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학술·좌담회,심포지엄

갈더마코리아㈜, 주사질환 인식의 달 기념 ‘CLEAR 심포지엄’ 성료

국내 피부과 의료진 대상 주사질환의 최신 치료 지견 공유의 장 8-9일 열어

갈더마코리아㈜(대표이사 김연희)는 4월 주사질환 인식의 달(Rosacea Awareness Month)을 맞아 지난 8일과 9일 양일 간 국내 피부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주사질환 최적의 치료법에 대해 논의하는 ‘CLEAR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주사(Rosacea)는 코와 뺨 등 얼굴 중앙 부위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발생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혈관 조절 기능 이상, 자외선 노출, 유전적 소인 등 여러 인자가 유발인자로 추측된다. 갈더마코리아는 국제주사학회(National Rosacea Society)가 지정한 4월 주사질환 인식의 달에 맞춰 대국민 주사질환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해 오고 있다. 실제 국내 주사질환 유병률은 약 1.7%로, 주사질환에 대한 낮은 인지도로 인해 정확한 진단과 환자 발굴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심포지엄의 타이틀인 ‘CLEAR’는 ‘Continuous Learning from Experts for Acne & Rosacea’의 약자로, 주사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진단 및 치료 활성화에 기여함으로써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만드는데 기여하겠다는 갈더마코리아의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의 좌장은 국립중앙의료원 피부과 박미연 교수, 고려대의대 피부과 안효현 교수가 맡았으며, 순천향의대 피부과 김정은 교수, 순천향의대 피부과 최유성 교수, 리더스피부과 청담도산대로점 노낙경 원장 총 세 명의 의료진이 발표 연자로 나서 주사질환의 증상 및 진단법과 최신 치료 동향에 대해 강연했다. 이어 아카데미피부과 서종근 원장이 주사질환과 감별질환으로 거론되는 여드름 치료에 대해 강연을 진행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순천향의대 피부과 김정은 교수는 주사질환의 발생 원인과 최신 진단 방법에 대해 소개했다. 김정은 교수는 선천 면역의 과도한 반응과 피부 혈관의 항상성을 주사질환의 핵심 원인으로 꼽으며, 피부에 존재하는 모낭충에 의해서도 이러한 반응이 유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주사의 진단은 아형(subtype) 분류가 아닌 표현형 접근법(phenotype-based approach)을 활용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으며, 초기부터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전신 홍반 루푸스, 여드름 등 주사와 임상적으로 유사한 증상을 띠거나 동반될 수 있는 질환과 정확히 감별해 치료하는 것이 주사의 경과에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순천향의대 피부과 최유성 교수가 주사질환의 최신 치료 동향에 대해 다뤘다. 최유성 교수는 주사질환 특성상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기 때문에 증상을 완화하고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것이 현재 최선의 치료법이라 설명했다. 특히 주사질환의 주요 원인인 모낭충을 제거함으로써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데, 항원충 작용이 있는 이버맥틴 성분의 수란트라® 크림이 주사질환의 재발 지연 및 염증 완화에 장·단기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이번 심포지엄의 좌장을 맡은 국립중앙의료원 피부과 박미연 교수는 “주사질환은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질환 인지도가 낮아 주사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방법과 치료 정보를 공유할 기회가 적었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주사질환에 대한 최신 지견을 살펴보고 공유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 교류의 장이 됐기를 바라며, 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보다 많은 환자들이 주사질환을 조기에 진단받고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그린제약,의약품 제조업자 등의 준수사항 위반 으로...다수 품목 행정 조치 받아 그린제약(충북 음성 소재)이 의약품 제조업자 등 준수사항 위반으로 다수의 품목이 1개월 제조업무정지 및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과징금 처분.14,100,000원이 부과된 제품은 '그린관장약(농글2025'으로 그린제약의 효자 품목으로 알려지고 있다.제조업무정지 1개월(2025. 4. 28. ~ 2025. 5. 27.) 대상품목:은 그린나잘스프 레이모이쳐액(옥시메타졸린염산염), 그린오피에이액(오토프탈알데하이드), 그린클로르헥 시딘크림(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포비돈브러쉬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세 정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스틱스왑(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요오드액, 그린헥시디 놀액, 그린헥시디놀액2%, 그린헥시가글액0.12%(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 딘브러쉬액(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딘세정액4%(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액), 그린헥시딘스틱스왑액, 그린헥시딘액 5%(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아나프리스프 레이, 아크원팁스왑액(살리실산) 등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그린제약은 "약사법 제38조 제1항 및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제48조제9 호가목[별표1]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등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홈페이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