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성적인 성격 탓에 무엇이 되겠다거나 친구들을 향해 이래라 저래라 큰소리쳐 본 일이 거의 없었으며, 대대장이나 중대장을 지내본 일도 또 그것을 바란 일도 없었다. 오직 공부에만 열중하였다. 나는 늘 부모님이 고맙고 전통 있는 중학교를 다닌다는 것만으로도 자적(自適)했던 것 같다. 그저 공부가 걱정되어 남한테 뒤질세라 교과서에 매달렸고 남들이 잠든 사이 이불 속에서 전지 불을 켜고 공부에 전념했다.
그러면서도 남이 세운 수석(성적)을 깼다거나 천재 소리는 들어본 일은 거의 없었지만 암울했던 그 시절에 나는 최선을 다해 공부했다. 패기 있는 동창들 중에는 당시 나를 소심한 친구니 ‘공부벌레’라 치부했을지 모르지만 나는 내 나름대로 서울의 명문대학에 진학하겠다는 꿈을 간직하고 있었다.
공주중학 졸업 기념사진
중학교 시절 잊지 못할 선생님 몇 분이 계신다. 쓰지 교장 밑에 계시다 해방 후 문교부 차관을 지낸 한상봉 선생님(당시 영어 담당)이 생각난다. 듬직한 모습에 멋들어진 걸음걸이와 늘 야유하는 듯한 말투가 인상적이었다. 또 한 분은 민태식 선생님으로 동양철학의 권위자요, 유교에 조예가 깊으신 선비로 내가 육영에 뜻을 갖고 선생님을 방문했더니 좋은 생각이라며 조언은 물론 건양(建陽)이라는 법인(法人) 이름까지 지어 주셨다.
또 한 분 존경하는 은사님이 계신데 박정희 대통령 때 감사원장을 거쳐 청와대 사정담당 비서관을 역임하시고 말년에는 고향인 공주로 낙향하시어 그분의 전공(수원농대 졸)대로 꽃과 나무 가꾸기에 여생을 보내신 청백리(淸白吏) 신두영(申斗泳) 선생님이시다.
선생님은 나의 공주중학 10년 선배이시기도 한데 선생님을 찾아가서 육영의 뜻을 말씀드렸더니 “그 머리 아픈 일을 무엇 때문에 하려고 하느냐”며 만류하셨다. 그 무렵 대학마다 학생들의 데모가 심하여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었던 때라 그런 말씀을 하셨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때에 선생님은 세상만사에 대한 여러 가지 좋은 말씀을 해주셨는데 지금도 내게 어려운 일이 닥칠 때면 선생님의 청백리 논리를 되새겨 거울로 삼곤 한다. 매사에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맑고 깨끗하게 하라는 그분의 뜻을 그대로 받아들여 나의 생활철학으로 삼고 있다. 지금은 세 어른이 다 고인(故人)이 되어 이 세상에 안 계시지만 세 분 선생님이 지니신 고매한 인격과 인품과 교훈은 나에게 많은 감명(感銘)을 주셨고 내 인생행로에 많은 가르침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