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스마트폰 과다사용 일자목(일자로 펴진 경추)증후군 불러....환지 급증

지난해 진료환자 269만 6천 명… 남성 116만 3천 명, 여성 153만 3천 명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2016년 ‘일자목증후군’ 질환으로 진료 받은 전체인원은 2011년 239만 7천 명에서 2016년 269만 6천 명으로 늘어 연평균 2.4% 증가하였다고 밝혔다.2016년 기준, 총 진료인원은 남성 116만 3천 명, 여성 153만 3천 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은 인구 10만 명당 6069명, 남성은 인구 10만 명당4559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하여도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 연도별 ‘일자목증후군’ 질환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연평균

증가율(%)

진료 

실인원

(천 명)

2,397

2,472

2,502

2,572

2,608

2,696

2.4

남성

994

1,036

1,061

1,095

1,121

1,163

3.2

여성

1,403

1,437

1,441

1,476

1,487

1,533

1.8

인구 10만 명

()

4,863 

4,979 

5,005 

5,111 

5,165 

5,311 

1.8

남성

4,005 

4,145 

4,219 

4,329 

4,418 

4,559 

2.6

여성

5,733 

5,823 

5,799 

5,901 

5,920 

6,069 

1.1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50대(64만 3천 명, 23.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40대(56만 5천 명, 21.0%), 30대(41만 2천 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50대(24만 8천 명, 21.4%)가 가장 많았고, 40대(23만 9천 명, 20.6%), 30대(20만 2천 명, 17.4%) 순이며, 여성은 50대(39만 4천 명, 25.7%)이 가장 많았고, 40대(32만 5천명, 21.2%), 60대(23만 5천 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 2016년 ‘일자목증후군’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 (단위 : 명, %)

 

구분

전체

9세 이하

10

20

30

40

50

60

70대 이상

2,695,956

26,819

115,543

257,007

412,192

564,844

642,742

397,839

278,970

(100%)

(1.0%) 

(4.3%) 

(9.5%) 

(15.3%) 

(21.0%) 

(23.8%) 

(14.8%) 

(10.3%) 

남성

1,162,557

15,400

64,687

124,066

202,440

239,380

248,243

162,990

105,351

(100%)

(1.3%) 

(5.6%) 

(10.7%) 

(17.4%) 

(20.6%) 

(21.4%) 

(14.0%) 

(9.1%) 

여성

1,533,399

11,419

50,856

132,941

209,752

325,464

394,499

234,849

173,619

(100%)

(0.7%) 

(3.3%) 

(8.7%) 

(13.7%) 

(21.2%) 

(25.7%) 

(15.3%) 

(11.3%)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이장우 교수는 중년 5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일자목증후군은 잘못된 자세와 동작이 원인이 되고 이러한 요소들이 장기간 축적되어 골격의 변형까지 일으키는 질환이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게 된다”“게다가, 나이가 들면서 목 주변 근육의 근력이 약해지고 척추에도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통증에도 취약하게 된다. 하지만 근래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 되면서 발생 연령이 점차 젊어지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일자목증후군‘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시 문제점에 대해 “목 부위 통증뿐 아니라 두통이나 어깨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고, 나이가 들면 구조물들의 비가역적 변화를 야기하고 통증은 더 심해질 수 있다. 또한 목 척추나 디스크 등의 퇴행성 변화를 초래하여 추간판탈출증이나 심한 경우 경추척수증과 같은 신경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2016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남성은 60대가 6462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이상 6025명, 50대 5986명 순이며, 여성은 50대 9617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8820명, 40대 7617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일자목증후군’ 질환의 진료비 추이를 살펴 보면, 2011년 3327억 원에서 2016년 4412억 원으로 1085억 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기간에 입원 진료비는 793억 원에서 903억 원으로 연평균 2.6% 증가하였고, 외래 진료비는 2534억 원에서 3510억 원으로 연평균 6.7%증가하였다.


< 연도별 진료형태별 ‘일자목증후군’ 진료비 추이 >(단위 : 백만 원)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연평균

증가율 (%)

332,698 

353,744 

366,065 

397,268 

415,127 

441,236 

5.8 

입원

79,340 

84,045 

83,697 

88,860 

88,437 

90,251 

2.6 

외래

253,357 

269,700 

282,368 

308,408 

326,690 

350,985 

6.7 


주) 수진기준(실제 진료받은 일자기준), 약국 진료비는 외래에 포함됨.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이장우 교수는  ‘일자목증후군’ 질환의 증상 및 원인, 치료법 및 치료시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일자목증후군’ 예방법

 목척추의 정상 만곡을 유지하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등뼈의 과도한 후만과 둥근 어깨 자세의 교정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깨를 편 자세를 함께 유지해야 한다.

