2,600
여성 65,705 1,035 5,208 11,216 14,003 13,183 12,821 5,641 2,598
여성/남성 2.1 0.5 1.4 2.8 3.1 2.7 2.2 1.5 1.0
인구 10만명당 전체 195 70 151 229 230 207 238 222 135
남성 126 92 122 115 110 111 147 187 169
여성 264 47 183 355 357 307 329 255 112

성·연령별로 살펴보면 9세 이하 또는 7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 성대결절(J38.2)' 성·연령별 진료인원(2013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신향애 교수는 "성대결절은 지속적인 음성과용이나 무리한 발성으로 인해 생기는데, 특히 6∼7세경의 남자 어린이 혹은 20∼30대 초반의 여성, 가수, 교사 등 지속적인 음성사용이 많은 직업군에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설명하였다.

건강보험 자격유형별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전체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이하 공․교) 246명, 직장 195명, 지역 188명 순(順)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 살펴보면 모든 자격유형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표 2] 인구 10만명당 자격유형별 ‘ 성대결절(J38.2)' 진료인원(2013년)

                                                                     (단위: 명)

인구 10만명당 자격유형별 ‘ 성대결절(J38.2)' 진료인원(2013년)
구분 전체 가입자1) 피부양자2)
소계 남성 여성 소계 남성 여성 소계 남성 여성
공·교 246 144 341 361 149 681 182 139 213
지역 188 121 257 179 130 276 196 108 248
직장 195 128 262 209 129 341 184 128 224

주1) 가입자는 공․교 및 직장가입자와 지역 세대주를 말함

2) 피부양자는 공․교 및 직장 피부양자와 지역 세대원을 말함

성대결절이 교사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인지 확인하기 위해 공·교 가입자를 교육직과 非교육직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2013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교육직 종사자(760명)가 非교육직(167명) 보다 많았으며, 교육직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직 진료인원(10만명당 760명)은 전체 진료인원(10만명당 195명)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1, 표2 참조>

[표 3] 인구 10만명당 공·교 가입자 기준 ‘ 성대결절(J38.2)' 진료인원(2013년)

                    (단위: 명)

인구 10만명당 공·교 가입자 기준 ‘ 성대결절(J38.2)' 진료인원(2013년)
구분 전체 남성 여성
공·교 361 149 681
非교육직1) 167 115 288
교육직 760 274 1,072

주1) 공무원에서 非교육직은 1,2종 고용직, 경노무 고용직, 경찰, 소방직, 계약직, 공안직, 군인, 기능직, 법관, 검사, 연구직, 일반직, 일용직, 전임전문직, 정무직, 지도직, 청원경찰 등이 있으며, 교직원에 非교육직은 1,2종 고용직, 계약직, 기능직, 일반직, 일용직, 전임전문직, 정무직 등이 있음

신향애 교수는 "교사는 직업상 음성의 톤에 권위가 있어야 하므로 학생들 앞에서 힘을 주어 발성하려는 경향이 잦고, 주변 소음을 이기기로 위해 큰 소리로 말하기 때문에 성대에 압박과 긴장을 주게 되어 성대결절이 자주 발생한다"고 말했다.

‘ 성대결절’ 질환의 연도별․월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2009년 9만 836명에서 2013년 9만 7,438명으로 연평균 1.8% 증가하였으며, 월별 진료인원은 대체로 5∼6월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연도별 ‘ 성대결절(J38.2)' 건강보험 진료인원 추이

                                                            (단위: 명, %)

연도별 ‘ 성대결절(J38.2)' 건강보험 진료인원 추이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연평균증가율
전체 90,836 98,700 97,815 100,882 97,438 1.8
남성 27,565 30,359 31,013 32,795 31,733 3.6
여성 63,271 68,341 66,802 68,087 65,705 0.9

주 : 2009~2013년 5개년도 평균수치

신향애 교수는 "3, 4월에는 큰 일교차,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상기도 감염이 많이 발생하여 성대의 급성점막부종 및 염증이 생기면서 목소리에 변화가 생긴다. 대부분 간단한 음성휴식이나 약물치료로 쉽게 사라지는데 이 시기에 제대로 관리를 못하고 지속적으로 음성을 사용할 경우 성대결절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특히, 교사들의 경우 새학기가 시작되기 전에는 충분한 음성휴식으로 성대결절 발생이 감소하나, 새학기 시작 후 음성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처음에는 간헐적인 목소리 변화로 나타났다가 지속적인 음성남용으로 인해 성대결절로 진행되어 5∼6월에 진료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2013년을 기준으로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건강보험 총진료비는 69억 1,700만원이며, 진료형태별로 외래는 44억 8,800만원, 입원은 5억 9,800만원, 약국은 18억 3,000만원이었다.

[표 5] 진료형태별 ‘ 성대결절’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2013년)

                                   (단위 : 백만원,%)

진료형태별 ‘ 성대결절’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2013년)
구분 전체 입원 외래 약국
진료비  6,917.5 598.7 4,488.0 1,830.8
(100) (8.7) (64.9) (26.5)
급여비  4,669.9 475.5 2,899.2 1,295.3
(100) (10.2) (62.1) (27.7)

주: ( )는 전체 진료비 대비 각 진료형태별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