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0℃
  • 구름많음강릉 11.3℃
  • 박무서울 7.4℃
  • 대전 9.6℃
  • 구름많음대구 11.8℃
  • 구름많음울산 12.0℃
  • 광주 8.7℃
  • 맑음부산 13.6℃
  • 흐림고창 8.7℃
  • 흐림제주 12.3℃
  • 구름많음강화 5.9℃
  • 흐림보은 7.3℃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12.4℃
  • 구름많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관절염환자 4백만명 시대...50·60대 가장 많아

의보공단 분석결과, 지난해 1인당 연간 진료비 41만 원으로 2011년 대비 12.4%(45,113원) 증가 평균 입・내원일수는 6.6일로 ’11년 7.0일 대비 0.4일 감소

관절은 뼈와 뼈가 만나는 부위로, 우리 몸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런 움직임을 부드럽게 도와주는 부위가 연골이다. 활막에서는 자동차의 윤활유와 같은 관절액을 분비해서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힘줄, 근육 등은 관절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절 구조물(뼈, 연골, 활막 등)에 염증이 생기면 관절염이라고 한다. 연골이 닳아서 오는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은 활막에 염증이 생기는 류마티스 관절염이 대표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관절염’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가입자의 진료현황을 분석하였다.


최근 5개년(2011~2015)간 ‘관절염’질환 진료현황 추이를 보면  ’11년 408만 명에서 ‘15년은 449만 명으로 약 41만 여명이 증가하였으며, 진료비는 ’11년 1조 4,884억원에서 ‘15년은 1조 8,402억 원으로 3,518억이 증가(23.6%↑)하였다. 
   
< 연도별 ‘관절염’ 진료현황 추이>

       

구분

‘11

‘12

‘13

‘14

‘15

‘11년 대비 ’15년 증가율

진료인원()

4,082,690

4,240,361

4,301,837

4,400,108

4,491,909

10.0

진료비(백만 원)

1,488,403

1,567,867

1,625,933

1,714,008

1,840,233

23.6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8,281

8,538

8,605

8,745

8,897

7.4

1인당 연간 진료비()

364,564

369,749

377,962

389,538

409,677

12.4

평균 입내원일수()

7.0

6.9

6.8

6.8

6.6

-5.7

                   

 ‘15년 기준으로 전체 진료비 구성비율을 보면 외래 42.9%(7,893억 원) > 입원 35.0%(6,445억 원) > 약국 22.1%(4,065억 원)순으로 나타났다. ‘15년 기준 1인당 연간 입원 진료비가 431만 원을 차지하여 1인당    연간 외래 진료비 27만 원 비해 16.1배 많았다.
  
< 연도별 진료형태별 ‘관절염’ 진료비 현황>

  

구분

‘11

‘12

‘13

‘14

‘15

(구성비)

‘11년 대비 ’15년 증가율

진료비

(백만원)

1,488,403

1,567,867

1,625,933

1,714,008

1,840,233

100.0

23.6

입원

512,227

559,816

571,132

576,885

644,461

35.0

25.8

외래

615,608

647,512

685,940

745,569

789,318

42.9

28.2

약국

360,568

360,540

368,861

391,554

406,454

22.1

12.7

1인당 연간 진료비

()

364,564

369,749

377,962

389,538

409,677

 

12.4

입원

4,143,260

4,091,921

4,389,406

4,155,036

4,307,835

 

4.0

외래

240,563

239,232

246,136

259,508

267,366

 

11.1

평균 입내원일수()

7.0

6.9

6.8

6.8

6.6

 

-5.7

입원

21.4

21.0

23.1

22.6

21.9

 

2.3

외래

6.4

6.2

6.1

6.1

5.9

 

-7.8

   
      <‘15년 진료형태별 구성비율(%) >    <’15년 1인당 연간 진료비(천원)>  <‘15년 평균입내원일수(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찬희 교수는 관절염 환자가 꾸준히 증가한 이유에 대해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 여러 방송 매체, 홍보 등으로 인해 질병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초기에 진료를 받으려는 경향이 증가하는 것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퇴행성 관절염의 증가는 수명 연장으로 인한 고령화와 연관이 있어 보인다. 비만 및 고령화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무릎 관절염이 증가한 것도 퇴행성 관절염 증가의 이유가 된다”고 설명하였다.


