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KAMA 서울 국제학술대회' 관심 집중

  • 등록 2015.08.04 08:44:48
크게보기

5일부터 4일간 의협,병협,재미한인의사회,대한의학회 공동개최

2015 재미한인의사협회(KAMA) 서울 국제학술대회가 오는 8월 5일(수)~8일(토)의 기간 동안 서울(롯데호텔 소공동)에서 개최된다. 특히 이번 대회는 재미한인의사협회를 비롯하여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대한의학회에서도 학술 부분에서 협력하는 등 의료계 핵심 단체가 모두 참여한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과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8월 7일(금)과 8일(토) 이틀에 걸쳐 개최되는 학술 세션중 기조 강연에서는 추무진 대한의사협회장이 ‘MERS 사태를 통해 본 보건 의료 체계의 문제점’ 이라는 주제로 강연 하고 로버트 와(Robert Wah) 미국의사협회 직전 회장이 ‘Together We are Stronger-Medical Organizations (힘을 합치면 더욱 강해진다-의료 단체) ’라는 제목으로 미국의사협회의 역할과 향후 전략, 최근 미국의사협회의 정책적인 성공 사례 등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어서 이목이 집중된다.

특별 초청 강연에서는 간 이식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는 이승규 아산의료원장과 암 면역요법 권위자로서 지난 2010년 TIME지에서 세계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선정한 바 있는 Larry Wonshin Kwak 박사의 강연이 준비되어 있다.

또 미국 뉴욕의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재미한인의사협회 회장을 지낸 바 있으며 현재 가톨릭의대 서울 성모병원암병원장으로 활동중인 전후근 박사가 오프닝 강연을 통해 한국에서 현대 의학이 태동하고 발전해 온 역사를 짚어보는 순서도 마련되어 있다. 

이번 대회 학술 세션에서 눈에 띄는 것은 암 치료에 관한 최신 지견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여성암을 중점적으로 엮은 ‘Women’s Health’ 세션, 한국인 사이에 유병률이 높은 위암을 살펴보는 ‘Stomach Cancer’ 세션, 전이 척추암, 폐암, 갑상선암, 전립선암 등을 묶은 ‘Specialty Caners’, 간암을 비롯한 간질환을 묶은 ‘Liver Diseases’ 세션이 준비되어 있다.

한편 첨단기술과 의학의 접목을 모색하는 세션도 마련되었다. ‘Imaging & Intervention‘ 세션에서는 영상의학에서 발전하고 있는 중재적 기술들이 의료 전 분야의 다양한 처치에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며, ‘Innovations and Technology‘ 세션에서는 IT 기술과 접목된 신 의료기술의 발전상을 짚어볼 예정이다.  

‘Healthcare Disparities in Korean Americans’ 세션은 재미 한인들이 안고 있는 건강 문제와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된 세션으로 공동 학술대회의 취지와 의미를 잘 살린 세션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편 고령화 시대를 맞아 이슈가 되고 있는 건강 문제들을 살펴보는 ‘Diseases of the Elderly’ 세션도 마련되어 특히 문제가 되는 치매, 우울증, 관절염에 대한 최신 지견을 살펴보고 노년기의 질환들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치료할 것인지 활발한 토론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의과대학생과 전공의를 위한 특별 세션도 마련되어 의사로서 국제 의료계에서의 역할을 비롯, 재미 한인 의사로서 미국에서 의사 면허를 획득하고 수련을 받는 과정에서의 경험들이 공유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를 휩쓸고 간 MERS 사태를 되돌아보고 한미 양국의 경험을 공유하는‘MERS 및 신종 감염병의 전 세계적 영향’이라는 제목의 특별 세션도 마련되어 시의 적절하고 의미 있는 토론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북한의 의료 실정과 지원책 등에 대해 다양한 현장의 경험을 공유하는 'Global Health Session' 도 준비되어 있는 등 다양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춘 학술대회가 될 예정이다. 

재미한인의사협회(Korea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 KAMA)는 1974년, 재미 8개 한국 의과대학 동창회 대표들을 중심으로

   미국 뉴욕에서 창립된 단체로 40여년 넘게 고국 의료계와 미국 의료계의 가교 역할을 해오고 있다. 특히 재미한인의사협회와 대한의사협회를 중심으로 1975년부터 1989년까지 매년 한국과 미국을 번갈아가면서 개최되었던 한미합동학술대회는 한때 양측의 참가자가 600명에 이르는 등 성황을 이루었고 한미 양국 의료계의 교류 증진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동안 조직을 창시하고 활성화하는 데 주축이 되었던 이민 1세대들이 거의 다 퇴장하고 1.5~2세대들이 주축이 되면서 재미한인의사협회는 현재 변혁기를 맞고 있다. 이번 공동 학술대회는 미국내 의사들과 한국 의사들 더 나아가 한미 양국 의료계의 한 차원 더 높여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정립하기 위한 취지로 기획되었으며 이를 통해 변혁기를 겪고 있는 재미한인의사협회의 조직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재미한인의사협회가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원준희 재미한인의사협회장 및 김동익 전 대한의학회장을 공동 위원장으로 하는 조직위원회를 구성하여 기획 및 준비 단계에서부터 긴밀히 협력해 오고 있다.  


