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물질인 벤조피렌 등 유해물질 50종 그물망 분석 탄력

  • 등록 2017.07.26 09:40:05
크게보기

식약처, 총식이조사를 위한 유해물질 분석법 발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식품을 가공‧조리하면서 생성되는 벤조피렌, 에틸카바메이트 등 유해물질 50종에 대한 분석법을 담은 ‘총식이조사에서의 유해물질 분석법 편람(가공 및 조리과정 중 생성되는 유해물질)’을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법은 유해물질 위해평가를 위한 총식이조사(TDS)에 활용할 수 있도록 먹기 직전 상태로 처리 또는 조리된 식품 중에서 제조·가공·조리 중 생성되는 유해물질 함량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하였다.
  

총식이조사(Total Diet Study: TDS)란 섭취하기 직전 상태로 처리 또는 조리된 식품의 유해물질 함량 분석을 통해 유해물질 섭취량을 추정하는 것으로 WHO가 추천하는 가장 실제에 가까운 노출량 평가 방식이다.


분석법 주요 내용은 ▲총식이조사 개요 ▲유해물질 분석 시료의 매트릭스 분류 ▲분석법 검증 ▲유해물질 50종류 분석법 등이다.


  -유해물질 50종 리스트 

번호

물질명

1

헤테로사이클릭아민률

(Heterocyclic Amines)

IQ

2-아미노-3-메틸-이미다조[4,5-f]퀴놀린

2

MeIQ

2-아미노-3,4-디메틸이미다조[4,5-f]퀴놀린

3

MeIQx

2-아미노-3,8-디메틸이미다조[4,5-f]퀴녹살린

4

PhIP

2-아미노-1-메틸-6-페닐이미다조[4,5-b]피리딘

5

Glu-P-1

2-아미노-6-메틸디피리도[1,2-a:3’,2’-d]이미다졸

6

Glu-P-2

2-아미노디피리도[1,2-a:3’,2’-d]이미다졸

7

Trp-P-1

3-아미노-1,4-디메틸피리도[4,3-b]인돌

8

Trp-P-2

3-아미노-1-메틸피리도[4,3-b]인돌

9

A-α-C

2-아미노피리도[2,3-b]인돌

10

MeA-α-C

2-아미노-3-메틸피리도[2,3-b]인돌

11

Harman

하르만

12

Norharman

노르하르만

13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아크릴아마이드

14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aA

벤조[a]안트라센

15

Chry

크리센

16

BbF

벤조[b]플루오란텐

17

BkF

벤조[k]플루오란텐

18

3 MC

3-메틸콜란트렌

19

BaP

벤조[a]피렌

20

DahA

디벤조[a,h]안트라센

21

BghiP

벤조[g,h,i]페릴렌

22

IcdP

인데노[1,2,3-c,d]피렌

23

트랜스지방(Trans fat)

트랜스지방

24

퓨란(Furan)

퓨란

25

할데하이드류(Aldehydes)

Acetaldehyde

아세트알데하이드

26

Formaldehyde

포름알데하이드

27

에틸카바메이트(Ethyl carbamate)

에틸카바메이트

28

바이오제닉아민류

(Biogenic Amines)

Trp

트립타민

29

Phe

β-페닐에틸아민

30

Put

푸트레신

31

Cad

카다베린(카다바린)

32

His

히스타민

33

Tyr

티라민

34

Spd

스페르미딘(스퍼미딘)

35

Spm

스페르민(스퍼민)

36

니트로사민류

(Nitrosamines)

NDMA

N-니트로소디메틸아민

37

NDEA

N-니트로소디에틸아민

38

NDBA

N-니트로소디부틸아민

39

NPYR

N-니트로소피롤리딘

40

NPIP

N-니트로소피페리딘

41

NMOR

N-니트로소모르폴린

42

NMEA

N-니트로소메틸에틸아민

43

트리할로메탄류

(Trihalomethane)

Chloroform

클로로포름

44

BDCM

브로모디클로로메탄

45

DBCM

디브로모디클로로메탄

46

Bromoform

브로모포름

47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에틸렌옥사이드

48

벤젠(Benzene)

벤젠

49

3-MCPD

3-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

50

1,3-DCP

1,3-디클로로프로판올


해당 분석법은 같은 식품이라도 조리 방법 등에 따라 유해물질 생성량(노출량)이 달라질 수 있어 우리 국민이 주로 섭취하는 식품의 조리방식인 볶기, 삶기, 찌기, 굽기, 튀기기 등으로 만들어진 식품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안전평가원은 이번 분석법 발간으로 우리 국민이 실제로 섭취하는 식품을 통해 노출되는 유해물질 위해평가 조사 단계에서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제조·가공·조리 중 생성되는 유해물질 저감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정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