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의사소통보조기기 ‘모글AAC’, 업그레이드와 가격인하로 저변확대 기대

지난해 출시되며 화제를 얻은바 있는 한국형 의사소통보조 어플리케이션 ‘모글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의사소통보조기기)’가 기능 업그레이드와 함께 가격도 인하되며 대체 의사소통이 필요한 이들의 불편과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개발사인 모글(대표 박정은)은 자사의 앱 서비스인 모글AAC를 더 많은 계층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이지모드를 탑재한 업그레이드 버전의 모글AAC를 공개했다. 기존 모글AAC가 한글 습득과 학습을 목표로 하는 2세 아동부터 자폐 등 발달지연이 있는 청소년과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과정에 따라 사용자의 특성이나 기능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지모드는 뇌병변 장애 아동, 인지능력이 낮은 자폐 스펙트럼선상의 아동 등 전반적으로 의사소통보조기기 사용에 있어 더욱 단순한 접근이 필요한 이들을 위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기본 8판 모드에 사용자 맞춤으로 기본 제공되는 1,050개의 상징이나 사용자 개인 상징과 사진 등을 사용하는 지원 방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위젯 기능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심플한 8판 기능과 위젯을 통한 문장카드 기능으로 상황에 맞는 언어소통을 배울 수 있다. 위젯 기능은 기존의 2버튼 기기를 대신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사용이 가능토록 했다.

 
모글AAC를 이용할 수 있는 금액도 현저하게 낮아졌다. 지난 10월 최초 출시 당시에는 앱 형태 의사소통 보조기기의 정부지원 방침이 시도된 사례가 없었으나 올해부터 확장된 정부방침으로  지원 보급품목에 포함되어 지원 폭이 커졌다. 이에 따라 지원대상일 경우 4,500원~9,000원대에 이용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가격이 낮아지면서 장애등급에 걸려 커트라인 때문에 혜택을 못 받거나, 자폐는 아니지만 SCD(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인 경우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한글을 배우는데도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모글AAC 개발자인 박정은 대표는 “AAC의 지원범위가 넓어지며 사용 가능한 계층도 보다 많아지게 되어 발달지연 및 장애가 있는 아동만 AAC를 쓴다는 편견의 벽을 조금 더 낮출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며 “모글AAC도 이에 맞춰 이지모드를 추가 개발해 이용자들의 도움이 되도록 했으며, 이 외에 다양한 사업진행 및 어플 개선을 통해 언어 습득에 필요한 많은 이들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모글은 모글AAC 어플 도입 과정에서 선생님들과 부모님들의 직접적인 사용을 위해 함께 개발된 특화된 시스템인 패턴톡 시스템(pattern-talk system)을 사용한 ‘모글북1 : 감정시리즈’를 이달 초 출간해 학교, 센터, 가정에서 아동이 들고 다니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했으며, 모글북 기초와 모글북 사회성 부분을 추가로 개발 중이다. 이 외에도 더 많은 직접적인 개발과 교재, 프로그램, 치료접근법 등의 부가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 대표는 앞으로 이런 특수교육/아동 교구 교재 개발을 위해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여기고 분야가 작은 만큼 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있는 중이며, 궁극적으로 선진국가들의 치료교육(Therapeutic Education)과 같은 형태의 발전에 기반이 되는 틀을 제공하는 발판이 되는 것이 목표임을 공개적으로 내비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암·희귀질환 환자,11,822명 진단, 5,512명 치료, 29,379건의 코호트 데이터 등록 “저는 곤충학자가 되는 게 꿈이에요. 어느 날 사슴벌레를 보았는데, 그때부터 곤충의 매력에 빠졌어요. 어린이날에는 동생과 함께 커다란 테라리움을 만들고 싶어요.” 11살 김현우 군(가명)은 자신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최근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진단받고 치료제를 사용하며 외래 추적 관찰을 받고 있는 현우 군은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을 통해 소아 혈액암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 향상을 위한 유전체 분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치료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치료 플랫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현우 군은 아픔에서 멈추지 않으며 성장하고, 꿈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고 있다. 현우 군처럼, 병마와 싸우면서도 자신만의 꿈을 키워가는 많은 어린이들이 있다. 이러한 어린이들에게 뜻깊은 어린이날을 선물하기 위해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단장 최은화)은 5월 2일, 서울대어린이병원 CJ홀에서 ‘우리들은 자란다’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바랐던 고(故) 이건희 회장의 유지를 이어 받아, 소아암 및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기 위해 진행됐다. 사업단은 이번 행사에서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