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의 중앙으로 신경이 건초에 싸여 지나가게 되는데, 이 건초의 염증, 팔뚝 부분의 골절, 손목의 염좌 또는 탈구 등으로 인해 신경이 눌렸을 때 손목터널 증후군이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은 손이 따끔거리거나 무감각해지고 손이 따뜻해짐을 느끼다가 손목의 통증이 팔뚝, 어깨, 목, 가슴으로 퍼져가는데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이 최근에는 발에도 생기는 환자들이 속속 늘고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을 들어본 환자들은 많겠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증상이 발에도 나타나는 일명 발목터널 증후군 환자들이 병원을 찾는 사례가 늘고 있다.
발목터널증후군의 가장 큰 원인은 무리한 운동과 과체중.
직장인 박모(38세)씨는 가을 들어 여름부터 꾸준하게 이어오던 운동의 강도를 좀더 높였다. 하지만 이전에는 생기지 않았던 발목 쪽에서 통증이 있었고 이에 병원을 찾았는데 병원에서 발목터널 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발목터널증후군은 발목의 안쪽 복숭아 뼈 부근에 위치한 발목터널이 좁아지면서 생기는 질환으로,
평소에 발 안쪽과 발바닥이 자주 저리고 전기가 통하듯 화끈거리면서 감각이 떨어지면 발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겠다.
갑자기 무리한 운동을 했거나 발목을 삐었을 때, 오래 서 있거나 많이 걸었을 경우에 경골신경이 발목 힘줄 덮개막인 굴근지대에 눌리면서 저리는 증상이 나타나며, 이런 발목 터널증후군은 특히 야간에 증상이 심해지는데 드물게는 통증이 다리 쪽으로 퍼져나가는 경우도 종종 있다.
발목 삠이나 골절, 신경을 누르는 신경 종이 있을 때 발목터널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 발목이 손상되면서 근육이나 인대 같은 조직이 낡아져 두꺼워지면 신경을 압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비만의 경우에도 발목터널증후군을 조심해야 한다.
척추관절 첨단 청담튼튼병원(네트워크) 이호규 원장은 “손목터널증후군에서만 나타나던 증상들이 발목에서도 쉽게 나타나는데 이는 갑작스럽게 운동을 시작해 발목에 통증을 주어 부상이 생길 수 있는 경우와 비만으로 인해 발목에 압박을 주면서 발목 부분에 통증이 발생해 발목터널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발목터널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인이 되는 무리한 운동을 중단해야 한다. 발목신경 압박으로 인해 통증이 심하다면 인대강화 주사치료가 효과적이다. 인대강화주사치료는 염증이 있는 부위까지 주사바늘로 접근해서 약물을 주입해 염증을 빠르게 가라앉히고 통증도 줄어들게 해준다.
이호규 원장은 “인대강화주사치료는 적절한 기간 및 횟수가 중요하므로 시술 전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하고 결정해야 한다”며 “만약 약물치료로도 효과가 없거나, 발목신경이 심하게 압박됐을 때는 관절내시경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