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이른바 오십견환자가 줄고 있다.
오십견은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5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최근 몇년 사이 환자 발생이 줄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십견‘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시 문제점에 대해 “통증과 관절운동 범위 제한이 점차 심해져 일상생활을 하는데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오십견’수술 후 재활운동에 대해 “통증을 완화시키고 관절운동 범위를 회복시키고 어깨 움직임과 안정화에 관여하는 근육의 강화를 위해 재활치료는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2016년 오십견(M75.0) 질환으로 진료받은 진료인원은 2011년 74만 6천 명에서 2016년 74만 2천 명으로 대비 0.6% 감소하였다.
남성은 2011년 28만 3천 명에서 2016년 29만 7천명으로 대비4.8%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1년 46만 3천 명에서 2016년 44만 5천 명으로 대비 3.9% 감소하였다.
< 연도별 ‘오십견’ 질환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
(단위 : 명)
구분 | 전체 | 9세 이하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이상 |
계 | 741,690 | 49 | 1,432 | 7,297 | 22,040 | 104,090 | 234,473 | 193,898 | 178,411 |
(100%) | (0.0%) | (0.2%) | (1.0%) | (3.0%) | (14.0%) | (31.6%) | (26.1%) | (24.1%) | |
남성 | 296,867 | 28 | 916 | 4,624 | 12,659 | 44,709 | 93,505 | 82,539 | 57,887 |
(100%) | (0.0%) | (0.3%) | (1.6%) | (4.3%) | (15.1%) | (31.5%) | (27.8%) | (19.5%) | |
여성 | 444,823 | 21 | 516 | 2,673 | 9,381 | 59,381 | 140,968 | 111,359 | 120,524 |
(100%) | (0.0%) | (0.1%) | (0.6%) | (2.1%) | (13.3%) | (31.7%) | (25.0%) | (27.1%) |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50대(23만 4천 명, 31.6%)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19만 4천명, 26.1%), 70대 이상(17만 8천 명, 24.1%)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50대(9만 4천 명, 31.5%)가 가장 많았고, 60대(8만 3천 명,27.8%), 70대 이상(5만 8천 명, 19.5%) 순이며, 여성은 50대(14만 1천 명, 31.7%)가 가장 많았고, 70대 이상(12만 1천명, 27.1%), 60대(11만 1천 명, 25.0%) 순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남성은 70대 이상 3,310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3,272명, 50대 2,255명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 4,696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4,182명,50대 3,437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오십견’ 질환의 수술여부 진료현황을 살펴본 결과, ‘수술을 받은 환자’는 2011년 6,205명에서 그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6년에는 11,333명으로 대비 82.6%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이는 전체 진료인원 증가율(-0.6% 감소)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오십견’ 질환의 진료비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 1,029억 원에서 2016년 1,207억원으로 178억 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기간에 입원의 진료비는 83억 원에서 147억 원으로 연평균 12.2% 증가하였고, 외래의 진료비는 947억 원에서 1,060억 원으로 연평균 2.3%증가하였다.
-오십견의 증상과 치료
❍ ‘오십견 ‘질환의 원인과 치료 - (치료) 통증 감소와 관절 운동범위 회복을 목표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에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보존적 치료를 원칙으로 한다. - (운동) 오십견의 치료에 중요한데, 능동적, 수동적 스트레칭으로 관절 운동범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며, 통증이 좋아지고 기능적 관절 운동범위가 회복되면 근력강화 운동을 해주도록 한다. -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소염제를 복용할 수 있고, 통증과 염증을 줄이기 위해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시행한다. - 이러한 보존적 치료를 6개월 이상 하였음에도 관절 운동범위 제한이 지속되면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해줄 수 있다. ❍ ‘오십견’ 질환의 증상
-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기도 하는데, X-ray 검사에서는 보통 정상 소견을 보이나 석회화 건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 다른 질환과의 감별에 도움이 되며, 초음파 검사나 MRI 검사는 회전근개 파열이나 점액낭염 등의 병리 확인에 도움이 된다. ❍ ‘오십견’ 질환의 조기치료 필요성 및 예방법 도움말: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전하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