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위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크게 늘어...국민건강 위협

건보공단 집계 결과,2010년 대비 지난해의 암 전체 발병율은 0.5% 늘었지만 위암,자궁경부암 등은 10% 이상 급등

2015년도 수검률은 일반건강검진 76.1%, 생애전환기건강진단(40세, 66세 대상) 77.1%, 암검진 48.3%, 영유아건강검진 69.5%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5년 건강보험 대상자 기준 건강검진종별 수검 및 판정현황, 문진, 검사성적 등 건강검진 주요지표를 수록한「2015년 건강검진통계연보」를 통해 밝혀졌다
     

연보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건강검진종별 수검률을 비교해 볼 때, 일반건강검진은 2010년 68.2%에서 2015년 76.1%로 7.9%p 증가하였으며, 생애전환기건강진단은 11.9%p 증가, 영유아건강검진은 19.4%p 증가하였다.


일반검진의 지역별 수검현황을 보면, 울산(81.6%), 광주(80.4%), 대전(79.5%)순으로 상위 3개 지역이며, 제주(71.2%), 서울(73.0%), 대구(75.5%) 지역은 하위 3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1차 일반건강검진의 종합판정 비율은 정상A 7.9%, 정상B(경계) 34.9%,질환의심 38.5%, 유질환자 18.7%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20대 이하는 정상판정비율(정상A, 정상B)이 74%로 나타났으나 70대 이상은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유질환자)이 약 54%를 차지하였다.연령이 높아질수록 정상 판정이 줄고, 질환의심이나 유질환자 판정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연도별 일반건강검진 2차 판정 비율 현황
                                                                                                                               (단위 : %, %p)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0년 대비 2015년 증감

당뇨병

40.2

41.3

44.2

45.3

46.6

50.1

9.9

고혈압

47.7

47.8

49.5

48.2

47.8

51.4

3.7

2015년 일반건강검진 1차 판정 비율은 2011년에 비해 정상(A+B) 6.6%p 감소하였고 질환의심 3.0%p, 유질환자 3.6%p 증가하였다. 이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고령층 검진대상자가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1차 일반검진에서 고혈압 ․ 당뇨병 질환의심 판정을 받은 2차 검진대상 전체 수검인원은 47만 9천명이며, 17만 9천명이 당뇨병 검사를, 30만명이 고혈압 검사를 받았다.당뇨병 판정 인원은 9만 명으로 50.1%를, 고혈압 판정 인원은 15만 4천명으로 검사인원의 51.4%를 차지하였다.연령별 판정비율은 당뇨병, 고혈압 모두 40대(53.3%, 55.3%)에서 판정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5년 당뇨병, 고혈압 판정비율은 2010년과 비교해 볼 때, 당뇨병 9.9%p, 고혈압 3.7%p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5대 암 전체 수검률은 48.3%를 차지하였다. 5대 암 종별로 보면 2010년 대비 위암은 12.5%p, 간암 9.2%p, 유방암 9.4%p, 자궁경부암은 13.9%p 각각 증가하였다.


-2010~2015년 5대 암 종별 수검률 추이
                                                                                                                                  (단위 : %, %p)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0년 대비 2015년 증감

암 전체

47.8

50.1

39.4

43.5

45.8

48.3

0.5

위 암

44.7

47.3

52.9

53.0

54.9

57.2

12.5

대 장 암

34.9

34.8

27.0

30.7

32.5

34.2

0.7

간 암

46.1

46.0

42.0

49.8

52.8

55.3

9.2

유 방 암

51.4

51.5

58.0

57.4

59.3

60.8

9.4

자궁경부암

40.3

44.5

46.1

48.7

52.0

54.2

13.9


 2015년 문진 결과 흡연율은 전체 21.9%로 나타났으며 남성 37.9%, 여성 3.2%로 각각 나타났다.2015년 비만율은 전체 34.1%이며, 남성은 30~40대 비만율이 44.0%로 가장 높고, 여성은 60~70대가 38.4%로 가장 높았다.

