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속도로에서 고속버스기사의 졸음운전으로 4명이 숨지는 대형사고가 발생하였다. 블랙박스 영상에 의하면 버스는 앞차와 간격이 좁아짐에도 속도를 줄이지 않고 그대로 추돌하고 수십미터를 더 진행하였다. 지난해에도 관광버스 기사의 졸음운전으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하였다. 졸음운전은 음주운전과 함께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운전자 400명을 대상으로 졸음운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1주일간 10명 중 4명이 졸음운전을 경험했으며, 그 중 19%는 사고가 날 뻔한 ‘아차사고’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졸음운전 사고!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대한신경과학회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교수 제안 내용을 간추려 싣는다. (편집자 주.).
-졸음운전에 대한 대책 제안
졸음운전시의 운전자의 의식 상태는 수초에서 수십초동안 외부의 자극을 감지하지 못하며 반응을 전혀하지 못하는 수면상태로 소위 미세수면(microsleep) 상태가 된다. 시속 100 km로 달리는 차의 운전자가 10초 정도만 미세수면상태가 되더라도 약 280여 미터를 무의식중에 달리게 되는 것이다.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일반 교통사고와 달리, 위험을 피하고자 하는 회피반응이 없게 되고 따라서 인명사고를 동반하는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고, 치사률이 일반 교통사고의 2배나 된다. 최근 3년간(’12∼’14년) 고속도로 사고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망자(942명)의 10.8%인 102명이 졸음운전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졸음운전 치사율은 16.1명으로 전체 고속도로 사고 치사율 9.1명보다 약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 보도자료, 2015). 즉, 대형사고 위험이 높고, 사망률이 타 원인에 의한 교통사고 보다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2013∼2015년 3년간 졸음운전 교통사고 건수는 7천639건으로 359명이 사망하여, 해마다 120명이 졸음운전 때문에 목숨을 잃은 셈이다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통계는 본인의 진술이나 정황에 의존해서 원인을 추정해야 하고, 혈중 알코올농도 처럼 현장에서 시행 가능한 객관적인 검사 방법이 없으며, 졸음운전이 하나의 주요 원인항목으로 되어 있지 않아, 통계에 잡히지 않음으로 조사된 통계치보다 휠씬 더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많음을 고려해야 한다. 경찰청 통계에 의하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은 심야인 새벽 2-6시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새벽은일주기리듬에서 가장 깊이 잠드는 시간으로 수면-각성 주기가 교통사고의 사망과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자료이다 (2016년판 교통사고통계요약). -졸음운전의 원인
수면무호흡으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는, 아무리 잠을 많이 자더라도 양질의 수면을 취할 수 없으므로 역시 졸음운전으로 이어지므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캐나다에서는 상업적 대형차량 운전자에 대해서 운전적성 검사에서 폐쇄성수면무호흡증후군이 있는 경우 부적격으로 간주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는 의사의 소견서가 없다면 운전을 할 수 없다. 영국에서는 수면무호흡증후군을 진단받을 경우 교통 당국에 신고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무시하고 운전을 하다가 이 질환과 관련된 사고에 연루되었을 경우 1,000 파운드(한화 약 14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한다. 자동차나 운전자에게 적용하여 졸음운전을 방지한다고 하는 다양한 스마트기기 혹은 IoT 기기들이 최근에 속속 개발되고 있으나, 완전 자율주행차가 아니라면 일시적인 방편에 불과하고 과신해서는 안 될 것이다. -졸음운전에 대한 대책 제안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대책을 제안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