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날개 다나...화장품 무역수지 흑자 사상 첫 6조원 돌파

  • 등록 2020.06.17 09:54:18
크게보기

수출시장 다변화로 작년 수출실적은 약 65억 달러(7조 6천억)로 최근 5년 평균 26% 성장... 러시아연방, 우크라이나 등 북방국가 수출 증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지난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가 6조 1,503억 원으로 ‘18년(5조 4,698억 원) 대비 12.4% 증가하며 처음 흑자를 낸 ’12년부터 계속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5억 2,479만 달러(7조 6,086억 원)로 전년대비 4.2%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매년 평균 26.0%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그리고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6조 2,633억 원으로 ‘18년(15조 5,028억 원) 대비 4.9% 증가하여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화장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무역수지 8년 연속 흑자 ▲러시아연방 등 북방국가 수출 증가  ▲수출 규모 세계 4위의 견고한 입지 확보 ▲생산실적의 꾸준한 증가 등이다.


■ 무역수지 흑자 6조 달성, 8년 연속 흑자
화장품 무역수지는 최근 8년 연속 흑자를 달성하였으며, `15년 1조원, `18년 5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19년에는 6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5억 2,479만 달러(7조 6,086억 원)로 `18년 62억 6,019만 달러(6조 8,898억 원) 대비 4.2%(달러 기준)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15~`19년) 평균성장률은 26.0%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수입은 지난해 12억 5,058만 달러(1조 4,583억 원)로 ‘18년 12억 9,026만 달러(1조 4,200억 원) 대비 3.1%(달러 기준) 감소했다.


■ 러시아 등 북방국가 수출증가 및 수출시장 다변화
우리나라 화장품의 국가별 수출실적을 볼 때, 중국으로 수출이 30억 6,015만 달러(3조 5,685억 원)로 ‘18년에 이어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로 홍콩, 미국, 일본 등의 순이었다.

특히, 러시아연방으로 수출이 ‘18년 대비 34.1% 증가하였고,   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의 수출이 각각 117.3%, 111.3%나 증가하며 북방 지역의 수출 실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일본, 베트남, 영국, 호주가 ‘18년 대비 각각 32.7%, 32.7%, 8.5%, 22.9% 증가하는 등 중화권뿐만 아니라 호주 및 유럽 등 세계 각지로 수출 시장이 확대되었다.


한편, 우리나라가 지난해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3억 7,636만 달러, 4,389억 원)였으며, 그 뒤로 미국, 일본, 태국, 독일 등의 순이었다.


■ 수출 규모 세계 4위로서 화장품 강국 입지를 견고히
국가별로 화장품 수출규모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 수출 규모는 지난 해 65억 2,479만 달러로 프랑스, 미국, 독일에 이어 세계 4위의 수출실적을 기록하였다. 

이는 ‘17년 49억 4,464만 달러를 수출하여 이탈리아, 중국, 스페인,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로 부상한 이래, 3년 연속 수출 상위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생산실적의 지속적 성장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6조 2,633억 원으로 ‘18년(15조 5,028억 원) 대비 4.9% 증가하였다.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9조 8,123억 원(60.33%)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색조 화장용(2조 1,338억 원, 13.12%), 두발용(1조 8,800억 원, 11.56%), 인체 세정용(1조 5,786억 원, 9.71%) 등의 순이었다.


업체별로는 ‘(주)엘지생활건강’이 4조 9,603억 원(30.50%)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주)아모레퍼시픽’ 4조 9,154억 원(30.22%), ‘애경산업(주)’ 3,751억 원(2.31%), ‘(주)코리아나화장품’ 2,332억 원(1.43%), ‘(주)카버코리아’ 2,162억 원(1.33%) 등의 순이었다.


■ 기능성화장품 꾸준한 성장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5조 3,448억 원으로 `18년(4조 9,803억 원) 대비 7.3% 증가했으며, 기능성화장품의 2015년에서 2019년까지 평균성장률도 8.5%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미백‧주름‧자외선차단 중 한 가지 기능을 나타내는 제품의 생산실적은 3조 1,022억 원으로 ‘18년(2조 6,930억 원) 대비 15.2% 증가한 반면, 두 가지 이상 기능을 가진 제품의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2.0% 감소하였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화장품 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낸 것은 업계의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정부의 규제개선과 지원이 빚어낸 결과”라며, “식약처는 앞으로도 맞춤형화장품 등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 확대, 산업역량 강화를 위한 ‘화장품 규제조화지원센터’ 운영, 무역장벽 해소를 위한 국가 간 규제협력 강화 등 ‘K-뷰티 세계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1. 연도별 화장품 생산 실적

구 분

‘12

‘13

‘14

‘15

‘16

‘17

‘18

19

업체수()*

1,810

1,895

2,735

3,840

4,961

5,829

6,487

7,580

생산품목

()