KAMA 서울 국제학술대회 세부 학술 프로그램

   

목요일

201586

15:00 - 17:00

특별 세션

MERS 및 신종 감염병의 전 세계적 영향

새로운 국제적 위협 MERS-CoV 에 대한 대응 전략

Dr. Suraj Kumar Saggar

MERS-CoV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

Dr. Pan Ko

2015 한국 메르스 발병: 원내 감염

Dr. Moran Ki

중앙 거점 병원의 역할을 통해 본 메르스의 교훈

Dr. Yong Jin Kwon

패널 토론 Q&A

 

금요일

201587

 

08:00 -

(사파이어룸 A)

개회사

좌장: Dr. Yukio Sonoda

한국 의학의 진화 및 현대화

Dr. Hoo Geun Chun

 

08:30 - 10:30

(사파이어룸 A)

세션 1: 영상 및 의료개입

좌장 (한국) - Dr. Dong Ik Kim

좌장 (미국) Dr. Peter Park

외래 진료시 임계 사지 허혈 관리

Dr. Peter Park

심장 영상학의 발전

Dr. Rido Cha

MRI의 최근 추세

Dr. Jeong Min Lee

국내 부인과 종양 검사

관련 단면 영상의 역할

Dr. Hycuk-Jae Choi

자궁 근종 및 선근증 증상을

위한 자궁 동맥 색전술

Dr. Man Deuk Kim

패널 토론 Q&A

 

08:30 - 10:30

(사파이어룸 B)

세션 2: 노년기 질환

좌장 (한국) Dr. Sang-Cheol Bae

좌장 (미국) Dr. Sung Wu Sun

한국 노년층의 보건의료 문제

Dr. Jong Lull Yoon

치매 대응을 위한 한국의 국가적 전략

Dr. Ki Woong Kim

노년기 우울증

Dr. Byoung Hoon Oh

노년기 관절염

Dr. Hyon-Kyoo Choi

결과 분석

Dr. Steve Sun Wu Sun

패널 토론 Q&A

 

11:00 -

(사파이어룸 A, B)

주제 강연

좌장 (미국) Dr. Stanley Kim

좌장 (한국) Dr. Sang-Keun Park

Together We are Stronger-Medical Organizations

Dr. Robert M. Wah

MERS-CoV 사태를 통해 본 한국 보건의료 시스템의 문제점

Dr. Moo-Jin Choo

패널 토론 Q&A

 

13:20 - 15:00

(사파이어룸 A, B)

세션 3: 혁신 및 의료 기술발전

좌장 (한국) Dr. Wang-Jun Lee

좌장 (미국) Dr. Yukio Sonoda

기술 발전을 통한 의료 교육의 혁명

Dr. James Lee

외과적 수술의 혁신 및 신기술

Dr. Koon Ho Rah

IT-융합 의학의 미래

Dr. Jihoon Jeong

특별 강연

Dr. Robert M Wah

패널 토론 Q&A

 

15:20 - 17:20

(사파이어룸 A)

세션 4: 재미교포의 보건의료 격차

좌장 (한국) Dr. Won-Chul Lee

좌장 (미국) Dr. Yanghee Woo

재미교포의 보건의료 격차

Dr. David Kim

재미교포의 만성 폐색성 폐질환

Dr. Robert Cooke

HPV 및 자궁경부암

Dr. Susan Park

고위험군 재미교포의 위암 예방

및 조기 발견

Dr. Yanghee Woo

국가 암 검진사업의 효과성

Dr. Yeol Kim

패널 토론 Q&A

 

15:20 - 17:20

(사파이어룸 B)

세션 5: 여성 건강

좌장 (한국) Dr. Soon Nam Lee

좌장 (미국) Dr. Dennis Chi

한국의 자궁경부암 현황

Dr. Seung Cheol Kim

자궁암

Dr. Yukio Sonoda

전이성 유방암의 맞춤형 관리

: 도전과제와 성공 사례

Dr. Seock Ah Im

난소암

Dr. Dennis Chi

여성 암환자의 불임

Dr. Chanwoo Park

패널 토론 Q&A

토요일

201588

 

08:00 - 09:40

(사파이어룸 A)

