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술 우리 자본으로 개발한 당뇨 신약 '듀비에'...글로벌 新藥 되나?

  • 등록 2017.06.14 08:55:22
크게보기

서울의대 임수 교수팀, 종근당, ‘듀비에’ 3제 요법의 유효성과 안전성 입증 2017 미국당뇨병학회서 임상결과 발표, 지난해는 비알콜성지방간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지방간 개선과 관련 연세의대 이병완 교수 발표.

우리기술 우리자본으로 개발한 당뇨신약이 다수 임상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이 재확인 되면서 글로벌 신약으로의 도약도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해 비알콜성지방간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지방간 개선과 관련 연세의대 이병완 교수팀이 미국당뇨병학회에서 발표,각국의 임상의로부터 많은 관심을 이끈데 이어 최근 서울대 임수교수의 임상발표로 어느때 보다 듀비에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즈옥되고 있다.


종근당(대표 김영주)의 당뇨병 치료 신약 ‘듀비에’의 3제 병용요법이 고위험군의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초기 치료에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을 보인다는 임상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


서울의대 임수 교수(사진)는 최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017 미국당뇨병학회’에서 당뇨병 치료제 듀비에(성분명: 로베글리타존)의 새로운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은 당뇨병 치료제 3제 병용 요법과 2제 요법의 안전성과 혈당개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당화혈색소(A1C)가 9% 이상으로 매우 높고 혈당강하제 치료경험이 없는 제2형 당뇨병 환자 18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임수 교수팀은 환자들을 로베글리타존, 메트포르민, 시타글립틴 3제 요법 투여군과 기존의 2형 당뇨병 치료에 많이 쓰이는 메트포르민, 글리메피라이드 2제 요법 투여군으로 나눠 약 1년간 혈당 개선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관찰했다.


임상결과에 따르면 로베글리타존 3제 요법 투여군은 2제 요법 투여군 대비 당화혈색소 감소효과가 우수했으며 저혈당증의 부작용 발현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2제요법 투여군과 달리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 베타세포의 분비기능을 평가하는 HOMA-IR과 HOMA- β의 지수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임수 교수는 “이번 임상 결과로3제 요법이 중증의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초기 치료에 새로운 선택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이라며 “국내 개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듀비에로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미국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는 매년 전 세계 약 2만명의 당뇨병 전문가가 참여해 최신 식견을 나누고 당뇨병 치료의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국제학회 중 하나다. 종근당 듀비에는 2016년에도 비알콜성지방간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환자의 지방간 개선과 혈당강하 효과에 대한 임상결과를 발표하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비알콜성지방간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지방간 개선과 관련 연세의대 이병완 교수팀은 지난해 6월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제76회 미국당뇨병학회’에서 국내 개발 당뇨병 치료 신약 듀비에(성분명: 로베글리타존)의 임상결과를 발표, 화제를 모았었다.


지난해 발표한 임상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11월까지 신촌세브란스병원, 서울삼성병원, 강북삼성병원,서울대병원, 전북대병원 등 국내 5개 기관에서 신촌세브란스병원, 서울삼성병원, 강북삼성병원,서울대병원, 전북대병원 등 국내 5개 기관에서 진행됐다.


한편 듀비에는 종근당이 개발한 국내 20호 신약(상세 내용 아래 국내 신약 개발 허가 사항 참조)으로 치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 TZD) 계열의 약제이다. 치아졸리딘디온 계열의 약제는 지방대사와 관계가 높은 유전자인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의 활성화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켜 당뇨병을 치료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국내 개발 신약 현황

연번

제품명

회사명

주성분

효능효과

비고

1

선플라주

에스케이케미칼()

헵타플라틴

항암제(위암)

‘99.7.15

(‘93.7.20)

2

이지에프외용액

()대웅제약

인간상피세포성장인자

당뇨성 족부

궤양치료제

‘01.5.30

(‘97.3.4)

3

밀리칸주

동화약품공업()

질산홀뮴-166

항암제(간암)

‘01.7.6

(‘97.5.28)

4

큐록신정

제이더블유중외제약()

발로플록사신

항균제(항생제)

‘01.12.17

(‘93.5.6)

5

팩티브정

()엘지생명과학

메탄설폰산제미플록사신

항균제(항생제)

‘02.12.27

미국 FDA 허가('03.4.4)

6

아피톡신주

구주제약()

건조밀봉독

관절염치료제

‘03.5.3

(‘99.11.29)

7

슈도박신주

씨제이제일제당()

건조정제슈도모나스백신

농구균예방백신

‘03.5.28

(‘95.1.26)

8

캄토벨주

()종근당

벨로테칸

항암제

‘03.10.22

9

레바넥스정

()유한양행

레바프라잔

항궤양제

‘05.9.15

10

자이데나정

동아제약()

유데나필

발기부전치료제

'05.11.29

11

레보비르캡슐

부광약품()

클레부딘

B형간염치료제

'06.11.13

('01.06.13)

12

펠루비정

대원제약()

펠루비프로펜

골관절염치료제

'07.4.20

13

엠빅스정

에스케이케미칼()

미로데나필염산염

발기부전치료제

‘07.7.18

14

놀텍정

일양약품()

일라프라졸

항궤양제

‘08.10.28

15

카나브정

보령제약()

피마살탄칼륨삼수화물

고혈압치료제

‘10.9.9

16

피라맥스정

신풍제약()

피로나리딘인산염,알테수네이트

말라리아치료제

‘11.8.17

17

제피드정

제이더블유중외제약()

아바나필

발기부전치료제

‘11.8.17

18

슈펙트캡슐

일양약품()

라도티닙염산염

항암제(백혈병)

‘12.1.5

19

제미글로정

()엘지생명과학

제미글립틴타르타르산염

당뇨병치료제

‘12.6.27

20

듀비에정

종근당

로베글리타존황산염

당뇨병치료제

ʹ13.7.4

21

리아백스주

()카엘젬백스

테르토모타이드염산염

항암제

ʹ14.9.15

22

아셀렉스캡슐

크리스탈지노믹스()

폴마콕시브

골관절염치료제

ʹ15.2.5

23

자보란테정

동화약품()

자보플록사신D-

아스파르트산염수화물

항균제(항생제)

ʹ15.3.20

24

시벡스트로정

동아에스티()

테디졸리드포스페이트

항균제(항생제)

ʹ15.4.17

25

시벡스트로주

동아에스티()

테디졸리드포스페이트

항균제(항생제)

ʹ15.4.17

26

슈가논정

동아에스티()

에보글립틴타르타르산염

당뇨병치료제

ʹ15.10.2

27

올리타정

한미약품()

올무티닙염산염일수화물

항암제

ʹ16.5.13

28

베시보정

일동제약()

베시포비르디피복실말레산염

B형간염치료제

`17.5.15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