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19일 대구광역시 동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IAT) 1층 대강당에서 ‘폐암제로 기업강연’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강연은 흡연 외 폐암의 다양한 위험요인을 알리고,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폐암제로 기업강연은 한국아스트라제네카를 비롯해 글로벌 폐암 치료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협력기구 ‘폐암 전문가 협의체(Lung Ambition Alliance, LAA)’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4년 부터 현재까지 삼성전자, 한국가스기술공사를 비롯해 총 19개 기업 및 기관에서 약 1,400여명을 대상으로 기업강연을 시행했으며, 폐암 인식 제고와 조기검진 참여 독려를 통해 대국민 폐 건강 증진에 기여해 오고 있다.
이날 강연에는 영남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안준홍 교수가 연자로 참여했으며,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임직원을 비롯해 대구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임직원과 취약계층 및 시민 등 약 300명이 참석했다. 강연에서는 ▲폐암 조기검진의 중요성 ▲비흡연 폐암의 위험성 및 위험 요인 ▲국가폐암검진 현황 및 한계 ▲저선량 흉부 CT등을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의 필요성 등이 다뤄졌다.
폐암은 2023년 기준 국내 암 사망률 1위의 암종으로 , 흡연이 대표적인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내 폐암 환자의 약 40%는 비흡연자 다. 특히 초기 증상이 거의 없는 폐암은 국한 병기에서 진단될 경우 5년 생존율이 79.8%인 반면, 원격전이 된 경우에는 12.9%로 급격하게 낮아진다(2018-2022).
안 교수는 “흡연 여부와 관계없이 폐암을 보다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검진법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저선량 흉부 CT는 폐암을 초기에 발견해 보다 좋은 치료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검사 방법 ”이라고 말했다.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현행 국가 폐암 검진은 만 54세에서 74세 사이의 흡연자(30갑년 이상 흡연력이 있는 현재 흡연자)를 대상으로 시행되기 때문에 비흡연자의 접근성 개선이 과제로 남아있어 대상 확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 . 저선량 흉부CT 검사를 통한 국가 폐암 검진은 2019년 도입 후 수검률이 초기 33% 수준에서 지난해 55%에 달했다 .
강연 전후로는 참여자 대상 비흡연 폐암 위험성 및 조기검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 진행 의향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조사가 진행됐다. 이외에도 임직원과 시민들은 강연 공간에 마련된 ‘숨은 단어 찾기’와 ‘퀴즈 룰렛’ 등 체험형 프로그램을 통해 폐암의 주요 위험 요인과 조기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한층 높일 수 있었다.
이번 강연에 참여한 김지영씨(가명, 여성, 46세, 대구 광역시 거주)는 “그동안 비흡연자는 폐암 위험이 낮다고만 생각하고 검진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흡연 여부와 관계없이 조기검진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접했다”며 “특히 폐암을 초기에 발견하는 데 효과적인 저선량 흉부 CT 검진을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도 권하고 싶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