101,296

88,806

101,362

105,318

119,051

125,766

124,560

119,443

생산금액

(억 원)

(성장률%)

71,227

(11.5%)

79,720

(11.9%)

89,704

(12.5%)

107,328

(19.7%)

130,514

(21.6%)

135,155

(3.6%)

155,028

(14.7%)

162,633

(4.9%)

* : 생산실적을 보고한 책임판매업체 수

 

2. 화장품 책임판매업체 현황

구분

‘13

‘14

‘15

‘16

‘17

‘18

‘19

업체수()

3,884

4,853

6,422

8,175

11,834

12,673

15,707


3. 화장품 유형별 생산 실적

(단위 : 억 원)

구 분

유형

‘18

‘19

생산금액

점유율

생산금액

점유율

 

 총 계

155,028

100%

162,633

100%

1

기초화장용 제품류

93,704

60.44%

98,123

60.33%

2

색조 화장용 제품류

23,958

15.45%

21,338

13.12%

3

두발용 제품류

15,817

10.20%

18,800

11.56%

4

인체세정용 제품류

13,481

8.70%

15,786

9.71%

5

눈 화장용 제품류

2,857

1.84%

2,950

1.81%

6

두발 염색용 제품류

2,583

1.67%

2,929

1.80%

7

면도용 제품류

1,213

0.78%

1,282

0.79%

8

유아용 제품류

568

0.37%

497

0.31%

9

방향용 제품류

377

0.24%

465

0.29%

10

손발톱용 제품류

341

0.22%

323

0.20%

11

목욕용 제품류

90

0.06%

100

0.06%

12

체모 제거용 제품류

16

0.01%

24

0.01%

13

체취 방지용 제품류

24

0.02%

16

0.01%

 

 

4. 기능성화장품 생산 실적

(단위 : 억 원)

구분

‘12

‘13

‘14

‘15

‘16

‘17

‘18

‘19

‘19점유율(%)

총 계

21,483

25,638

29,744

38,559

44,439

48,556

49,803

53,448

32.86

복합기능성

7,804

12,259

16,438

20,980

22,326

23,565

22,873

22,426

13.79

주름개선

6,665

6,903

7,518

10,087

11.462

10,299

13,050

16,684

10.26

자외선차단

4,027

3,809

3,408

3,934

4,855

4,831

6,077

5,955

3.66

미백

2,987

2,667

2,379

3,558

5,796

4,361

3,758

3,393

2.09

염모

 

 

 

 

 

3,916

2,192

2,536

1.56

탈모 완화

 

 

 

 

 

1,507

1,763

2,314

1.42

여드름성 피부완화

 

 

 

 

 

60

77

102

0.06

제모

 

 

 

 

 

17

12

26

0.02

아토피성 피부보습

 

 

 

 

 

-

-

0.65

0.00

튼살로 인한 붉은선 완화

 

 

 

 

 

 

1

11

0.01


5. 상위 10개 책임판매업체 생산 실

(단위 : 억 원)

순위

책임판매업자

‘18

‘19

생산금액

점유율

생산금액

점유율

총 계

155,028

100%

162,633

100%

소계(상위 20)

117,099

75.53%

121,705

74.83%

1

()엘지생활건강

45,005

29.03%

49,603

30.50%

2

아모레퍼시픽

45,558

29.39%

49,154

30.22%

3

애경산업()

4,817

3.11%

3,751

2.31%

4

()코리아나화장품

2,312

1.49%

2,332

1.43%

5

()카버코리아

2,157

1.39%

2,162

1.33%

6

()지피클럽

3,085

1.99%

1,844

1.13%

7

이니스프리

1,655

1.07%

1,636

1.01%

8

()코스토리

794

0.51%

1,516

0.93%

9

에이블씨엔씨

2,018

1.30%

1,454

0.89%

10

해브앤비()

1,057

0.68%

1,410

0.87%

 

6. 상위 10품목 생산 실적

(단위 : 억 원)

연번

책임판매업자

제품명

생산금액

1

()엘지생활건강

더히스토리오브후천기단화현로션

4,378

2

()엘지생활건강

더히스토리오브후천기단화현밸런서

3,862

3

()아모레퍼시픽

설화수윤조에센스

2,974

4

()아모레퍼시픽

설화수자음유액

1,990

5

()아모레퍼시픽

설화수자음수

1,933

6

()엘지생활건강

더히스토리오브후천기단화현크림

1,772

7

()엘지생활건강

더히스토리오브후비첩자생에센스

1,746

8

()엘지생활건강

더히스토리오브후공진향인양로션

1,093

9

()아모레퍼시픽

라네즈스킨베일베이스40

1,066

10

()엘지생활건강

더히스토리오브후공진향인양밸런서

970

 

