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의료기기 고속 성장..인구고령화. 성형시술 따른 필러 제품이 성장 이끌어

  • 등록 2016.05.12 13:55:32
크게보기

식약처 집계 결과,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5조 16억원 ‘14년(4조 6,048억원) 대비 8.6% 증가 ’11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도 10.4%로 고속 성장세를 유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5조 16억원으로 ‘14년(4조 6,048억원) 대비 8.6% 증가하였으며, ’11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도 10.4%로 고속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생산실적(억원): 33,664(’11)→ 38,773(’12)→ 42,241(’13)→ 46,048(’14)→50,016(’15) 
 -생산실적 상위 30위 품목 현황               
                                                                                                        (단위 : 백만원, %)

순위

품목명

생산금액

비중

1

치과용임플란트

648,000

13.0

2

초음파영상진단장치

441,704

8.8

3

의료용영상처리용장치·소프트웨어

166,405

3.3

4

디지털엑스선촬영장치

160,091

3.2

5

소프트콘택트렌즈

149,697

3.0

6

시력보정용안경렌즈

122,752

2.5

7

치과용귀금속합금

116,157

2.3

8

조직수복용생체재료

109,239

2.2

9

의료용프로브

107,971

2.2

10

전산화단층엑스선촬영장치

104,772

2.1

11

레이저수술기

89,855

1.8

12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

88,292

1.8

13

개인용면역화학검사지

87,355

1.7

14

주사기

85,478

1.7

15

개인용온열기

71,924

1.4

16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65,703

1.3

17

추간체고정보형재

64,711

1.3

18

개인용조합자극기

60,247

1.2

19

수액세트

59,339

1.2

20

부목

58,036

1.2

21

보청기

56,713

1.1

22

혈당측정기

54,147

1.1

23

치과용진료장치및의자

53,668

1.1

24

고위험성감염체유전자검사시약

52,983

1.1

25

의약품주입펌프

50,551

1.0

26

초음파수술기

48,711

1.0

27

주사침

48,216

1.0

28

치과용비귀금속합금

45,613

0.9

29

창상피복재

43,205

0.9

30

스텐트

42,451

0.8

3,353,984

67.1

또한 의료기기 수출은 27.1억달러로 전년 대비 5.2% 증가한 반면, 의료기기 수입은 29.4억달러로 전년 대비 0.9% 감소하여 무역적자가 `14년 대비 41% 크게 줄었다. 무역수지 적자 : 3.9억(`14)→ 2.3억(`15) 
 

이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수출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중국 수출(억달러): 1.06(’11)→ 1.75(’12)→ 2.31(’13)→2.54(’14)→3.31(’15)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국내 의료기기 생산 지속적으로 증가 ▲인구고령화 및 성형시술에 따른 관련 의료기기 생산 증가 ▲수출 증가 및 수입 감소로 무역적자 대폭 줄어 등이었다.


  < 국내 의료기기 생산 지속적으로 증가 >
지난해 국내 제조업 성장률은 1.3%이었으나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14년(4조 6,048억원) 대비 8.6% 증가한 5조 16억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5조 2,656억원으로 전년(5조 199억원)에 비해 4.9% 증가하였다. 


품목별로는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로 치과용임플란트(6,480억원)의 생산이 가장 많았으며 초음파영상진단장치(4,417억원), 의료용영상처리용장치·소프트웨어(1,664억원)가 뒤를 이었다.
 

제조업체로는 오스템임플란트(4,849억원), 삼성메디슨(주)(2,547억원), 한국지이초음파(유)(1,232억원) 순이었으며, 상위 15개사가 전체 생산의 32.9%(1조 6,433억원)를 차지하였다.


< 인구고령화 및 성형시술에 따른 관련 의료기기 생산 증가 >
의료기기 상위 15위 품목 중 전년대비 생산이 가장 크게 증가한 품목은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이다. 특히,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는 1,092억원으로 ‘14년(595억원) 대비 83.5% 증가하였다.
 

이는 미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얼굴 주름 부위의 개선을 위한 성형용 필러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중국 성형시장의 증가로 중국 수출이 급증하였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영향으로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가 883억원으로 전년(636억원) 대비 38.7% 증가하였으며, 치과용임플란트 6,480억원, 치과용귀금속합금 1,162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각 8.3%, 11.5% 늘어났다. 


< 수출 증가 및 수입 감소로 무역적자 대폭 줄어 >
지난해 의료기기 수출은 27.1억달러로 전년도 25.8억달러 보다 5.2% 증가하였고, 의료기기 수입은 29.4억달러로 전년도 29.7억 달러에 비하여 0.9% 감소하여 ’15년 무역적자는 2.3억달러로 전년(3.9억달러) 대비 41.% 크게 줄었다.
 

국내 의료기기가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미국(4.8억달러), 중국(3.3억달러), 독일(2.3억달러), 일본(1.9억달러) 순이었다.
 

특히, 전년 대비 수출 증가율은 사우디아라비아(43.%)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중국(30.3%), 미국(18.2%), 베트남(14.2%), 독일(14.3%), 태국(14.6%) 순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에 고루 수출이 늘었다.


수출 상위업체는 한국지이초음파(유)가 2.4억달러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삼성메디슨(주)(1.9억달러), (주)에스디(1.2억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의료기기 수출 상위 품목들은 초음파영상진단장치(5억달러),  치과용임플란트(1.5억달러), 디지털엑스선촬영장치(1.2억달러) 순이었다.
 

수입 상위업체는 한국존슨앤존슨메디칼(주)(1.4억달러), 한국로슈진단(1.2억달러), 지멘스헬스케어(주)(1.1억달러) 순이다.수입 상위 품목은 소프트콘텍트렌즈(1.3억달러), 스텐트(1.2억달러), 인공신장기용여과기(0.7억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최근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증가하는 것은 국내 의료기기의 안전과 품질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제도의 합리화 및 국제조화 등을 통해 국제 경쟁력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장건오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