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실명의 주범 '황반변성' 50대 이상 가장 많아

70대 이상(8만 명, 54.4%), 60대(3만 9천 명, 26.5%), 50대(2만 명, 13.0%) 순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1~2016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분석한 결과, ‘황반변성’ 진료를 받은 환자가 꾸준히 늘어 2011년 9만 1천 명에서 2016년 14만 6천 명으로 61.2%(연평균 10.0%) 증가하였다.

 

남성은 2011년 4만 2천 명에서 2016년 6만 9천 명으로 연평균 10.6%, 여성은 2011년 4만 9천 명에서 2016년 7만 8천 명으로 연평균 9.5% 증가하였다.


            < 연도별 ‘황반변성’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
(단위 : 명)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연평균

증가율(%)

90,872

96,575

99,268

101,834

129,225

146,446

10.0

남성

41,648

44,450

45,830

48,255

61,013

68,941

10.6

여성

49,224

52,125

53,438

53,579

68,212

77,505

9.5

 

2016년을 기준으로 70대 이상(79,636명, 54.4%)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으로 60대(38,879명, 26.5%), 50대(19,096명, 13.0%), 40대(6,024명, 4.1%) 순 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진료환자수가 증가하였고,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환자의 9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인지 교수는 50대 이상이 “황반변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망막의 노화가 진행되면 망막하 노폐물의 제거능력이 떨어져 축적되어 초기 황반 변성의 한 형태인 드루젠이라는 결정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황반변성의 진행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의 증가가 가장 강력하고, 확실한 위험인자이기 때문이다”고 설명하였다.

 

2016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남성은 70대 이상 1,991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762명, 50대 241명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에서 1,747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738명, 50대 222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 별로 진료인원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황반변성 예방 및 관리가 달라야할 필요성이 있다.

   

정인지 교수는 ‘황반변성’ 질환은 시각장애 관련성 여부에 대해 “황반부는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이므로 병의 진행시 대부분    중심시력이 감소하는 시력장애를 일으킨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고습성 황반변성은 선진국에서 이미 60세 이상 인구의 가장 흔한 실명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급속도로 진행하여 심각한 시력저하를 유발하므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황반변성’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 431억 원에서 2016년 931억 원으로 연평균 1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진료비는 2011년 14억 원에서 2016년 32억 원으로 연평균17.9% 증가하였고, 외래는 같은 기간 416억 원에서 898억 원으로 16.6% 증가하였다.


             < 연도별 ‘황반변성’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

                                                                                                                              (단위: 백만 원,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연평균

증가율(%)

43,041

42,147

50,886

54,392

83,998

93,063

16.7

입원

1,415

1,607

1,745

2,072

3,517

3,217

17.9

외래

41,626

40,540

49,140

52,320

80,481

89,846

16.6

 

주) 수진기준(실제 진료 받은 일자기준), 약국 진료비는 외래에 포함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는 ‘황반변성’ 의 예방법, 진단․검사 및 치료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황반변성’ 질환의 원인

황반변성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망막 세포층의 노화로인하여 정상적으로 제거되면 노폐물들이 망막하층에 쌓이며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의 증가가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위험 인자이며, 이 밖에도 흡연 및 유전적 요인 등이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황반변성’의 증상 및 합병증의 종류
 

황반부는 시력의 초점이 맺히는 중심부이므로 이 부분에 변성이 생겼을 때는 사물이 구부러져 보이고 사물의 중심부위가 흐려 보이거나 아예 보이지 않는 암점이 생기기도 한다.

 

나이관련황반변성은 크게 건성과 습성으로 구분한다. 초기와 중기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지도모양위축이 생기는 후기 황반변성으로 건성 황반변성이라고 하며, 맥락막 신생혈관이 동반되는 경우를 습성 황반변성이라고 한다.

 

건성의 경우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치료가 필요한 상태가 아닌 경우가 많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성으로 진행되어, 시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정기적으로 망막 전문의의 진료를 받거나 암슬러 격자 등을 이용해서 자가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맥락막 신생혈관이 동반되는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경우 출혈과 황반부종등이 동반되며 치료하지 않았을 때 급격한 시력저하가 진행되므로 망막전문의의 빠른 진료와 치료가 필요하다.
  

= ‘황반변성’ 질환의 예방법
중심시력저하나 변시증 등 증상이 있을 때는 빠른 시일 내에 안과를 내원하여 안저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하며 건성 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을 경우 정기적인 안과 검진 및 자가 검진을 통해 질환의 진행을 경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전산시스템 이전 긴장감... 연휴 기간 디지털클라우드센터로 옮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은 이번 추석 연휴기간인 10월 2일(목) 18시부터 9일(목) 23시까지 본원 1동 ICT센터에서 본원 2동 디지털클라우드센터(이하 센터)로 모든 전산장비를 확장·이전한다. 심사평가원의 센터 확장·이전은 2022년부터 단계적으로 준비해왔으며, 2024년~2025년에 걸쳐 기반 및 인프라 증설 작업을 완료하였고, 이번 연휴기간 중 이전작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특히, 새로운 센터는 최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화재 사례와 같은 재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보안성, 안정성 및 확장성을 강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사평가원은 이번 확장·이전 과정에서 안전 확보와 국민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 가치로 삼았다. 센터 이전기간 중 요양급여비용 청구, 심사결과 통보, 각종 신청 및 신고 등 심사평가원에서 수행하는 전산업무가 중단될 예정이나 요양기관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휴 기간에 이전작업을 진행하게 되었으며,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서비스로 10월 2일(목) 22시부터는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조치할 계획이다. 심사평가원은 센터의 이전사업을 담당하는 대신정보통신과 긴밀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제약업계 "대미 의약품 관세 100% 부과 강행 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 상당한 충격" 미국이 오는 10월 1일부터 의약품 수입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국회가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과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0일 ‘트럼프 정부 의약품 관세 부과 대응 관련 산업계 긴급간담회’를 개최해 산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국회 차원의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대웅제약,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팜, GC녹십자 등 미국에 의약품을 수출 중인 기업들이 참석했다. 특허·브랜드 의약품에 100%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에 특허·브랜드 의약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트너사를 통해 유통하는 기업들 또한 장기 계약 조건 변경 요청 등의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 미국 시장에 신제품 출시를 계획하는 기업들도 향후 출시시기를 재검토해야 하는 등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제약바이오협회는 산업계를 대표해 ▲브랜드 의약품 관세 15% 상한 ▲필수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무관세 적용 ▲생산시설 인수 등 대규모 투자 기업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 등의 필요성을 전달했다. 협회는 “대미 의약품 관세 100% 부과 강행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