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는 치매를 나이가 들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노망’이나 ‘망령’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으나, 오늘날에는 정상 노화과정에서 오는 인지 기능의 감퇴와는 다른 특별한 질병으로 구분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노령인구가 급속히 증가해 2015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 인구의 13.1%에 도달했고, 자연히 치매환자 수도 늘어나게 되었다.
치매의 원인
치매의 원인은 수십 가지가 있는데, 원인을 치료하면 나아지는 가역성 치매와 원인 치료가 어려운 비가역성 치매로 구분된다. 가역성 치매를 일으키는 질환으로는 비타민 결핍이나 일시적인 뇌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감염성 뇌질환, 수두증, 두부외상, 다발성경색증 등이 있다. 비가역성 치매를 일으키는 질환은 퇴행성 뇌질환이 대표적이며 알츠하이머병, 전두측두엽변성, 파킨슨병과 크루츠펠트-야곱씨 질환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치매가 전체 치매환자의 90%를 차지한다. 치매는 신경세포가 오랜 세월에 거쳐 손상이 반복된 결과로 증상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만성 퇴행성 뇌질환이다. 즉, 치매는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나는 질환이 아니고 증상이 발현되기까지 적어도 15~20년 전부터 뇌 조직에 병리적 변화가 시작되는 잠복기가 매우 긴 퇴행성 신경 질환인 셈이다.
치매 의심 증상
치매는 다른 병들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치매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치매는 가장 흔하게 기억력 장애를 보인다.
그러나 깜빡한 내용을 주위에서 상기시켜줬을 경우 금방 기억해내는 건망증과 달리 방금 한 일도 기억하지 못하고 엉뚱한 소리를 한다. 또한 감정 조절이 되지 않고, 인격이 변하며, 갈 길을 잃고, 계획적 행동을 하지 못하는 등 인지 기능의 손상이 나타난다.
정신질환에서나 나타날 수 있는 과도한 망상 증상이나 환각 증상에 의해 일어나지도 않은 일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의심을 하는 등의 증상도 치매를 의심해 보아야 한다.
치매 예방법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체적 건강을 잘 유지하는 것이 기본이다. 특히 뇌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고혈압, 당뇨, 비만, 고지혈증, 흡연 등 여러 위험인자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조절하는 것은 혈관성 치매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나이가 들어도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적극적인 사회생활이나 여가생활을 하면서 치매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일거리를 찾고 독서, 취미활동, 친목모임 등의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은 “규칙적이고 적당한 운동은 치매예방에 필수적이므로 하루에 30분씩 매일 걷고, 과음과 흡연은 피하는 것이 좋다. 과식과 지나친 카페인 섭취를 피하고,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한다.”며 “좋은 지방을 많이 함유한 해산물, 등푸른 생선, 견과류, 아마씨, 올리브유 등과 항산화 작용을 하는 자두, 블루베리, 딸기, 시금치, 브로콜리, 케일 등의 색이 짙은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