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와 레저.신간

경희대, 국제 하계 협력 프로그램 GC 2024 진행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의 대표적 국제 협력 프로그램인 ‘Global Collaborative 2024 Summer Program(이하 GC 2024)’이 7월 1일(월)부터 26일(금)까지 진행된다. GC는 해외 석학과 국제기구 고위 실무자들의 차별화된 강의를 통해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경희 캠퍼스에서 만나는 특별한 계절학기다. 올해는 온오프라인 강의와 대면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데, 12개국의 131명의 학생이 경희 캠퍼스를 찾는다.

GC 2024는 7월 1일(월) 11시 청운관 B117에서 개최된 입학식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올해 주제는 ‘세계 평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 갈림길에 선 미래(Global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Future at a Crossroad)’로 △평화와 국제 거버넌스(Peace and Global Governance) △국제 CSR과 지속 가능한 발전(Global CSR and Sustainable Development) △인류와 문명(Humanity and Civilization) 등 세 트랙으로 나눠 총 11개 강좌를 준비했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수강생들이 세계 시민의 역할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리더로 성장할 기반을 쌓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강생의 시야를 확장할 수 있는 강의를 준비했다. 이론과 실천 사례를 융합한 강의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 강의실 안팎의 소통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올해는 GC가 집중해 온 평화와 글로벌 거버넌스, 인류와 문명 등의 주제를 유지하며 그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경영(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과 같은 주제를 추가했다.

평화와 국제 거버넌스 트랙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상을 위한 미학적 리더십 △변화하는 세상의 미래 정치 △미래와 변혁적 리더십의 재구성 등의 강의를 준비했다. 이 트랙에서는 전환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십의 형태와 역할, 미래 정치의 모습 등을 다룬다. 펜실베이니아대 페미나 헨디, 램 크난 교수와 프린스턴대의 존 아이켄베리 교수 등의 세계적 석학과 경희대 김수진, 문돈, 신충식, 정민영 교수 등 관련 분야의 최고 전문가가 함께한다.

올해 신설한 국제 CSR과 지속 가능한 발전 트랙에서는 △지속 가능 개발 목표: 격차 해소와 평등 강화 △ESG와 UN 글로벌 콤팩트 △UN: 글로벌 도전 과제와 시민사회의 역할 △미래인가 붕괴인가: 기후변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 등의 강의가 진행된다. 강의는 국제기구 전문가들과 석학, 경희대 교수진이 맡는다. 경희대 이리나 보코바 석좌교수(전 유네스코 사무총장)와 노트르담대 올리버 윌리엄스 교수, 김찬우 전 기후변화 대사 등과 경희대 박환희, 박용승 교수 등이다. 이들은 기후변화와 같은 지구적 난제로 시작해 지속 가능 개발 목표(SDGs), ESG 등 인류와 사회적 책임 등과 관련한 국제적 노력과 정책 등을 살핀다.

인류와 문명 트랙은 최근의 학문 흐름과 한국문화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트랙이다. △AI와 인문학: 기술, 생태, 문화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적 매력과 독창성 △현대 한국의 다양성 이해 △한국어 Ⅰ·Ⅱ 등으로 구성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이니스트에스티-대원제약,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 개최...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관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23일 이니스트에스티, 대원제약과 함께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오픈하우스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생산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오전 10시 충북 오송에 위치한 이니스트에스티 원료의약품 공장에서, 오후 1시에는 충북 진천에 위치한 대원제약 공장에서 각각 진행됐다. 협회는 참석자들에게 ‘제21대 대선 제약바이오 10대 정책 제안’과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을 위한 K-Pharma의 극복과제(KPBMA Brief)’를 소개하고 산업계의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오송 이니스트에스티 공장은 항생제 생산 시설로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원료의약품 cGMP 생산시설이다. 현장에는 한쌍수 이니스트에스티 사장이 직접 나와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를 맞이했다. 참석자들은 원료공급 안정화와 원료산업 활성화, 불순물 관리와 관련해 많은 질문을 던지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한 참석자는 “원료 자급화를 비롯한 의약품 공급망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국내 생산인프라에 대한 관심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