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지난 해 우리나라 어린이의 식생활 안전과 영양관리 수준이 3년 전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과 영양수준을 보여주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를 조사한 결과로서 ‘17년 평균 점수는 73.27점으로 ’14년(67.54점)에 비해 5.73점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자치단체가 학교주변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확대‧운영하는 등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를 위한 노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는 지방자치단체 68%가 70~80점으로 `14년 대다수(64%)가 60~70점에 분포하였던 것과 비교하였을 때 지자체의 식생활 안전‧영양관리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 되었다.
80점 이상으로 평가받은 지자체는 18곳으로 ▲(대도시 6곳) 서울 성동구, 부산 영도구․사상구, 인천 중구, 울산 동구․북구 ▲(중소도시 5곳) 강원 강릉시, 전북 익산시․정읍시․남원시․김제시 ▲(농어촌 7곳) 경기 가평군, 강원 철원군, 충북 영동군, 충남 홍성군, 전북 진안군, 전남 곡성군․영암군 이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전북 남원시(82.35점)를 포함한 우수 지자체 18곳은 지난 3년간 학교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았고 영양교육 및 홍보 등 어린이 식생활 환경 개선에도 적극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식생활 환경에 따라 3개 권역으로 나누어 보면, 대도시는 73.50점, 중소도시는 73.11점, 농어촌이 73.58점으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안전분야는 농어촌이, 영양분야는 중소도시가, 인지·실천 분야는 대도시가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고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는「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식약처가 전국 228개 지방자치단체의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노력과 수준을 평가하여 수치화한 지표로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평가를 통해 식생활 환경개선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지자체의 역할과 노력을 이끌어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수준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우수 지방자치단체 중 권역별(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상위 2개 및 차상위 2개 기관을 선정하여 5월중 포상을 실시할 계획이다.
2017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영양수준 우수지자체
(지자체순)
구분 | 해당 지자체 | 비율 |
대도시 (6개) | 서울 : 성동구 부산 : 영도구, 사상구 인천 : 중구 울산 : 동구, 북구 | 8.70% |
중소도시 (5개) | 강원 : 강릉시 전북 : 익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 6.49% |
농어촌 (7개) | 경기 : 가평군 강원 : 철원군 충북 : 영동군 충남 : 홍성군 전북 : 진안군 전남 : 곡성군, 영암군 | 8.54% |
【포상대상 지자체】 | |
✓ (최우수 지자체) 부산 사상구 (대도시) 전북 남원시 (중소도시) 강원 철원군 (농어촌) ✓ (우 수 지자체) 인천 중구 (대도시) 전북 김제시 (중소도시) 경기 가평군 (농어촌) ✓ (장 려 지자체) 전북 진안군 (농어촌) 충남 홍성군 (농어촌) |
※ 선정 기준 : 우수지자체 중 권역별 최상위 및 차상위 기관
식생활 안전지수 평가 권역
❍ 대도시- 특․광역시 69개 자치구
(지자체순)
구분 | 해당 지자체 |
80점 이상 (6개) | 서울 : 성동구 부산 : 영도구, 사상구 인천 : 중구 울산 : 동구, 북구 |
80점미만 ~ 70점 이상 (47개) | 서울 : 중구, 용산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은평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부산 : 중구, 서구, 동구, 동래구, 북구, 해운대구, 사하구, 금정구, 강서구, 연제구, 수영구 대구 : 중구, 서구, 남구, 수성구 인천 : 동구, 남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광주 :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 대전 : 동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울산 : 중구, 남구 |
70점미만 ~ 60점 이상 (16개) | 서울 : 종로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노원구, 서대문구, 마포구, 영등포구, 관악구, 강남구 부산 : 부산진구, 남구 대구 : 동구, 북구, 달서구 대전 : 중구 |
❍ 중소도시- 77개 자치시
(지자체순)
구분 | 해당 지자체 |
80점 이상 (5개) | 강원 : 강릉시 전북 : 익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
80점미만 ~ 70점 이상 (53개) | 세종 : 세종시 경기 : 수원시, 고양시, 성남시, 부천시, 안양시, 평택시, 의정부시, 파주시, 김포시, 광주시, 군포시, 오산시, 이천시, 안성시, 구리시, 포천시, 의왕시, 동두천시, 과천시 강원 : 춘천시, 원주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충북 :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충남 : 공주시, 아산시,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 전북 : 전주시, 군산시 전남 :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광양시 경북 : 경주시, 김천시, 영주시, 영천시, 경산시 경남 : 창원시,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김해시, 양산시 제주 : 제주도 |
70점미만 ~ 60점 이상 (19개) | 경기 : 용인시, 안산시, 남양주시, 화성시, 시흥시, 광명시, 양주시, 하남시, 여주시 충남 : 천안시, 보령시, 서산시 경북 : 포항시, 안동시, 구미시, 상주시, 문경시 경남 : 밀양시, 거제시 |
❍ 농어촌- 82개 군단위
(지자체순)
구분 | 해당 지자체 |
80점 이상 (7개) | 경기 : 가평군 강원 : 철원군 충북 : 영동군 충남 : 홍성군 전북 : 진안군 전남 : 곡성군, 영암군 |
80점미만 ~ 70점 이상 (55개) | 대구 : 달성군 울산 : 울주군 경기 : 연천군 강원 : 횡성군, 영월군, 정선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충북 : 보은군, 옥천군, 증평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충남 :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 태안군 전북 : 완주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고창군, 부안군 전남 : 담양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장흥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경북 : 군위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성주군, 예천군, 울진군 경남 :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함양군, 합천군 |
70점미만 ~ 60점 이상 (20개) | 부산 : 기장군 인천 : 강화군, 옹진군 경기 : 양평군 강원 : 홍천군, 평창군 충북 : 단양군 전북 : 순창군 전남 : 화순군, 강진군, 해남군 경북 : 의성군, 고령군, 칠곡군, 봉화군, 울릉군 경남 :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거창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