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퇴행성 질환 예방 위해 파이토뉴트리언트 영양섭취기준 관심 가져야

중국, 일본 등지에선 이미 제시하는 움직임 보여

한국식품과학회와 중국영양학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암웨이, 중국암웨이, 뉴트리라이트 건강 연구소가 후원하는 ‘2012 한중 국제 파이토뉴트리언트 심포지엄 (Korea & China Joint International Phytonutrient Symposium)’이 지난 26일 베이징에서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영양학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파이토뉴트리언트”를 주제로, 채소와 과일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파이토뉴트리언트(Phytonutrient, 식물영양소)가 가지는 생물학적 가용능력에 대한 연구사례와 파이토뉴트리언트의 주요 기능인 항산화 효능, 그리고 영양섭취기준 제시에 대한 국제적인 움직임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심포지엄을 공동주최한 한국식품과학회 윤석후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파이토뉴트리언트는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식품과 제약, 건강기능식품 산업에서 그 효능을 인정받고 있다”며 “한국식품과학회는 파이토뉴트리언트의 건강상 유용성을 인식하고 지난 5년간 국제 파이토뉴트리언트 심포지엄을 주최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에 참가한 일본국립보건영양원의 타쿠 쿄코 박사는 ‘파이토뉴트리언트 섭취 및 건강 효과, 일본의 영양섭취기준’을 주제로 파이토뉴트리언트 섭취 권장을 위한 일본의 국가적 노력과 배경에 대해 발표했다. 기존에는 단순히 충분한 섭취만 강조돼온 파이토뉴트리언트에 대해, 칼슘이나 단백질 등의 필수영양소와 같이 영양섭취기준을 제시해 파이토뉴트리언트가 제 7의 영양소로 인정받고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이어 미국 뉴트리라이트 연구소의 키이스 랜돌프 박사는 파이토뉴트리언트의 주요 기능인 항산화 기능에 대한 연구사례로 ‘산화 스트레스와 항산화 물질에 대한 패러다임의 진화’를 발표했다. 랜돌프 박사는 90년대 초반 거의 전무했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1995년 이후 급증하게 된 배경으로 환경과 생활방식의 변화를 꼽고, 산화스트레스가 각종 질환에 미치는 악영향과 파이토뉴트리언트와 같은 항산화 물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인 파이토뉴트리언트 영양섭취기준 제시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발표한 이화여대 권오란 교수는, 파이토뉴트리언트의 한 종류인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연구사례를 활용해 파이토뉴트리언트가 미량으로도 건강상에 이점을 제공한다는 점을 확인시켜주었다. 또한 권 교수는 파이토뉴트리언트가 단순히 건강을 지키는 수준이 아니라 퇴행성 질환 심혈관 질환, 당뇨, 암, 인지장애 등을 예방하고 있다는 점을 많은 연구들이 증명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서울대 식품생명공학부 이기원 교수는 ‘뷰티 산업 내 파이토뉴트리언트의 건강상 이점’을 주제로 파이토뉴트리언트가 건기식과 같은 보건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미용 산업에서도 각광받고 있음을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이교수는 최근 연구결과를 통해 파이토뉴트리언트가 자외선 B(UVB)로 인한 피부염과, 광노화에 대항한다는 사실과, 파이토뉴트리언트가 피부미용에 제공하는 이점에 대해서도 공유했다.

지난 9년간 ‘국제 파이토뉴트리언트 심포지엄’을 후원해온 한국 암웨이의 박세준 대표이사는 “한국암웨이와 암웨이 본사에서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온 파이토뉴트리언트의 가치가 영양학을 비롯한 산업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며 “한국암웨이는 앞으로도 국내외 석학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파이토뉴트리언트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이니스트에스티-대원제약,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 개최...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관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23일 이니스트에스티, 대원제약과 함께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오픈하우스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생산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오전 10시 충북 오송에 위치한 이니스트에스티 원료의약품 공장에서, 오후 1시에는 충북 진천에 위치한 대원제약 공장에서 각각 진행됐다. 협회는 참석자들에게 ‘제21대 대선 제약바이오 10대 정책 제안’과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을 위한 K-Pharma의 극복과제(KPBMA Brief)’를 소개하고 산업계의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오송 이니스트에스티 공장은 항생제 생산 시설로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원료의약품 cGMP 생산시설이다. 현장에는 한쌍수 이니스트에스티 사장이 직접 나와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를 맞이했다. 참석자들은 원료공급 안정화와 원료산업 활성화, 불순물 관리와 관련해 많은 질문을 던지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한 참석자는 “원료 자급화를 비롯한 의약품 공급망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국내 생산인프라에 대한 관심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