 ‘15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60대에 ‘관절염’ 진료인원 120만 명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율(’15년 기준)은 60대 26.6%(120만 명) > 50대 24.3%(109만 명) > 70대 22.5%(101만 명) 순으로 나타났다.

 

10대 이하와 30~40대는 ’11년 대비 진료인원 줄어(’15년 기준)으며, 최근 5개년 간 증가율 가장 높은 연령대는 80세 이상, 39.0%↑(38만 4천 명)나타났다.  ‘관절염’ 진료인원의 67.2%(302만 명)가 여성(’15년 기준)이며 ‘11년 여성 진료인원 비율인 68.7% 보다는 1.5%p 감소한 했다.


<연도별 ‘관절염’ 연령대별 진료인원 현황>
                                                                                       (단위 : 명, %) 

구분

‘11

‘12

‘13

‘14

‘15구성비율

‘11년 대비 ’15년 증가율

4,082,690

4,240,361

4,301,837

4,400,108

4,491,909

100

10.0

남자

1,277,044

1,344,488

1,381,806

1,428,071

1,473,929

32.8

15.4

여자

2,805,646

2,895,873

2,920,031

2,972,037

3,017,980

67.2

7.6

9세이하

10,637

10,416

9,624

9,918

9,774

0.2

-8.1

10

49,483

48,117

46,824

47,259

45,538

1.0

-8.0

20

97,231

98,143

98,292

103,857

102,373

2.3

5.3

30

198,643

201,088

199,219

199,870

193,078

4.3

-2.8

40

479,528

477,124

472,768

469,760

457,337

10.2

-4.6

50

1,032,705

1,075,898

1,084,724

1,090,417

1,091,072

24.3

5.7

60

1,047,086

1,067,844

1,083,405

1,120,867

1,195,815

26.6

14.2

70

890,843

959,149

987,816

1,008,036

1,012,648

22.5

13.7

80세 이상

276,534

302,582

319,165

350,124

384,274

8.6

39.0

           
               <2015년 ‘관절염’ 연령대별 진료인원 현황>
이찬희 교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2배정도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에    대해"류마티스 관절염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3배 정도 더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호르몬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퇴행성 관절염과 여성호르몬 관계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손과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여성에서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관절염이 생겼을 때, 여성의 근육   량이 남성보다 적고, 이로 인해 근육에 의한 관절 지지기능이 떨어져   통증을 더 심하게 느끼는 것도 여성의 진료 인원이 많은 이유와 연관이 있을 것“고 설명하였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을 계산한 결과, 2011년 8,281명에서 2015년 8,897명으로 연평균 (1.8%↑)증가하였다. 2015년 기준으로 70대가 34,598명으로 가장 많았고, 80대 이상     31,611명, 60대 28,867명 순으로 나타났다.10대~30대이하에서는 연평균 0.8%~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40대 이상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2015년 ‘관절염’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 현황(명,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연평균

증가율(%)

