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6 (목)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2.1℃
  • 구름많음광주 1.3℃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1℃
  • 흐림제주 4.4℃
  • 맑음강화 -1.8℃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4℃
  • 구름많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2.8℃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삶은 질병이다

  • No : 135
  • 작성자 : 김용발
  • 작성일 : 2011-03-17 11:37:27

“삶은 질병이다”

 

“삶은 질병이다”는 라즈니쉬의 어느 책에 나오는 글귀입니다. 저의 인생을 바라보는 시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스승님 중 한 분이 바로 라즈니쉬입니다. 저는 한글로 번역된 거의 모든 라즈니쉬 책을 읽어보았고, 그 중 몇 가지는 거듭해서 읽고 있습니다.

제가 “삶은 질병이다”라는 문장을 처음 본 것은 아마도 수 십 년 전이었을 것입니다. 이 문장을 처음 접했을 때 느꼈던 거부감 짙은 당혹스런 느낌을 지금도 생생히 기억할 수 있습니다. 라즈니쉬는 우리들 삶을 본질적 에너지의 끝없는 춤사위로 보는 분이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삶은 질병이다”라고 했으니 대단한 충격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이 글귀의 참뜻을 알게 되기까지 많은 세월이 흘러갔습니다. 아마도 저 자신이 경동맥 협착제거 수술을 하지 않았다면 이 글귀의 참뜻을 영원히 알 수 없었을 지도 모릅니다. 이 글귀의 참뜻은 질병의 본질을 체험적으로 직관해볼 수 있을 때 비로소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기 때문입니다.

질병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질병에 대해서 우리들이 갖고 있는 일반적 시각은 매우 부정적인 것입니다. 질병은 우리 몸 외부 또는 내부의 어떤 나쁜 물질이 우리 몸을 일방적으로 공격해서 발생한다는 피해논리가 무의식 중에 자리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분연히 질병과 맞서 싸워야 하고, 질병에서 일어나는 모든 증상은 무차별적으로 억제되어야 한다는 맹목적 믿음을 갖고 있는 듯합니다. 우리들이 질병의 치료목적에 사용하고 있는 대증요법 약물들이 이러한 믿음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열이 있으면 열을 내리고, 혈압이 올라가면 혈압을 내려버리고, 충혈이 있으면 혈관을 수축해버리는 것이 대증요법입니다. 매우 기계적이고 무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대증요법은 질병의 본질을 바르게 파악한 결과물일까요?

저는 결코 그렇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몸의 치유체계에 위해를 가할 개연성이 높은 것이 대증요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삶은 질병이다”라는 라즈니쉬의 통찰은 정말 심오한 구석이 많은 듯합니다. 그는 질병의 본질을 직관하고 있었습니다. 질병은 우리 몸이 건강을 회복해가는 필수적 프로세스(process) 인 것입니다. 우리 몸은 질병을 통해서만이 건강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질병은 무차별적으로 억제되어야 할 부정적 대상이 결코 아닌 것입니다. 질병은 건강을 지향하는 우리 몸의 적극적 방어체계인 것입니다.

우리는 질병을 무차별적으로 억제하기에 앞서, 그러한 방어체계(질병)가 유발되지 않으면 안 될 원인을 찾아나서야 하는 것입니다. 인체는 ‘몸-마음 복합체’이고, 몸에 관련된 원인을 “독(毒)”이라 부르는 반면, 마음에 관련된 원인을 “화(火)”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화”는 마음의 “독”인 셈이지요.

그러니까 질병은 우리 몸에 쌓인 “독”을 제거하고, “독”에 의해 손상된 조직을 재건하는 몸의 “디톡스 와 리폼의 과정(detox n reform process)"인 것입니다.

수행(修行)이라는 말은 몸과 마음의 행위를 깨끗이 닦는 것을 말합니다. 소위 몸과 마음에 쌓인 독을 제거하고, 독에 의해 손상된 몸과 마음을 원래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수행의 모든 것입니다. 수행을 통해 몸과 마음이 청정(淸淨)해지면, 소위 ‘디톡스와 리폼의 과정’을 통과하면, 본래의 성품이 드러나고, 본래의 성품이 드러나면 영원한 행복이 뒤따르는 것이지요.

삶은 수행을 통해 영원한 행복을 추구해가는 여정인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디톡스와 리폼의 과정”인 질병은 몸의 수행인 것입니다.

“삶은 질병이다”라는 문구는 영원한 행복을 지향하는 화두(話頭)입니다. 이 화두를 푸는 사람은 누구나 그 즉시 질병에서 뿐만이 아니라 삶에서도 자유와 행복을 누릴 것입니다.

                                                                              문의전화 : (031)457-0034




네티즌 의견 0

0/300자

의료기기ㆍ식품ㆍ화장품

더보기

제약ㆍ약사

더보기
제15회 ‘유일한상’ 시상식, 다자녀 출산 및 입양 실천 가정 공동 수상 유한양행 창업자 고(故) 유일한 박사의 뜻을 기리는 제15회 ‘유일한상’ 시상식이 개최됐다.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15일 오후 6시,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제15회 ‘유일한상’ 시상식을 갖고, 저출산 시대, 출산과 입양을 통해 생명존중과 돌봄의 가치를 실천한 두 가정을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 수상의 영예를 안은 김석태·엄계숙 부부와 김상훈·윤정희 부부에게는 상금과 상패, 금메달을 각각 수여했다. 김중수 유한재단 이사장 등으로 구성된 유일한상 심사위원회는 “저출산에 기인한 인구감소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출산과 입양을 통해 생명의 존중, 가정의 화목, 공동체의 번영을 가져오는 데 크게 기여한 김석태·엄계숙 부부와 김상훈·윤정희 부부를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상식에서 조욱제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이번 수상자인 두 부부는 출산과 입양을 통해 많은 자녀를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양육하고, 이 사회에 사랑과 생명의 가치를 확산하며, 나아가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는데 귀감이 되었다.”고 말하며, “앞으로도 유한양행은 창업주 유일한 박사님의 뜻을 계승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모범이 되시는 분들을 찾아 수상자로 모실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