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햄스트링 부상‘ , 젊은 남성 주의해야

2013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 3명 중 1명(27.8%)이 젊은 남성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 둔부 및 대퇴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S76)’ 에 대해 분석한 결과,진료인원은 2009년 약 2만명에서 2013년 약 4만명으로 5년간 약 2만명(66.8%)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3.7%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9년 약 45억원에서 2013년 약 65억원으로 5년간 약 21억원(46.0%)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9.9%로 나타났다.

표1. <햄스트링 부상(S76)>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09년∼2013년)

<햄스트링 부상(S76)>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09년∼2013년)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진료인원 (명) 23,435 28,293 32,243 35,203 39,100
15,802 19,157 21,829 24,002 26,351
7,633 9,136 10,414 11,201 12,749
총진료비 (천원) 4,464,527 5,244,094 5,806,161 5,835,099 6,517,405
3,251,827 3,745,175 4,251,769 4,362,658 4,734,358
1,212,700 1,498,920 1,554,392 1,472,440 1,783,047

최근 5년간 '햄스트링 부상’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67.4%∼68.2%, 여성은 31.8%∼32.6%로 남자의 진료인원이 약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햄스트링 부상(S76)>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변화율 (2009년∼2013년)

<햄스트링 부상(S76)>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변화율 (2009년∼2013년)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연평균
성비(여성대비남성) 2.07 2.10 2.10 2.14 2.07 -
점유율 67.4% 67.7% 67.7% 68.2% 67.4% -
32.6% 32.3% 32.3% 31.8% 32.6% -
전년대비 증가율 - 20.7% 14.0% 9.2% 11.1% 13.7%
- 21.2% 13.9% 10.0% 9.8% 13.6%
- 19.7% 14.0% 7.6% 13.8% 13.7%

'햄스트링 부상’ 의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으로 10대 구간이 20.7%로 가장 높았고, 40대 15.8%, 20대 15.8% 순으로 나타났다.

10대∼30대 구간들은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보다 약 3배 이상씩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0, 20대 남성 진료인원은 전체 진료인원의 27.8%를 차지하여 젊은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3. <햄스트링 부상(S76)>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09년∼2013년)

<햄스트링 부상(S76)>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09년∼2013년)
구 분 진 료 인 원 (명) 연 령 별 점 유 율 (%)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0∼ 9세 741 818 867 867 920 3.2% 2.9% 2.7% 2.5% 2.4%
476 520 560 569 560 2.0% 1.8% 1.7% 1.6% 1.4%
265 298 307 298 360 1.1% 1.1% 1.0% 0.8% 0.9%
10∼ 19세 4,829 6,075 7,130 7,773 8,090 20.6% 21.5% 22.1% 22.1% 20.7%
3,681 4,707 5,577 6,069 6,150 15.7% 16.6% 17.3% 17.2% 15.7%
1,148 1,368 1,553 1,704 1,940 4.9% 4.8% 4.8% 4.8% 5.0%
20∼ 29세 3,450 4,252 4,842 5,443 6,162 14.7% 15.0% 15.0% 15.5% 15.8%
2,656 3,308 3,750 4,213 4,716 11.3% 11.7% 11.6% 12.0% 12.1%
794 944 1,092 1,230 1,446 3.4% 3.3% 3.4% 3.5% 3.7%
30∼ 39세 3,432 4,101 4,404 4,777 5,326 14.6% 14.5% 13.7% 13.6% 13.6%
2,563 3,078 3,253 3,526 4,067 10.9% 10.9% 10.1% 10.0% 10.4%
869 1,023 1,151 1,251 1,259 3.7% 3.6% 3.6% 3.6% 3.2%
40∼ 49세 4,086 4,762 5,332 5,757 6,196 17.4% 16.8% 16.5% 16.4% 15.8%
2,764 3,204 3,579 3,911 4,272 11.8% 11.3% 11.1% 11.1% 10.9%
1,322 1,558 1,753 1,846 1,924 5.6% 5.5% 5.4% 5.2% 4.9%
50∼ 59세 3,210 3,932 4,719 5,230 5,927 13.7% 13.9% 14.6% 14.9% 15.2%
1,838 2,220 2,730 3,052 3,515 7.8% 7.8% 8.5% 8.7% 9.0%
1,372 1,712 1,989 2,178 2,412 5.9% 6.1% 6.2% 6.2% 6.2%
60∼ 69세 2,192 2,609 2,877 2,989 3,326 9.4% 9.2% 8.9% 8.5% 8.5%
1,176 1,345 1,498 1,608 1,738 5.0% 4.8% 4.6% 4.6% 4.4%
1,016 1,264 1,379 1,381 1,588 4.3% 4.5% 4.3% 3.9% 4.1%
70세 이상 1,495 1,744 2,072 2,367 3,153 6.4% 6.2% 6.4% 6.7% 8.1%
648 775 882 1,054 1,333 2.8% 2.7% 2.7% 3.0% 3.4%
847 969 1,190 1,313 1,820 3.6% 3.4% 3.7% 3.7% 4.7%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햄스트링 부상’ 진료인원은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철(7∼9월)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월별 진료인원의 평균 수치를 비교해보면 매월 약 3천 4백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4월부터 11월까지 월평균 이상이 진료를 받지만 혹서기인 8월에는 평균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4. <햄스트링 부상(S76)> 월별 진료인원 현황 (2009년∼2013년)

<햄스트링 부상(S76)> 월별 진료인원 현황 (2009년∼2013년)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9년 1,750 1,781 2,481 2,813 2,892 2,938 2,608 2,311 2,849 2,721 2,344 2,268
2010년 2,151 1,855 2,545 3,092 3,707 3,662 3,473 2,974 2,954 3,556 3,199 2,734
2011년 2,634 2,431 3,468 3,848 4,167 4,001 3,308 3,288 3,587 3,751 3,569 3,068
2012년 2,846 2,874 3,569 3,973 4,810 4,305 3,835 3,568 4,009 4,149 3,918 3,198
2013년 3,453 2,982 4,049 4,930 5,524 4,858 4,528 4,145 4,141 4,716 4,302 3,704
평균 2,567 2,385 3,222 3,731 4,220 3,953 3,550 3,257 3,508 3,779 3,466 2,994

※ 월별 진료인원 현황은 요양개시월 기준으로 추후 요양기관 청구에 따라 실적이 달라질 수 있음.

'햄스트링 부상‘ 이란 허벅지 뒤쪽 근육의 손상으로 축구나 야구 등 갑작스런 달리기, 방향전환을 요하는 운동을 할 때 많이 발생한다.

허벅지 뒤쪽 중 가운데 부분을 눌렀을 때 통증이 있거나, 힘이 들어간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거나 근육을 펼 때 허벅지에 통증이 심하다면 햄스트링 부상을 의심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희순 상근심사위원은 "햄스트링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며, 평소 틈틈이 스트레칭을 통한 유연성을 기르는 것이 좋다. 또한, 재발이 쉬운 부상이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재활훈련, 예방법 숙지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