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개된 아주대병원 이사회 자료에 의하면 2011년 퇴원한 석해균 전삼호쥬얼리호선장의 치료비 2억여원이 아직까지 지불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되고 있다.
이와 관련,의협회장 선거에 출마한 추무진후보(기호 2번)는 "허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할 정부가 여러 논란을 뒤로하고, 치료비 부담이 민간의료기관에 전가되는 상황을 방치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내용을 담은 성명을 냈다.
추후보는 특히 "작년 국가적 대재앙이었던 세월호 부상자 치료비 지원에 국가가 나섰던 것과 비교해서도 형평성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민간의료기관이 치료비 손실을 떠 안는 불합리한 선례가 된다면 앞으로 유사한 상황에서 어느 의료기관이 치료를 자처하고 나서겠냐"며 정부의 전향적이고 시급한 문제해결 노력을 강력히 촉구했다.
한편 이문제는 당시 아덴만의 여명이라는 삼호쥬얼리호 구출작전은 우리 군의 우수성과, 석해균선장의 영웅적인 용기와 리더쉽, 그리고 의료계의 여러 분야 가운데 열악한 환경에서도 초미지급(焦眉之急)의 목숨을 구하는데 헌신적인 급성기 외상의학 종사자들의 크게 조명받는 계기가 되었다.
아주대병원 입원치료당시 대통령까지 방문하여 석선장과 의료진을 격려할 만큼 국민의 관심을 크게 받았고 석해균 전선장의 치료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현재는 군 안보강사로서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