7. 우리나라의 화장품 무역수지 실적

(단위 : 백만 )

연도()

수출액(A)

수입액(B)

무역수지(A-B)

증감률(%)

2019

7,608,622

1,458,314

6,150,308

12.4

2018

6,889,842

1,420,038

5,469,804

28.4

2017

5,589,815

1,329,706

4,260,109

18.5

 

8. 우리나라의 국가별 화장품 수입 실적

(단위 : 천 달)

순위

국 가

‘18

순위

국 가

‘19

수입금액

점유율

수입금액

점유율

총 계

1,290,263

100%

총 계

1,250,580

100%

소 계(상위 10)

1,150,634

89.2%

소 계(상위 10)

1,109,032

88.7%

1

프랑스

364,740

28.3%

1

프랑스

376,357

30.1%

2

미국

314,615

24.4%

2

미국

309,991

24.8%

3

일본

213,513

16.5%

3

일본

162,066

13.0%

4

태국

55,231

4.3%

4

태국

53,402

4.3%

5

이탈리아

40,428

3.1%

5

독일

42,474

3.4%

6

독일

38,863

3.0%

6

이탈리아

40,901

3.3%

7

영국

37,864

2.9%

7

영국

40,887

3.3%

8

스위스

28,796

2.2%

8

호주

29,626

2.4%

9

아일랜드

28,439

2.2%

9

중국

26,782

2.1%

10

중국

28,145

2.2%

10

아일랜드

26,546

2.1%

 

9. 우리나라의 국가별 화장품 수출 실적

순위

2018

2019

국가명

금액

점유율

국가명

금액

점유율

전년대비

증감률

총계

(136개국)

6,260,192

100.0

총계

(137개국)

6,524,789

100.0

4.2

1

중국

2,656,162

42.4

중국

3,060,147

46.9

15.2

2

홍콩

1,315,009

21.0

홍콩

925,821

14.2

-29.6

3

미국

538,183

8.6

미국

526,842

8.1

-2.1

4

일본

302,600

4.8

일본

401,422

6.2

32.7

5

베트남

168,318

2.7

베트남

223,283

3.4

32.7

6

태국

165,292

2.6

러시아 연방

211,402

3.2

34.1

7

러시아 연방

157,696

2.5

대만

154,136

2.4

-2.2

8

대만

157,683

2.5

태국

139,822

2.1

-15.4

9

싱가포르

131,599

2.1

싱가포르

127,844

2.0

-2.9

10

말레이지아

87,354

1.4

말레이지아

88,604

1.4

1.4

11

프랑스

67,507

1.1

인도네시아

60,606

0.9

19.1

12

인도네시아

50,887

0.8

프랑스

47,695

0.7

-29.3

13

영국

40,803

0.7

필리핀

45,800

0.7

14.4

14

필리핀

40,035

0.6

영국

44,284

0.7

8.5

15

호주

34,427

0.5

호주

42,303

0.6

22.9

16

캐나다

30,128

0.5

캐나다

32,603

0.5

8.2

17

카자흐스탄

22,609

0.4

우크라이나

30,456

0.5

117.3

18

폴란드

19,868

0.3

키르기스스탄

23,865

0.4

111.3

19

독일

18,058

0.3

카자흐스탄

23,754

0.4

5.1

20

캄보디아

16,772

0.3

폴란드

21,864

0.3

10.0

* 자료 : 대한화장품협회


10. 각 국가별 화장품 수출실적 현황

(단위 : 천 달러)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2019

전년대비

증감률(%)

1

프랑스

12,334,651

13,881,426

14,776,033

17,124,931

15.9

2

미국

8,856,475

9,534,250

10,102,019

10,360,452

2.6

3

독일

6,935,914

7,033,544

7,409,565

8,373,043

13.0

4

한국

4,178,421

4,944,639

6,260,192

6,524,789

4.2

5

일본

2,317,386

3,215,212

4,545,427

5,327,529

17.2

6

이탈리아

4,190,826

4,568,571

4,754,032

5,235,703

10.1

7

중국

3,223,551

3,768,419

4,295,597

4,628,446

7.7

8

스페인

3,136,099

3,495,415

3,872,765

4,564,291

17.8

* 자료 : 대한화장품협회/국가별 순위는 `19년 기준

김용발 기자 imph7777@naver.com
Copyright @2015 메디팜헬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팜헬스뉴스/등록번호 서울 아01522/등록일자 2011년 2월 23일/제호 메디팜헬스/발행인 김용발/편집인 노재영/발행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42길 45 메디팜헬스빌딩 1층/발행일자 2011년 3월 3일/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용발/Tel. 02-701-0019 / Fax. 02-701-0350 /기사접수 imph7777@naver.com 메디팜헬스뉴스의 모든 기사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무단사용하는 경우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