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4 (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아토피피부염, 단순한 피부 질환이 아닌기저 염증으로 인한 만성 질환"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 ‘2018 대한민국 피부건강 엑스포’서 아토피피부염 인식 제고 위한 활동 전개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회장, 박영립 교수)는 지난 9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강남구 세텍(SETEC)에서 열린 ‘2018 대한민국 피부건강 엑스포’에 참가해 올해 처음 제정된 ‘세계 아토피피부염의 날’을 기념하고 만성 전신 면역 질환인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세계 아토피피부염의 날’은 9월 14일로, 아토피피부염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질병 부담에 대해 널리 알리고자 국제 환자 단체(EFA, Global Skin)가 제정한 날로서 국내에서는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가 그 뜻을 같이 하게 되었다.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는 행사장 내 부스에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오해와 진실’, ‘숫자로 보는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질병 부담’ 등에 대한 시각 자료를 전시하고, 행사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담은 리플릿과 보습제를 배포했다.


아토피피부염은 단순한 피부 질환이 아닌 지속적인 기저 염증으로 인한 만성 질환으로, 극심한 가려움증, 발진, 건조증, 발적, 부스럼, 진물 등을 동반한다.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약 72%는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 음식 알레르기, 만성 비염 등 동반 질환을 겪는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아동뿐 아니라 성인 환자도 많다. 전세계적으로 성인 중 약 2-10%가 아토피피부염을 앓고 있으며, 그 중 2-8% 정도는 중증 환자다.


특히 성인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은 반복되는 악화기에 수면 장애를 겪거나 업무 능력에 악영향을 받는 등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약 84%가 수면 장애를 겪으며, 악화기에는 업무 능력이 약 1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 박영립 회장(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피부과 교수)은 “일반인들뿐 아니라 아토피피부염 환자들도 질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보니,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질환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하며 “세계 아토피피부염의 날 제정을 기념해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는 지난 1999년 7월 창립되었으며, 아토피피부염의 임상 및 기초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피부과 전문의 약 400여명으로 구성된 학회로서 지난 2005년 국내 최초로 ‘한국인의 아토피피부염 진단 및 가이드라인’을 발표해 그 동안 통일되지 않았던 아토피피부염의 진단 및 치료 지침을 세웠으며, 아토피피부염의 연구 및 학술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요실금 환자 10명 중 7명은 50대 이상 여성… 출산 경험 많은 여성,위험 2~3배 무더운 여름철, 환자는 줄지만 발생하면 더 힘든 질병이 있다. 바로 요실금이다. 여름철에는 땀과 소변이 섞이면서 냄새가 심해지고, 습한 속옷으로 인해 피부 질환까지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고령 여성에게 흔한 질환이지만, 출산 경험이 있는 중년 여성부터 비만이나 변비를 겪는 젊은 여성까지 환자층이 넓어지고 있는 요실금에 대해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최정혁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출산 경험 많은 여성, 요실금 위험 2~3배요실금은 단순한 노화 현상은 아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바로 임신과 출산으로, 이 과정에서 방광과 요도를 지지하는 골반저근이 손상되면, 방광의 위치가 변하고 요도 괄약근 기능도 약화되어 요실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최정혁 교수는 “출산 경험이 많은 여성일수록 요실금 발생 위험은 더 높아진다. 출산 직후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더라도,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한 연구에 따르면 출산 후 5년 이내에 90% 이상이 다시 요실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설명했다. 제왕절개가 요실금을 예방해줄 것이라는 기대도 있지만, 질식 분만에 비해 발생률이 다소 낮을 뿐, 큰 차이는 없다. 임신과 출산이 주요 원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