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게릭병 환자,호흡재활 위해 획기적 제도개선 마련해야

  • 등록 2014.10.13 05:48:27
크게보기

2013년 루게릭병 진료 1,627명, 1인당 연간 56일 입원, 연간 7백4십만원 진료비에 호흡부전으로 고통

최근 아이스버킷 챌린지 등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루게릭병(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으로 진료 받는 환자수가 매년 증가하고, 긴 입원일수에 높은 의료비로 환자와 가족의 부담이 큰 데다, 말기에 호흡부전으로 인한 지원대책이 부족하여 환자의 고통이 심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은 2014년 국정감사를 위해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 등에서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루게릭병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2011년 1,354명에서 2013년 1,627명으로 273명이 증가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만 루게릭병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1,411명으로, 증가세가 커졌다[표1].

루게릭병 환자 입원일수와 총진료비 역시 2011년 각각 47,218일, 68억1천6백11만 원에서, 2013년 90,816일, 121억 2천4백72만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2011년 총 진료환자 수 1,354명의 1인당 연간 평균 입원일수가 35일,  진료비는 1인당 연간 평균 5백2만원의 수준임을 시사한다.

또한 2013년 총 진료환자 수 1,627명의 1인당 연간 평균 입원일수는 56일, 진료비는 1인당 연간 평균 7백4십4만원의 수준에 해당한다.
2014년에는 상반기에만도 루게릭병 환자 입원일수와 총 진료비가 각각 51,657일과 66억 1천 4백6십만 원을 기록했다. [표1].

 

구분

2011 

2012

2013

2014년 상반기

환자수

입원

일수

진료비

환자수

입원

일수

진료비

환자수

입원

일수

총진료비

환자수

입원

일수

진료비

전체

합계

1354

47218

6816110

1552

71565

9636762

1627

90816

12124721

1411

51657

6614606

소계

804

25638

4025641

905

36478

5406837

934

45442

6418771

792

24473

3327603

 

10세 미만

0

0

0

0

0

0

0

0

0

1

2

46

 

10_19

3

29

513

4

22

689

4

19

1661

4

16

901

 

20_29

12

300

54225

15

506

53307

9

156

9492

10

76

3666

 

30_39

35

782

98622

32

658

113859

33

729

148183

22

318

35844

 

40_49

108

3838

597494

125

5479

709177

126

6330

768169

96

3119

382849

 

50_59

244

7981

1207922

286

11645

1727134

276

12686

1780485

230

6364

929348

 

60_69

261

7918

1292146

299

11437

1770759

336

17753

2553516

282

9652

1248833

 

70_79

151

4410

717693

169

6076

889958

180

6972

1054545

156

4144

619770

 

80세 이상

18

380

57026

21

655

141954

24

797

102719

20

782

106346

소계

550

21580

2790469

647

35087

4229925

693

45374

5705950

619

27184

3287003

 

10세 미만

1

1

17

0

0

0

0

0

0

0

0

0

 

10_19

0

0

0

0

0

0

1

1

29

0

0

0

 

20_29

3

376

33911

9

211

23040

8

183

53839

7

53

11153

 

30_39

21

146

30946

18

487

73349

17

338

61403

16

287

46006

 

40_49

71

2639

323002

91

4369

535766

88

5046

561819

88

3403

433997

 

50_59

158

6078

911359

179

6915

867618

193

9389

1298505

165

6486

893426

 

60_69

186

7417

908303

202

12803

1415134

219

15500

1826174

192

7882

936212

 

70_79

112

4283

532798

154

8855

1142078

172

13546

1707668

151

7687

804601

 

80세 이상

21

640

50134

33

1447

172940

25

1371

196514

26

1386

161608

 

루게릭병으로 진료받는 환자 수 및 이들의 입원일수, 진료비의 증가에 따라 환자 및 가족에게는 질병으로 인한 장애가 가져다주는 고통과 불편, 경제적 부담뿐 아니라, 생명유지와 관련이 있는, 말기에 발생하는 호흡부전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남아 있다.

즉, 루게릭병이 이렇게 연간 입원일수가 56일이 넘는 긴 기간을 기록하고 연간 진료비가 7백4십만원이 넘는 것은 신경계통의 질환인 루게릭병이  운동 신경원의 퇴행에 따라 전신에 분포한 수의근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에 영향을 미쳐, 하지 및 상지의 말초근육이 점점 약화되어 보행 및 상지기능의 능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마지막에는 가슴과 횡격막 근육을 조절하는 능력을 잃어 결국 호흡부전(Respiratory failure)에 빠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인공호흡기의 도움 없이 혼자서 숨쉬기가 어렵게 되는데에 기인한다.

게다가, 루게릭병 환자들이 호흡부전으로 ‘호흡재활’을 위해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에는 상태가 중대하여 면밀한 관찰과 주의가 필요해 중환자실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병실료에 대한 부담이 추가로 매우 커진다.

한편, 루게릭 환자는 중환자실의 한정된 병상이나 자원을 이용하기 어려워 1인용 병실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 중환자실 수준은 아니라도 호흡부전 환자에 대한 집중적 관리가 필요한 상태라 ‘인공호흡기사용 만성호흡부전 환자 관리료’에 대한 신설이 있어야 한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있어왔다. 그래야만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이러한 환자들을 우선적으로 입원시키고 또한 제대로 관리할 수 있는 병원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상태이다.   

문정림 의원은 “루게릭병은 매년 진료받는 환자 수가 증가하고 연간 56일의 긴 입원일 수, 환자 1인당 7백4십여만원에 해당되는 고액의 진료비를 요하는 질환일 뿐만 아니라, 생애의 마지막에 호흡부전으로 인한 인공호흡기 사용 등 전문적인 호흡재활을 요하는 질환”이라며, “정부는 루게릭병 환자가 호흡부전으로 인한 고통과 의료비 부담뿐 아니라 호흡재활을 위해 입원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때로는 중환자실 병상이 없어서 때로는 일반병실 입원의 우선순위에 밀려서 응급실과 집을 전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을 내 놓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 의원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일반병상에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에 대한 관리료’ 등의 신설을 검토해야 하며, 이와 함께 가능한한 입원기간을 줄이면서 가정 내에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개인형, 이동형 인공호흡기’ 지원 대상을 현재의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전체 환자들에게 건강보험으로 지원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만 한다”고 밝혔다.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