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펜타닐 등 3개 물질 임시마약류 신규 지정

  • 등록 2017.12.08 10:16:50
크게보기

식약처, 메피라핌 등 3개 물질 재지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국내‧외에서 마약류 대용으로 불법 사용되고 있는 신종물질인 ‘아크릴펜타닐(Acrylfentanyl)’ 등 3종의 물질을 오는 12월 8일 임시마약류로 신규 지정하고 관보 및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정된 3개 물질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다행감, 환각 등을 나타내는 것들로 마약류와 동일하게 취급·관리되어 소지, 매매 등이 전면 금지된다.

또한, 지난 `14년 임시마약류로 지정한 메피라핌(Mepirapim) 등 3개 물질이 효력기간(3년)이 만료됨에 따라 임시마약류로 재지정·공고한다.


이번에 재지정되는 ‘Mepirapim’과 ‘LY2183240’은 칸나비노이드 계열, ‘2C-N’은 암페타민 계열의 물질로 일본, 영국 등에서도 판매 및 소지 등을 금지하고 있다.


이번에 임시마약류로 신규 지정된 물질은 신규 지정‧예고일부터 마약류와 동일하게 취급·관리되어 소지, 소유, 사용, 관리, 수출·입, 제조, 매매, 매매의 알선 및 수수 행위 등이 전면 금지되며 압류될 수 있다.


또한, 임시마약류로 공고된 이후에는 마약류와 동일하게 불법으로 소지하는 등의 경우 1년 이상의 징역을, 수출·입, 제조, 매매, 매매알선, 수수하는 경우에는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을 받는다.


 참고로 식약처는 지난 ’11년부터 ‘임시마약류 지정제’를 시행하여 169종을 지정하였으며, 이중 ‘MDPV’ 등 62종은 의존성 여부 평가 등을 거쳐 마약류로 지정했다.

식약처는 이번 임시마약류 지정·공고를 통해 신종 불법 마약류 유통과 오‧남용 차단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향후에도 검찰·경찰·관세청 등 관계 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신종 불법 마약류의 유통 등으로 국민 건강의 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알림→ 공고 또는 관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시마약류 신규지정 3물질 상세자료

연번

물질명

화학명칭

지정사유

1

Acrylfentanyl

(acryloylfentanyl)

N-phenyl-N-[1-(2-phenylethyl)-4-piperidinyl]acrylamide

. arylaminopiperidine 계열, opioid

. 중추신경계 작용, 진통효과는 모르핀의 160, μ-opioid 수용체 친화력은 펜타닐보다 강하다는 보고, 펜타닐보다 체내 작용시간이 길다고 보도 된 바 있음

. 스웨덴 사망사례(40), 미국 일부지역 사망사례(44) 보고, 헤로인, 펜타닐 및 다른 오피오이드 계열 진통제와 동등한 보건 상 위해가 있는 것으로 보고, 부작용으로 무의식, 호흡억제, 축동, 구토/오심, 빈맥, 불안, 저산소포화도, 현기증, 고혈압 등이 있음

. 정보없음

. 미국(Schedule I), 영국(fentanyl derivative), 일본(지정약물) 규제

2

Deschloroketamine

(2‘-oxo-PCM)

2-(methylamino)-2-phenylcyclohexanone

. arylcyclohexylamine 계열, phencyclidine

. 중추신경계 작용, 해리성 신종마약류로 분류(유럽 약물 및 약물남용 모니터링 센터 보고서)

. 케타민보다 효능이 강하고 작용 시간이 길다는 보고가 있음, 사용자 경험에 따르면 운동제어 상실, 오심, 다행감, 환각, 기억상실, 불면증 등이 나타날 수 있음, 미국 사망사례(1, 단독투여는 아님) 보고

. 정보없음

. 영국(2-amino-2-phenylcyclohexanone derivative), 일본(지정약물) 규제

3

AL-LAD

(8β)-6-allyl-N,N-diethyl-9,10-didehydroergoline-8-carboxamide

. ergoline 계열, hallucinogen

. 중주신경계 작용, D1 dopamine receptorpartial agonist로 작용

. 마우스를 이용한 머리흔들기 반응(head-twitch response) 시험 결과 AL-LAD 50, 100, 200, 400 μg/kg 투여군에서 머리흔들기 횟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는 보고, 랫드를 이용한 약물변별시험(Drug discrimination test) 결과 AL-LADLSD를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나 LSD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 LSD보다 약 2배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사용자들의 경험에 따르면 다행감, 오심, 흥분, 환각, 심박수 상승, 환청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 캐나다 발 국제등기우편으로 국내 반입 적발(인천세관, ’17.3)

. 영국(Class A)규제

 

임시마약류 재지정 3물질 상세자료

연번

물질명

화학명칭

지정사유

1

Mepirapim

(4-methylpiperazin-1-yl)(1-pentyl-1H-indol-3-yl)methanone

. (hetero)arylcarboxamide 계열, cannabinoid

. 중추신경계 작용

. 위해사례 및 의존성 평가 보고 없음

. 불법허브 제품에 혼입된 사례 확인(‘13, 일본) 및 국제우편을 통한 국내반입 확인(’14, 관세청)

. 영국(JWH-018 related compound), 일본(지정약물), 호주(synthetic cannabinomimetics) 규제

2

2C-N

2,5-dimethoxy-4-nitrophenethylamine

. phenethylamine 계열, amphetamine

. 중추신경계 작용, 5-HT2A 수용체 활성화

. 위해사례 및 의존성 평가 보고 없음

. 정보없음

. 미국(Schedule I), 영국(phenethylamine derivative), 일본(지정약물) 규제

3

LY2183240

N,N-dimethyl-5-[(4-biphenyl)methyl]tetrazole-1-carboxamide

. (hetero)arylcarboxamide 계열, cannabinoid

. 중추신경계 작용

. 위해사례 및 의존성 평가 보고 없음

. 국제우편을 통한 국내반입 확인(’14, 관세청)

. 호주(synthetic cannabimimetics) 규제

 

 


김민정 기자 kimybceo@hanmail.net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