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05 (화)

  • 구름많음동두천 15.5℃
  • 구름조금강릉 20.9℃
  • 구름많음서울 17.5℃
  • 구름많음대전 16.8℃
  • 박무대구 14.6℃
  • 맑음울산 17.4℃
  • 광주 14.0℃
  • 맑음부산 18.9℃
  • 흐림고창 15.0℃
  • 맑음제주 22.5℃
  • 흐림강화 16.0℃
  • 구름많음보은 13.8℃
  • 흐림금산 14.3℃
  • 흐림강진군 13.8℃
  • 맑음경주시 16.2℃
  • 맑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학술·좌담회,심포지엄

미래 뇌전증 치료 솔루션 개발 위한 학계∙기업∙정부의 생태계 구축 필요

한국UCB제약, ‘UCB 이노베이션 심포지엄’ 성료

 한국UCB제약(대표이사 이영주)이 지난 달 24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의료진을 대상으로 ‘UCB 이노베이션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UCB 이노베이션 심포지엄은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뇌전증 진단 및 치료법 모색을위해 최신 연구를 소개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심포지엄에서는 뇌파, 비디오를 활용한 뇌전증 진단 기술과 장내세균불균형 개선을 통한 뇌전증 치료 연구 사례를 통한 미래의 뇌전증 진단과 치료에 대한 논의와 적용을 위한 환경적 개선사항 등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정기영 교수는 ‘뇌전증에서의 뇌파 신호원 국소화(EEG Source Localization)’를 주제로, 뇌파 감지를 통한 뇌전증 진단 기술에 대한 강연에서 “뇌파 신호원 국소화 방법이 적용된 ‘고밀도 뇌파신호원 양극자 국지화 검사’가 2017년 2월부터 신의료기술로 등재 됐지만, 여전히 현실적인 어려움은 존재한다” 며 “분석 ,가DVh Tian방법이 아닌 분석 기계가 등재되었기 때문에, 수가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이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서대원 교수는 ‘EMU(Epilepsy Monitoring Unit)를 이용한 자동 발작 감지 솔루션 연구’를 주제로, 다양한 뇌전증 발작 형태를 진단하는 자동 감지 기술 연구에 대한 지견을 공유했다. 서 교수는 현재 EMU(Epilepsy Monitoring Unit)를 사용한 비디오 분석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분석할 수 있는 환자 수가 적다는 한계를 짚었다.


관련해 그는 “국내에서 반복적인 비디오 연구를 통해 자동으로 환자별 발작 확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 개발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은 초기 단계”라며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 감지 기술이 나온다면 시간∙공간적인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환자가 느끼기 힘든 미세한 발작 증상까지 잡아내 혁신적인 맞춤 치료가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날 심포지엄에서는 뇌전증의 새로운 치료 표적 연구를 통한 치료법 개선 논의도 이루어졌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허경 교수는 ‘장내세균이 뇌전증 치료표적이 될 수 있는가?’를 주제로, 장내세균불균형과 뇌 신경의 상관 관계를 연구한 최근 사례를 공유해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허 교수는 아직 명확한 관계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장내세균불균형이 발생하면 그 독성이 장기 외부로 나가 뇌에 침투, 뇌 신경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근거가 발견되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최근 동물 실험에서 ‘분변 미생물군 이식법’ 등의 방법으로 장내 세균을 표적 치료함으로써 발작이 완화된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이어지고 있다”며 향후 미래에는 장내 세균을 통해 뇌전증을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UCB에서 진행중인 혁신 연구 개발 사례들도 소개됐다. UCB 중국 신경과학 혁신 사업부(UCB China Neuroscience Patient Innovation) 책임자인 아론 시안(Aron Tian)은 “연구 결과, 뇌전증 질환의 가장 큰 특성 두 가지는 발작에 대한 예측불가성과 증상의 개별성”이라며, “이러한 질환 특성 때문에 환자들은 언제 발작을 일으킬지 두려워서 사회 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며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 저하 실태를 소개 했다.



 


그는 “AI가 정확하게 뇌파를 판독하거나, 웨어러블 분석기기로 환자의 발작을 실시간 트래킹 할 수 있게 된다면 개인별 증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혁신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현재 UCB는 여러 벤처 기업과 함께 의약품 순응도 및 복약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필과 혈액 검사를 이용한 발작 추적법 등 뇌전증 분야의 다양한 기술 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을 개최한 한국 UCB 제약 이영주 대표는 “한국은 다양한 이노베이션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들 중 하나로서, UCB와의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자 이러한 연구 공유의 장을 마련했다”며, “UCB는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뇌전증 환자들을 돕는 혁신적인 미래 치료 기술 연구에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주사침 찔림, 침술, 문신 등 오염된 혈액에 의해 감염되는 만성 C형 간염.. .완치 후 중증 합병증 발생 고위험군 선별 AI 개발... 만성 C형 간염 완치 이후 간세포암종 등 중증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큰 고위험군 환자를 미리 알아내는 AI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승업, 이혜원 교수 연구팀은 만성 C형 간염 완치 이후에 간 관련 합병증을 보일 수 있는 고위험군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AI를 개발했다고 5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간학회 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IF 26.8)’에 게재됐다. 만성 C형 간염은 일상적인 접촉만으로 전염되지 않고 주사침 찔림, 침술, 문신 등 오염된 혈액에 의해 감염된다. 대부분 먹는 ‘항바이러스 치료제(Direct-acting Antiviral Agents·DAA)’로 고칠 수 있다. C형 간염은 완치 후에 간경변증이 없으면 간세포암종 발생 위험이 무시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간경변증이 없어도 일부 완치자 중에서 간세포암종 등 심각한 합병증을 보일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복부초음파 등으로 진단되는 간경변증이 없는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팀은 C형 간염 완치자 중 간경변증이 없는데도 간세포암종이 발생하는 등 예후가 좋지 않는 고위험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