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고용․산재보험료 고액․상습체납자 공개

  • 등록 2014.12.19 07:00:47
크게보기

고액․상습체납자 1,832명 … 19일 오전 9시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통해 공개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19일 건강보험료와 고용·산재보험료 고액․상습체납자 1,832명(건강 1,824명, 고용·산재 8명)의 인적사항을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를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공개대상자는 납부기한의 다음 날부터 2년이 지난 건강보험료(연체료 및 체납처분비, 결손금액 포함)가 1천만원 이상인 체납자와 2년이 지난 고용·산재보험료(연체료 및 체납처분비, 결손금액 포함)가 10억원 이상인 체납자이며,공개항목은 체납자의 성명, 상호(법인인 경우 명칭과 대표자 성명), 나이, 주소, 체납액의 종류·납부기한·금액, 체납요지 등이다.

-건강보험료 고액‧상습체납자 공개‧제외 현황

구 분

공개

제외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17,033

(100.0)

3,587

(100.0)

1,824

(10.7)

441

(12.3)

15,209

(89.3)

3145

(87.7)

지역가입자

4,053

528

509

71

3,544

456

개인사업장

2,799

543

513

113

2,286

430

법인사업장

10,181

2,516

802

257

9,379

2259

공단은 지난 2월 21일 1차 보험료정보공개심의위원회를 통해 공개예정대상자 1만7,041명을 선정하여 사전 안내문을 발송, 6개월 이상의 소명기회를 부여한 후 체납자의 재산상태, 소득수준, 미성년자 여부, 그 밖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등 납부능력이 있는지를 면밀히 검토하여 12월 15일 2차 재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하였다.

본 제도는 인적사항 공개를 통하여 체납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보험료 자진납부 유도로 보험재정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건강보험료 고액․상습 체납자 사례

 지역가입자(고소득 사업가)
 ❍ 사업주 A씨, 55세
  ╺ 체납내역 : ‘09.09∼’11.12/16개월/29,074,540원
  ╺ 자산내역 : 종합소득(105,924만원), 건물(91,741만원), 토지(452,774만원) 보유
  ╺ 징수활동 : ‘11년 이후 예금채권, 자동차, 토지를 압류하는 등 징수활동 실시
  ╺ 생활형태 : 현재 사업체 2곳(부동산 임대업 등)을 운영하면서 국세청 과세소득이 105,924만원으로 납부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납보험료를 장기적으로 납부하지 않고 있음. 현 체납액은 1억 이상임

 지역가입자(연예인)
 ❍ 가수 B씨, 76세
  ╺ 체납내역 : ‘09.08∼’11.12/28개월/15,091,390원
  ╺ 자산내역 : 종합소득(1,488만원), 전세(3억5천만원), 승용차 보유
  ╺ 징수활동 : ‘10년 이후 예금채권에 압류하는 등 징수활동 실시
  ╺ 생활형태 : 현재 집 인근에서 노래교실을 운영하면서 국세청 과세소득이 1,488만원으로 납부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납보험료를 장기적으로 거의 납부하지 않고 있음. 현 체납액 55개월 이상이며 금액은 23,495,150원임

 S사업장
 ❍ 의사 C씨, 46세
  ╺ 체납내역 : ‘08.05∼’09.09/18개월/56,188,986원
  ╺ 징수활동 : ‘08년 이후 예금채권, 임금채권 등을 압류하는 등 징수활동 실시
  ╺ 생활형태 : 본인이 운영하던 병원은 폐업을 하고 현재 종합병원 의사로 재직하면서 월 보수 3천만원 정도의 고액 직장가입자임

 법인
 ❍ D연구원(서울 서초구 소재)
  ╺ 체납내역 : ‘05.06~’11.10/67개월/289,266,641원
  ╺ 징수활동 : ‘04부터 지속적인 체납처분과 압류, 징수독려에도 불구하고 납부약속이행이 안 되고 있으며 작년에 이어 올해도 명단공개 대상임 

공단은 "공개대상자뿐만 아니라, 공개에서 제외된 체납자에 대해서도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징수를 펼쳐 나갈 것이며, 건강보험료 공개대상자에 대해서는 병원 이용 시 진료비를 전액 부담시키는 사전급여제한을 시행 중이며, 사전급여제한 대상자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용·산재보험료는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준금액인 10억원 이상 체납금액을 5천만원 이상으로 낮추는 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