 

최근 5년간 문진결과 흡연율은 전반적으로 감소추세이나, 비만율은 증가추세임을 알 수 있다. 흡연율은 2015년 1월 담배값 인상 및 정부의 적극적인 금연치료사업 도입 등으로 남성 흡연율이 대폭 감소하였다. 비만율은 홀수년도 검진대상자가 짝수년도 검진대상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진단기준별 비율 현황
                                                                                                                             (단위 : %)

구 분

복부비만

높은 혈압

높은 혈당

고중성

지방혈증

낮은 HDL

콜레스테롤혈증

전체

22.4

42.8

35.9

30.3

22.1

남성

25.5

49.0

41.6

37.9

17.2

여성

18.8

35.6

29.2

21.5

27.7

20대 이하

12.6

18.9

13.3

13.3

10.0

남성

18.0

29.2

17.1

20.7

8.9

여성

6.6

7.5

9.1

5.1

11.3

30

20.5

28.1

23.5

27.8

14.4

남성

25.9

37.4

28.5

37.7

13.8

여성

10.3

10.5

13.9

9.1

15.6

40

19.5

34.6

32.8

30.4

18.7

남성

25.1

44.8

41.2

44.2

16.6

여성

12.7

22.5

22.7

13.8

21.2

50

22.1

47.5

42.6

33.6

23.9

남성

25.4

54.7

51.3

41.2

19.0

여성

18.6

39.8

33.3

25.5

29.1

60

29.3

62.1

49.0

35.8

31.8

남성

28.5

65.2

55.3

36.4

22.1

여성

30.1

59.0

42.8

35.2

41.3

70

34.5

74.3

52.5

35.2

37.3

남성

29.9

72.3

55.3

30.8

24.8

여성

38.6

76.1

50.1

39.1

48.2

80

이상

32.0

78.3

52.3

31.4

40.8

남성

26.7

74.4

53.0

24.6

25.6

여성

35.6

81.0

51.8

36.1

51.2


검사항목별 성적 수록 내용 중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분포 현황을 보면, 위험요인 보유개수별 비율은 수검인원의 24%가 대사증후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72.2%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0대 이하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대사증후군 비율을 보이지만, 6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5개 항목 진단기준별로는 복부비만에 속하는 비율이 22.4%, 높은 혈압은 42.8%, 높은 혈당 35.9%, 고중성지방혈증 30.3%,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 22.1%로 각각 나타났다.낮은 HDL콜레스테롤을 제외한 4개 항목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발생하였고,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요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필수의료 공백 방지를 위한 의료법 개정안 발의 환영... 국회 통과 촉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지난 2일 응급의료, 중환자 치료·분만(신상아 간호 포함)·수술·투석과 이러한 의료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마취 및 진단검사(영상검사 포함)와 같은 필수유지의료행위의 유지·운영을 정당한 이유 없이 정지·폐지 또는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명, 「필수의료 공백 방지를 위한 의료법 개정안」의 발의를 환영하며, 신속한 국회 통과를 촉구했다. 2020년 코로나19가 한창일 당시, 문재인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에 반대해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을 벌였고, 이로 인해 응급환자가 사망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필수의료 공백 방지를 위한 의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 했으나, 21대 국회에서는 한 차례도 심의되지 못한 채 폐기되었다. 2024년 윤석열 정부의 의대정원 환자단체연합회와 소속 10개 환자단체는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지난 7월 22일부터 릴레이 1인시위를 시작했으며, 10월 2일 오늘까지 52일째 이어어고 있다. 이 시위는 국회에 이미 발의된 「의료공백 재발방지 및 피해구제 3법(환자기본법안, 의료대란 피해보상 특별법안,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의 신속한 심의와 국회 통과도 함께 촉구하고 있다. 지난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유한양행, 여성 유산균 ‘엘레나 테아닌’ 약국으로 채널 확대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프리미엄 여성 유산균 건강기능식품 ‘엘레나 테아닌’이 약국으로 판매 채널을 확대했다고 2일 밝혔다. 엘레나 테아닌은 지난 1월 출시 이후 그간 온라인으로만 구매가 가능했으나, 오프라인을 선호하는 소비자 니즈를 반영해 9월부터 약국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약국 입점을 통해 소비자들은 약사와의 상담을 통해 엘레나 테아닌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자신에게 맞는 복용법을 안내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엘레나 테아닌은 여성의 ‘질 건강’, ‘장 건강’ 그리고 ‘마음 건강’까지 한 번에 케어 가능한 유한양행의 건강기능식품이다. 여성의 질과 장 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는 UREX® 프로바이오틱스에 스트레스 완화와 심리적 안정 효과를 주는 테아닌 성분을 더해 현대 여성들이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돕는데 중점을 뒀다. 테아닌은 녹차에 들어있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에서도 기존의 질건강 유산균에 심리적 안정까지 고려한 점이 인상적이며, 최근 늘어나는 멘탈 건강 제품을 찾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제품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2015년 첫 선을 보인 엘레나는 엘레나 퀸,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