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임상의 일차 평가변수인 전체 생존기간(OS) 데이터에서 지오트립® 복용군은 게피티닙 복용군보다 사망위험이 수치상 14% 낮았지만,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HR 0.86 [0.66-1.12], p=0.258).지오트립® 치료군과 게피티닙 치료군의 생존기간 중앙값은 각각 27.9 개월, 24.5 개월로 통계적 유의성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지오트립® 치료군의 전체 생존기간(OS)이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다.1 아울러, 지오트립® 치료군에서 관찰된 전체 생존기간(OS)은 일반적인EGFR 변이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1. 이번 임상에 관한 세부적인 데이터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10월 7-11일간 열리는 2016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발표되었다.
LUX-Lung 7 임상을 총괄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암의학연구소(ICMI, Innovative Cancer Medicine Institute)소장 박근칠 교수는 “지오트립®은 LUX-Lung 7 임상을 통해 1세대 치료제 대비 폐암 질환 진행을 27%까지 유의하게 감소시키고(HR 0.73 [0.57-0.95], p=0.017), 치료 실패 위험도 27%까지 유의하게 감소시키는(HR 0.73 [0.58-0.92], p=0.0073) 고무적인 결과를 보인 것에 이어, 전체 생존기간(OS)도 연장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비록, 전체 생존기간(OS)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지오트립®은 이미 유의한 무진행 생존기간(PFS, Progression-Free Survival) 연장 및 치료 실패까지 걸리는 시간(TTF, Time to Treatment Failure)을 지연시킨 결과를 보여주어 충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한 바, EGFR 변이 양성 폐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서 우수한 치료 혜택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EGFR 표적 치료제를 직접 비교한 LUX-Lung 7임상을 통해 1세대 EGFR 억제제 대비 보다 광범위한 억제 효과를 가진 ErbB Family차단제인 2세대 EGFR 억제제 지오트립®이 우수한 치료 혜택을 보이며, EGFR 변이 양성 폐암 환자의 일차 치료제 선택에 있어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LUX-Lung 7의 공동 책임연구자인 스페인 마드리드 12 데 옥투브레 대학병원 루이스 파즈-아레스(Luis Paz-Ares) 교수는 “비록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지오트립®은 게피티닙 대비 전체 생존기간(OS)을 3.4개월 연장해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며, “이와 함께, 지오트립® 치료군에서 무진행 생존기간(PFS)과 치료 실패까지 걸리는 시간(TTF)도 유의하게 개선한 결과를 이미 보인 바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치료제의 차이점에 대해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최신 임상 결과를 통해, 글로벌 제2b상 LUX-Lung 7 임상의 독립적 검토위원회가 평가한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치료 실패까지 걸리는 시간(TTF, 치료 시작부터 어떠한 이유로든 치료를 중단한 시점까지 시간 측정)이라는 공동 일차 평가 변수를 충족시킨 1차 분석 결과가 재확인됐다.1,지난 2015년에 발표된 결과에서도 지오트립®은 게피티닙 대비 폐암 진행 위험 및 치료 실패 위험을 각각 27% 유의하게 감소시킨 바 있으며, 무진행 생존기간(PFS) 개선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눈에 띄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인 바 있다.2.
또한, 치료 시작 후 24개월 시점에서 지오트립® 치료군에서 게피티닙 대비 두 배 이상 더 많은 수의 환자가 질병 진행 없이 생존했으며 (18 개월 후: 27.3% vs 15.2%, 24 개월 후: 17.6% vs 7.6%) 유의하게 더 많은 환자에게서 객관적 종양 반응(ORR: 임상적으로 유의한 종양 크기의 감소)을 보였다(70% vs 56%, p=0.0083).2.
LUX-Lung 7 임상의 환자 보고 결과(PRO) 측정 시, 지오트립® 및 게피티닙 치료군 모두 유사한 개선을 보였으며, 지오트립® 치료군은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서 게피티닙 대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 지오트립®과 게피티닙 두 치료군 모두 전반적으로 유사한 내약성을 보였으며, 두 군에서의 약물과 관련된 원인으로 인한 치료 중단율도 동일했다 (6%).2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이상반응(AE)은 기존에 알려진 두 약물의 안전성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일관되게 나타났다. 2. 지오트립®은 이상반응 관리를 위해 정해진 기준을 충족한 환자를 대상으로 용량 조절이 가능했으며, 이는 치료 효과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1 게피티닙은 한 가지 용량만 사용 가능하여 용량 조절은 없었다.2.
베링거인겔하임의 고형암 치료 분야 부서장 메흐디 사히디(Mehdi Shahidi) 박사는 “베링거인겔하임의 목표는 의료진과 환자들 각각의 요구에 따라 현명한 치료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EGFR 표적치료제 사용에 대한 임상적인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라며, “LUX-Lung 7 임상 연구의 전체 결과는 환자에게 1세대 치료제와 비교해 2세대 치료제인 지오트립®의 차별성을 보여줌으로써, 명확한 치료 혜택을 강조할 수 있는 더 많은 근거를 재차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