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0.8℃
  • 구름많음강릉 18.6℃
  • 맑음서울 19.9℃
  • 구름조금대전 21.7℃
  • 구름조금대구 22.5℃
  • 맑음울산 21.6℃
  • 맑음광주 21.1℃
  • 맑음부산 19.7℃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9.3℃
  • 맑음강화 16.4℃
  • 맑음보은 20.3℃
  • 맑음금산 21.2℃
  • 맑음강진군 21.5℃
  • 맑음경주시 24.1℃
  • 맑음거제 20.8℃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꽉 조여 신은 신발, 발등결절종 유발할 수도

산행 초보자 등산화 조여 신으면 발등에 물혹 생길 수도, 발등에 지속적 충격 가할 시 발병

새해를 맞아 건강을 위해 등산을 시작한 김씨(여,40)는 얼마 전부터 발등이 욱신거리는 통증을 느꼈다. 새로 구입한 등산화가 익숙하지 않아서 생긴 일시적인 증상이라 생각하고 무심코 넘겼지만 통증 부위에 작은 혹이 생기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 혹은 점점 커지고 신발을 신을 때마다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 것. 병원을 찾은 김씨는 ‘발등결절종’ 이라는 진단을 받았고, 물혹을 제거하는 시술을 받았다.

‘발등결절종’은 발등의 작은 뼈와 뼈 사이나 관절 부위에 끈적거리는 액체가 가득 차 일종의 물혹이 생긴 증상을 말한다. 평상시 신발을 신을 때 꽉 조이거나, 딱딱한 신발을 신어 발등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발병하는 등 주로 외상에 의해 많이 발병한다. 장시간 발로 걸어 다니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나 군인들에게 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축구나 족구같이 발등에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구기 종목을 자주 즐기는 경우도 발병할 수 있다.

발등결절종은 혹 부위를 특별히 자극하지 않는다면 자연스럽게 크기가 줄어드는 경우도 있고, 건강상으로도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 하지만 외향상 보기 좋지 않고 신발을 신을 때마다 마찰과 압박이 계속 가해지면 혹의 크기가 점점 커져 혈관 주변의 신경을 자극해 극심한 통증이 생기고, 신발을 착용하는 것도 힘들어질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척추 관절 통증질환 특화 용인분당예스병원 이재상 원장은 “결절종은 특별한 원인 없이 관절액이나 힘줄 내의 관절액이 새어 나와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손목이나 발목, 무릎 등 어디서든 발병할 수 있고, 관절액이 가득 찬 경우에는 말랑말랑한 형태가 아닌 뼈처럼 단단한 형태가 돼 불편을 느낄 수 있다”며 “혹이 말초신경 주변에 형성됐을 경우 신경을 압박해 근력이 약화되고 양말을 신을 때 스치는 것만으로도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초기에는 발등과 신발의 마찰을 줄이는 것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평소 신는 신발보다 치수가 큰 신발을 신거나, 발등 둘레를 끈이나 벨크로로 조절해 헐겁게 신어 아픈 부위가 자극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신발을 자주 벗어 발등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이고 손으로 발등을 마사지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시간이 지나도 상태가 호전되지 않고 혹이 커져 생활이 불편하다면 혹의 내용물을 뽑아내거나 압박을 줘서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며 그 외 물혹은 직접 제거하거나 발등의 관절에 원인이 되는 조직을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이원장은 “산행 초보자의 경우 등산화를 꽉 조여 신는 경우가 많은데 발은 우리 몸의 체중을 받치고 있어 혹사당하기 쉽고, 마찰과 압박이 계속 가해지면 다양한 족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발등결절종은 치료 후에도 재발하기 쉬운 만큼 평상시 꾸준한 관리가 중요한데 발 볼이 좁거나 가죽이 딱딱한 신발은 피하고 통증이 발생할 경우 방치하지 말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오해와 편견 큰 조현병, 가족력 있다면? 조현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아직 사회에 만연하다. 하지만 조현병은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정신질환일 뿐, 치료를 잘 받으면서 관리하면 충분히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조현병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고유진 교수와 알아본다. 고유진 교수는 “조현병의 국내 유병률은 약 0.5~1%다.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시작되며, 남성 환자가 여성 환자보다 조금 더 많다. 최근에는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기에 진단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조현병은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증상은 환청과 망상, 혼란스러운 말과 행동이다. 감정이 무뎌지거나 사람들과 어울리기 어려워져 사회생활이 위축되고 감정 기복이 심해지는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조현병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신경생물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부모나 형제가 조현병을 앓고 있는 경우, 태아 바이러스 감염, 출생 시 산소 부족, 극심한 스트레스, 사회적 고립, 약물 남용 등이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뇌의 신경전달물질, 특히 도파민의 불균형이 조현병 증상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조현병의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