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의 불편한 진실... 여성이 남성의 2배 진료비 총액도 5년 새 2배 증가

  • 등록 2017.10.12 08:13:54
크게보기

전혜숙의원,여성의 고지혈증 위험, 사회적 관심과 배려 필요

혈액 내 지방성분이 많으면 발생하는 혈관질환 고지혈증은 최근 늘어난 비만인구만큼 발병빈도 또한 크게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고지혈증 환자는 2012년부터 2015년 까지 매 해 10만명씩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왔고 2016년에는 한 해만에 30만명이 늘었다. 또한 고지혈증 치료에 지출된 전체 진료비도 2012662억원에서 2016년에는 1,140억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고지혈증의 원인으로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부족, 비만, 과도한 음주와 스트레스를 꼽고 있어, 생체활동량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4, 50대 직장인 남성을 중심으로 고지혈증 위험 인지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하지만 국회의원 전혜숙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통계 자료에 따르면, 고지혈증 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약 1.5배 많고 50대 이상 중년 여성의 경우 같은 기준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2016년 기준, 고지혈증 남자 환자는 총 694,539명으로 같은 해 여성 환자는 1,060,442명으로 나타났으며, 50대 이상 고지혈증 남성 환자는 448,014명이지만 50대 이상 여성 환자는 921,727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지혈증 치료를 위해 지출된 진료비 역시 마찬가지다. 2016년 한 해, 고지혈증 치료를 위해 지출된 진료비는 남성이 약 425억원인데 반해 여성은 약 715억원으로 1.7배가 많고, 50대 이상을 기준으로 하면 남성은 약 278억원을 진료비로 지출한 것에 반해 여성은 약 615억원으로 남성에 2배 이상 많이 지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혜숙의원은 고지혈증이 술, 담배, 격무에 시달리는 중년남성의 대표적 질환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실제로는 중년여성에 약 2배 많은 발병이 일어나고 있고 진료비 부담 또한 크다,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는 의학적 이유 외에, 여성의 사회적 참여 확대에도 불구하고 집안일, 육아 등 가정 속여성의 역할을 강요하는 사회적 이유 또한 크다. 우리 사회의 여성 건강을 위한 특별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5년간 고지혈증 환자 수 및 진료비

 

2012

2013

2014

2015

2016

환자수()

1,226,320

1,282,588

1,384,051

1,487,825

1,754,981

진료비(천원)

66,248,466

72,874,073

81,685,300

90,649,498

114,005,892

* 동일 환자가 연도별 여러번 진료를 받을 경우 구간 사이 중복이 나타날 수 있음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근 5년간 고지혈증 환자 수 성별 및 50세 이상 구분

(단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485,043

503,646

548,894

588,152

694,539

741,277

778,942

835,157

899,673

1,060,442

50세이상

298,762

311,920

346,570

376,910

448,014

625,612

658,905

716,170

779,343

921,727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년 기준, 고지혈증 환자 수 성별 및 연령별 그래프

(단위: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가공

 

최근 5년간 고지혈증 진료비 성별 및 50세 이상 구분

(단위: 천원)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25,310,349

27,536,270

30,885,467

33,991,457

42,516,730

40,938,117

45,337,803

50,799,833

56,658,041

71,489,162

50세이상

15,900,038

17,422,275

19,815,787

22,039,950

27,788,451

34,103,052

38,072,515

43,034,733

48,507,038

61,463,726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노재영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