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는 물론 도매약업계와 더나아가 약업계 전반에 공멸을 자초할 것으로 보이는 보훈병원 1원 낙찰 파문이 예상했던데로 쉽게 갈아 않지 않고 있다.
오히려 확산되는 분위기여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 약업계의 분위기 이지만, 1원 낙찰 제약업체가 사전에 입찰 도매상과의 교감을 가진 것은 물론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염두해 두고 감행했다는 미확인 소문까지 돌고 있어 이문제 해결의 종착역이 어디인지 누구도 예측 할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낙찰 도매상과는 관계없이 약을 공급하는 제약업체가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1원 낙찰은 사실상 '사생아'로 전락해 실효적 지배를 할수 없지만 사전 교감후 보훈병원 입찰에 조직적으로 대응했을 경우 상황은 겉잡을수 없는 소용돌이속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 할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업계는 한국제약협회 임시운영위원회 위원사인 동아제약을 비롯해 유한양행, 녹십자, 대웅제약, , 명인제약, 삼진제약,일동제약, 일양약품, JW중외제약, 종근당, 한미약품, 휴온스,국제약품 등 주요13군데 제약사들이 '1원 낙찰'에 대해 "절대 응하지 않겠다"고 밝힌 만큼 보훈병원에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공급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한국제약협회(회장 이경호)와 한국의약품도매협회(회장 황치엽)는 이문제와 관련여러차례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1원 낙찰 성사 가능성이 완전 배제되지 못했다는데 위기감을 느끼고 공동 대응 방안을 내놓았다.
양 단체는 일괄 약가 인하 영향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 비상식적 의약품 유통 문제로 제약기업 및 도매업소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위기 상황을 예의 주시하며 특단의 타개책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정부의 대폭적인 일괄 약가 인하 이후에 1원 낙찰 등 상식 이하의 가격으로 의약품을 유통시키는 것은 의약품 제조 및 유통을 아우르는 전체 약업계를 공멸로 이끄는 시장 교란 행위임을 공동 인식하고 "양 협회는 비상식적 의약품 공급 행위를 한 것으로 확인된 회원사에 대해 자정기능 차원에서 이미 결정한 대 회원사 제재 방침을 원칙에 입각하여 철저히 이행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또 "비상식적 의약품 공급행위를 한 기업에 대해 거래처 차별, 부당고객유인행위, 구입가미만 판매 등 공정거래법과 약사법 위반 여부를 철저히 밝히기 위해 관계 당국 고발 등의 조치를 하는 동시에 해당 품목이 제조과정에서 품질관리기준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식약청에 약사감시(수거 검정) 의뢰 등의 조치를 의뢰하기"로했다.
이밖에 양 협회는 상식 이하 가격으로 의약품을 공급하는 행위를 한 비회원 제약기업 및 도매업소에 대해 해당 기업 대표이사(외자기업의 경우 본사 대표이사)에게 해당 사실을 통보하고 주의를 촉구하는 한편 향후에 나타나는 비상식적 의약품 공급 행위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상호 협력 기능을 발휘해 공동 대응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