  바른 자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스트레칭 운동이다. 일자목증후군에서는 대개 목 뒤쪽 근육이 짧아져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스트레칭하기 위해서는 손을 머리 위쪽 방향으로 올려 후두부에 오게 한 다음 고개를 아래로 당기는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해준다.

  또한 둥근 어깨 자세로 인해 흉근이 짧아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양쪽 어깨를 벌려 흉곽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해준다. 스트레칭은 한 번에 10~15초 정도 충분히 해줘야 한다.

  그 외 근력 운동도 중요한데 기본적으로는 목 근육의 근력 강화를 위해 등척성 운동을 이용한다. 바로 앉은 자세에서 손을 이용하여 목을 밀고 손으로 미는 방향 반대 방향으로 목에 힘을 주면서 운동을 한다. 앞뒤, 양 옆 네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한다.


❍ ‘일자목증후군’ 의 진단․검사

일자목증후군은 엄밀히 말하자면 의학적 진단명이 아니기 때문에 통용되는 진단기준은 없다.

 기본적으로는 목 부위 통증이 동반된 경우에서 X-ray 검사를 통해목척추의 전만이 감소한 소견을 확인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목척추가일자 모양을 넘어 후만 굴곡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 ‘일자목증후군’ 의 치료방법

 일자목증후군만으로는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다만, 추간판탈출증이나 경추척수증과 같은 신경증상이 발생할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 컴퓨터, 스마트폰 장시간 사용 시 생활 가이드

모니터는 팔을 뻗으면 닿을 정도의 거리에 오도록 하고, 앉은 자세에서 눈이 모니터의 중앙에 오도록 모니터 높이를 높여야 한다.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는 목이 과도하게 굴곡이 되지 않도록 몸에 너무 붙여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가급적 눈높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사용 시에는 30분에 한 번씩은 스트레칭을 하도록 한다. 이 때 자리에서 일어나 서서 스트레칭을 하면 허리 건강에도 더 좋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3차 제약바이오 혁신포럼 개최...무슨 내용 담을까?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위원장과 함께 오는 10월 17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제약바이오 비전 2030 실현 제3차 혁신포럼 – 제약바이오 글로벌 진출 가속화 전략 토크 콘서트」를 개최한다. 앞서 협회는 ▲1차 포럼에서 ‘K-제약바이오 미래비전’을 제시하고, ▲2차 포럼에서는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을 위한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번 3차 포럼은 이를 이어받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성과와 과제, 나아가 민관 협력과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한 해외시장 확대 방안을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이날 포럼은 협회 바이오벤처특별위원회 이병건 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되며, 업계와 정부,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연이어 글로벌 진출 경험과 비전을 공유하고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김열홍 유한양행 사장은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통해 해외 진출에 성공한 사례와 향후 과제를 소개한다. 이어 이재우 GC녹십자 개발본부장이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기와 실제 경험담을 전하고, 전윤종 산업기술기획평가원 원장은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R&D) 지원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미치는 영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BRF2 변이로 인한 질병 발생 기전 세계 최초 규명..."희귀질환 극복 실마리 제시" 원인을 모르는 면역결핍, 발달장애, 림프종을 앓아 왔던 환자와 가족이 16년만에 유전적 원인을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세포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BRF2 유전자’와 희귀질환의 연관성을 새롭게 발굴하고, 발병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는 원인이 불명확해 진단과 치료가 어려웠던 환자들에게 치료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향후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이승복 교수, 서울의대 권해윤 학생)와 중앙대 생명과학과 김근필 교수(윤서빈 박사) 공동 연구팀은 미진단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의 유전체 및 세포 데이터를 분석하고, BRF2 변이가 면역결핍 및 발달장애 희귀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해 30일 발표했다. BRF2는 세포의 생존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다. 다른 유전자들과 함께 복합체를 이루어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셀레노시스테인 tRNA(SeCys tRNA) 생성을 유도한다. SeCys tRNA를 기반으로 합성된 단백질들은 활성산소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산화-환원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BRF2 관련 질환에 대해선 그동안 연구가 드물었고, 이 변이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