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바이오 USA 2025 참가 ... 글로벌 협력 강화 등 '성과 풍성'

공동 홍보관·IR 세션·코리아 나잇 리셉션 통해 글로벌 파트너십 기반 확대
노연홍회장 "협회,민·관 협력 허브로서, 국내 산업계의 국제화 선도 중추적 역할 지속"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16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5’(이하 바이오 USA)에 참가,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북미 지역 내 협력 기반을 강화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바이오 USA 전시회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The world can’t wait)‘를 주제로 개최됐다. 협회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9개 주요 기관*과 함께 ▲공동 홍보관(KOREA BioHealth Hub Pavilion) ▲IR 세션 ▲코리아 나잇 리셉션(KOREA Night Reception) 등을 운영하며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홍보 및 네트워킹을 적극 지원했다.
* 9개 기관 : 국가독성과학연구소,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전북테크노파크, 첨단재생의료산업협의회, 충북경제자유구역청,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코리아 바이오헬스 허브’라는 명칭에 걸맞게, 공동 홍보관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링 기회를 제공하는 데 주력했다. IR 세션에는 21개 기업이 참여해 자사의 기술과 파이프라인을 글로벌 투자자 및 기술 협력 파트너에게 직접 소개했다. 이어 열린 ‘코리아 나잇 리셉션’은 역대 최대 규모인 1,0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으며, 국내·외 제약바이오 관계자들은 활발한 교류 속에 다양한 파트너십 기회를 모색했다.
행사에 참석한 한 해외 관계자는 “전시회장 곳곳에 통합 한국관과 한국의 유망 기업들을 목격할 수 있었고 한국 참석자 수도 압도적이었다”며 “고도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바이오 USA 참가 외에, 15일에는 재미 한인 생명과학자 단체 K-BioX가 주최한 ‘ABDD Summit 7’에도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노연홍 회장은 ‘K-Pharma at a crossroads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를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이를 통해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오픈 이노베이션과 AI 활용 강화, 재미 생명 과학자들과의 협력 및 글로벌 진출 지원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해 나가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또한 16일 오후에는 보스턴 내 혁신 거점인 CIC(Cambridge Innovation Center) 입주 및 보스턴 진출 기업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협회 차원의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참석자들은 2021년 협회의 주도로 시작된 CIC 입주 지원 프로그램이 세계 최고의 제약바이오 허브인 보스턴 진출의 디딤돌이 됐다고 평가하고, 향후에도 정부 및 협회 차원의 글로벌 진출 확대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확대를 요청했다. 

아울러 16일 저녁에는 미국 동부 뉴잉글랜드 지역 젊은 생명과학자 모임인 뉴잉글랜드 생명과학협회(NEBS, New England Bioscience Society) 임원진과의 간담회(오름 테라퓨틱스, 인제니아, 유한양행, 동아ST, 보건산업진흥원 미국지사 관계자 참석)를 통해 한‧미 연구자 간 협력 및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 NEBS 임원진들은 최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들과의 3차례에 걸친 간담회 결과 등을 소개했다. 양측은 미국 내 생명과학 전문가들의 산업계 진출을 위한 협회와의 협력 강화, 한·미간 생명과학 공동연구 및 제약바이오와 AI의 융합을 위한 방안, 협회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인 K-SPACE 활용 확대 방안 등을 주제로 심도 있는 토의를 진행했다.

이와 함께 노 회장은 17일 오후 현지에서 바이오 USA에 참가한 국내 기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번 바이오 USA 참가 소회와 제약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한 비전을 공유했다. 또한 미·중 경쟁,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AI 활용, 미국 의약품 관세 및 MFN 약가 인하 등 주요 이슈에 대해 질의응답 형식으로 의견을 나눴다.
 
노연홍 회장은 “이번 바이오 USA 참여를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위상이 급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협회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민·관 협력의 허브로서, 국내 산업계의 국제화를 선도하는 중추적 역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콘택트렌즈’ 착용한 채로 수영 등 물놀이 안돼...왜? 의료기기 콘택트렌즈는 안구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시력 보정 목적의 제품으로, 시력 검사와 눈의 질환 여부 등에 대한 안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은 후 안경원 등 판매처에서 구매해야 한다. 의약외품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은 콘택트렌즈의 관리를 위해 세척, 보존, 소독, 헹굼 등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 구매 시 제품의 용도와 사용하는 렌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름철 물놀이 등 상황에서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콘택트렌즈 및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의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사항 등을 아래와 같이 안내했다. < 물놀이할 때 ‘콘택트렌즈’는 착용하지 마세요 >콘택트렌즈는 원재료에 따라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하드 콘택트렌즈로 분류되고, 착용 시간에 따라 매일착용 렌즈와 연속착용 렌즈로 분류되므로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제품별 올바른 사용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는 항상 손을 깨끗하게 씻고 착용 전 렌즈 표면에 불순물이 없는지 확인하여 각막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각막에 산소가 잘 공급될 수 있도록 권장 시간 이상 오래 착용하지 않아야 하며, 다른 사람이 착용했던 렌즈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대한의사협회 “인공임신중절 무제한 허용, 생명권·여성건강 모두 위협”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국회에 발의된 임신 주수나 사유에 제한 없이 인공임신중절을 허용하고, 의사의 신념과 무관하게 시술을 거부할수 없는 법안에 대해 “국민 생명권 보호와 여성 건강 증진에 반한다”며 우려를 표했다. 의협은 해당 개정안이 약물에 의한 인공임신중절을 명문화했지만, 국내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허가한 중절 약물이 없고 해외 사용 약물조차 안전성이 완전히 검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해당의약품은 과다출혈 등 심각한 부작용과 불완전 유산, 자궁 파열, 영구 불임 등 치명적 합병증 위험이 존재한다"며 “의학적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약물을 허용하는 것은 여성 건강권을 위협하는 처사”라고 밝혔다. 의협은 2019년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역시 낙태 전면 허용을 의미한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의협에 따르면 당시 헌재는 “임신 전 기간에 걸쳐 모든 낙태를 처벌할 수 없게 되면 '용인하기 어려운 법적 공백'이 발생한다”며, 태아 생명권과 여성 자기결정권의 조화를 이루는 입법을 촉구했었다. 의협은 “인공임신중절 허용 한계를 삭제하는 것은 헌재 결정을 왜곡하고 생명윤리 가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개정안이 인공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