세션 6: 특이 암

좌장 (한국) Dr. Jin Soo Lee

좌장 (미국) Dr. Larry Kwak

전이성 척추 종양

Dr. Chong Suh Lee

폐암

Dr. Bernard Park

최소 침습적 수술용 로봇 갑상선 절제술

Dr. Woong Youn Chung

진행성 전립선 암의 새로운 치료법

Dr. William Oh

패널 토론 Q&A

 

08:00 - 09:40

(사파이어룸 B)

세션 7: 세계 보건 관련 특별 세션

좌장 (한국) Dr. Jae Wook Choi

좌장 (미국) Dr. Alice Kim

2007년 이후 북한 내 의료 활동변화

Owen Lee-Park

미국-북한-남한의 보건의료 지원활동

Heidi Linton

빈곤층을 위한 간염 치료

Dr. Alice Lee

병원간 국제 협력

Dr. Yong-Sun Kim

패널 토론 Q&A

 

10:10 - 11:30

(사파이어룸 A, B)

특별 강연

좌장 (한국) Dr. Yoon Sung Lee

좌장 (미국) Dr. John H. Won

단일 센터에서 400회 이상 간 이식 수술을 진행하며

Dr. Sung Gyu Lee

암 면역요법의 발전: 기초연구에서 임상적용까지

Dr. Larry Kwak

패널 토론 Q&A

 

12:30 - 14:30

(사파이어 룸 A)

세션 8: 간 질환

좌장 (한국) Dr. Hyuck Sang Lee

좌장 (한국) Dr. Hee-Jung Wang

B형 간염과 간종양

Dr. Soo Hyung Ryu

C형 간염과 간세포암

Dr. Sook Hyang Jeong

간 전이의 중재치료

Dr. Sung Bum Cho

간세포암 국소 소작술

Dr. James Park

복합성 간질환의 마취

Dr. H T Lee

패널 토론 Q&A

 

12:30 - 14:30

(사파이어룸 B)

특별 세미나A: 연구/초록 발표

좌장 (한국) Dr. Nayoung Kim

좌장 (미국) Dr. David Kim

재미 교포 사회를 대상으로 한

HPV 백신 인식 개선 및 교육

Brendan Kim

입원환자 대상 수술 품질 국가 데이터베이스 내 척추 감염 수술 전 인자

ByoungJun Han

잠재적 치료 대상 유전자로써 인간 1차 및 전이성 발현 UBE2C 유전자의 발현 양상 분석

Jenny Hong

횡경막 조율 치료 중인 선천적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Annie Wang

로봇 보조 복강경 소아과 신우성형술 및

재성형술에 대한 수술관련 지표 비교

Dr. Chester Koh

위험 집단의 위암 예방 및 조기발견프로그램 재미 교포 사회의 전향적 연구

Dr. Yanghee Woo

후신경모세포종 생존에 대한 종양 악성도의 중요성: 2002-2014 인구 기반 분석 및 UCLA 임상 경험

Dr. Jeffrey Suh

아시아계 미국인의 출생지와

식도암 유병 양상

Dr. Jae Kim

GABA 결핍으로 인한 정신병 발병 취약성과 암페타민 민감성의 효과,

Dr. Kyung-Heup Ahn

학문으로써의 의학을 직업으로 삼기

Dr. William Oh

 

15:00 - 17:20

(사파이어 룸 A)

세션 8: 위암

좌장 (한국) Dr. Hoo Geun Chun

좌장 (미국) Dr. Han-Kwang Yang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과 위암

Dr. Woo Jin Kim

위암의 내시경 치료

Dr. Il Ju Choi

진행성 위암의 최소 침습적 수술

Dr. Woo Jin Hyung

체계적 위암 치료의 발전

Dr. Yoon-Koo Kang

미국 내 위암 치료의 도전과제

Dr. Yanghee Woo

위암 치료의 세계 표준화

Dr. Han-Kwang Yang

패널 토론 (Q&A)

 

15:00 - 17:20

(사파이어룸 B)

특별 세미나 B: 학부생 / 레지던트 세미나

좌장 (한국) Dr. Hye Yeon Lee

좌장 (미국) Dr. Stanley Kim

국제사회가 의사에 대해 기대하는

역할과 공헌

Dr. Dong Chun Shin

외국 의과 대학 출신 의사(FMG)

미국 수련의 과정 이수에 대한 고찰

Dr. David Kim

외국 의과 대학 출신 의사의

미국 내 수련 및 개업

Dr. Joon Song

개인적 경험 및 사례

Dr. Steve Sung Wu Sun

개인적 경험 및 사례

Dr. Kyung-Heup Ahn

미국 의사 협회의 역할

Dr. Robert M. Wah

패널 토론 (Q&A)


김영숙 기자 kimybceo@hanmail.net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