전체

8,281

8,538

8,605

8,745

8,897

1.8

9세이하

232

227

211

219

215

-1.8

10

777

779

783

820

829

1.6

20

1,436

1,467

1,475

1,543

1,510

1.3

30

2,403

2,454

2,467

2,528

2,480

0.8

40

5,567

5,523

5,402

5,340

5,237

-1.5

50

14,198

14,233

13,892

13,591

13,413

-1.4

60

30,808

29,083

28,097

27,818

28,867

-1.6

70

35,254

35,170

34,861

34,644

34,598

-0.5

80대이상

31,718

32,038

31,218

31,271

31,611

-0.1

         <2015년 ‘관절염’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 (명,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찬희 교수는 관절염(M00~  M19, M45) 관리 방법 및 예방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주요 관절염의 원인 및 증상
  -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액을 만드는 활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으로, 관절이 뻘겋게 부어오르고, 열감과 통증이 느껴지며, 심    하면 움직이기도 힘들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손이나 발 관절에   잘 생기며 수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고, 좌우 대칭   으로 오는 경향이 있으며, 사용 후 악화되는 퇴행성 관절염과 달리   자고 일어났을 때 증상이 심한 경우가 많다.


 - 100여종이 넘는 관절염 중에서 가장 흔한 골관절염은 노화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한다. 연골은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지만, 한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관절을 사용하면 할수록 연골이 손상되지만 재생이 되지 않아, 시간이 지날수록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관절 주위가 아프고, 뻣뻣하며, 움직이는데 불편을 느끼게 된다.


❍ 치료 및 관리
 - 류마티스 관절염은 약물 치료가 중심이 되며, 관절 보호를 위한 보호대 사용이나 물리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항류마티스 약제를 근간으로 스테로이드와 소염진통제를 병용 투여할 수 있다. 또한, 항류마티스 약제로 호전이 되지 않으면,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병과 마찬가지로 류마티스 관절염도 조기에 진단하면 치료결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가능한 증상이 생기고 1년  이내에 진단하여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을 중지시키거나, 회복시키는 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으나, 관절염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관절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해 비약물 치료, 연골영양제 및 진통제 등을 사용하는 약물치료와 수술 치료 등을 할 수 있다.


❍ 예방법
 - 류마티스 관절염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이 잘 생길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흡연을 할 경우,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발병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금연’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으로는 관절의 과도한 사용이나 비만 그리고 관절의 손상 등이므로 가급적 무리한 관절의 사용을 피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며, 운동으로 근력을 유지하여 관절을 보호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후발의약품 개발 활성화 되나...식약처, 자료보호 기간 종료 의약품 특허정보 공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내 후발의약품의 개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자료보호 및 의약품 재심사기간이 향후 3년(’26~’28) 내 종료되는 507개 품목(중복 포함)에 대해 식약처 의약품 특허목록에 등재된 특허정보(이하, 등재특허 정보)를 11월 25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공개되는 등재특허 정보는 자료보호 및 재심사 종료 품목의 제품명, 업체명, 주성분, 종료일, 등재특허 유무, 등재특허번호, 등재특허 만료일, 생산·수입 실적 등이다. -향후 3년 내 자료보호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 자료보호 및 재심사 대상 의약품에 대한 후발의약품의 품목허가 신청은 해당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가능하며, 업체는 제품 개발을 위한 특허회피전략 또는 특허무효전략 수립 시 공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펙수프라잔 제제, 보툴리눔 제제 등 생산·수입실적 상위 각 5개 품목에 대해서는 등재특허 정보 외에 해당 성분 관련 미등재된 특허정보를 추가로 제공한다. -향후 3년 내 재심사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목 식약처는 이번 정보 제공이 국내 후발의약품의 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내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환경을 조성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만성골수성백혈병, 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가능..."유전자 변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가능성 열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와 정유상, 유구상 박사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 기술을 이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에서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항암제 내성 패턴을 모두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IF 26.7)’에 게재됐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1 융합 유전자에 의해 생기는 대표적인 혈액암이다. 이 유전자는 세포의 ABL1 효소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해 암세포가 계속 성장하게 만든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4세대에 걸친 항암제가 개발됐으며, 많은 환자에게서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지속되면 ABL1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다.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면 어떤 약에 내성을 보이고 반응하는지 알기 어려워 진료 현장에서 각 환자에 맞는 항암제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기’라는 최신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ABL1 유전자에 생길 수 있는 단일 아미노산 변이 98%(195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