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셀레믹스, 효소 기반 롱리드 시퀀싱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 출시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 플랫폼 기업 셀레믹스(대표 이용훈·김효기/KOSDAQ 331920)가 효소 기반의 롱리드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Enzymatic Long-read Library Preparation Kit)를 새롭게 출시하며, 미국을 중심으로 급성장하는 롱리드 시퀀싱(Long-read Sequencing)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셀레믹스가 독자 개발한 효소 기반 DNA 절편 처리 기술과 비드(Bead) 기반 선택적 분리 기술을 적용해 기존 롱리드 시퀀싱에서 필수였던 기계적 파편화와 사이즈 선택 과정이 필요 없어졌다.

결과적으로 평균 약 2kb 수준의 롱리드 DNA 라이브러리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으며, 고가 장비나 추가 소모품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 절감과 실험 시간 단축 효과가 크다. 특히 기존 NGS 실험 프로토콜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돼, 기존 사용자들이 추가 교육 없이 바로 적용 가능해졌다.

최근 롱리드 시퀀싱 기술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병원체 분석에 활용된 이후, 약물유전체학(Pharmacogenomics), 희귀질환 진단, 감염성 질환 분석 등 인간 유전체 연구 전반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360iResearch에 따르면 롱리드 시퀀싱 시장은 2023년 약 6억 9,772만 달러 규모로 형성됐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25%의 고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셀레믹스의 효소 기반 기술은 로슈(Roche), 타카라(Takara), 퍼킨엘머(Perkin Elmer), 다나허(Danaher) 등 글로벌 대기업이 인수·내재화한 고부가가치 기술에 필적하는 수준이며, 효소 개발부터 어플리케이션 상용화까지 자체 역량을 보유한 기업은 글로벌에서도 드물다.

이번 신제품은 출시와 동시에 네덜란드의 기존 고객사에 공급을 개시했으며, 향후 약물유전체 분석 패널, 희귀질환 진단 패널, 병원체 감염 분석 패널과 연계해 세계 최대 규모의 롱리드 시퀀싱 시장인 미국을 주요 타깃으로 매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수해발생 시 감염병 예방은? .... 안전한 물·음식물 섭취와 손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해야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집중호우로 인하여 호우 위기경보 수준이「심각」으로 격상됨에 따라 풍수해 감염병 유행을 대비하기 위하여 지자체에게 감염병 예방홍보, 발생 감시강화 및 모기 등 매개체 방제를 요청하였다(7.17). 풍수해 감염병에는 ❶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장관감염증, A형간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등), ❷물 웅덩이 등 모기 증식이 쉬운 환경으로 인한 모기매개감염병(말라리아, 일본뇌염), ❸오염된 물 등에 직접 노출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렙토스피라증, 안과 감염병 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풍수해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고, 손씻기 등 위생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침수지역에서 수해복구 등의 작업 시에는, 방수장갑(고무장갑)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작업 종료 후에는 반드시 깨끗이 씻을 것을 당부했다. ➊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범람 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한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 감염증 등), A형 간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조리 전· 후와 식사 전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용인세브란스병원, 유방암 로봇수술 100례 달성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최근 로봇 유방 절제술 100례를 달성하고, 이를 기념해 지난 16일 수술실에서 공식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성과는 국내에서도 일부 상급종합병원에서만 달성된 수준으로, 유방암 분야에서 보기 드문 이정표로 평가된다. 용인세브란스병원은 국내 최초로 로봇수술을 도입한 세브란스병원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두 번째로 유방암 로봇수술을 시작한 김주흥 교수(유방외과)를 중심으로 한 숙련된 전문의들이 로봇 유방 수술 분야의 선도적 입지를 확립하고 있다. 또한 진단부터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까지 유방암 치료 전 과정을 한 기관 내에서 수행하는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해 환자에게 신속하고 통합적인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방암 로봇수술은 겨드랑이 부위를 통한 약 4cm 내외의 절개만으로도 기존 수술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절개 부위가 눈에 띄지 않아 외관 변화에 대한 부담이 큰 환자들에게 중요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주흥 교수는 최근 외과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자마 서저리(JAMA Surgery)’에 로봇 및 내시경 기반 최소침습 수술이 기존 피부 절개 방식에 비해 유두 및 유륜 괴사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