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질병관리청

WHO, 대한민국 공중보건위기 대응역량 '우수 평가'....위기소통 분야 숙제도 남겨

WHO 합동외부평가단, 1일 평가 마치고 48개 분야 중 5점 29개(60.4%), 4점 15개(31.3%), 3점 4개(8.3%) 등 최종 결과 발표

대한민국은 메르스 유행 이후 공중보건위기 대응역량이 매우 향상된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위기소통 분야, 우선순위에 따른 자원확보 추진 등은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보건당국은 이같은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 체계 점검을 위한 WHO 합동외부평가' 최종 결과를 바탕으로 미흡한 점을 국가계획에 반영하여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대한민국은 JEE에서 높은 수준의 역량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됐다. 여러 기술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서태평양지역 내 다른 회원국들이 IHR(2005) 핵심역량을 달성하는 것을 지원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JEE 평가단은 최종 결과 보고서를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보건안보 강화를 위한 지역적, 글로벌 수준에서 선도적 역할과 기여 그리고 국내, 지역내 또는 다른 지역의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노력을 지속할 것을 기대했다.


한편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대한민국의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 체계에 대한 객관적인 점검을 위해 WHO 합동외부평가(Joint External Evaluation)를 1주일(8월27일-9월1일)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WHO 합동외부평가단(단장 Ronald St. John 박사, 캐나다)과 국내평가단(단장 지영미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및 국내 유관부처(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원자력안전위원회/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와 토론을 통해 19개 영역별로 평가하고,인천공항검역소, 광명시 보건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1339 콜센터,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 현장방문을 통해 현장대응 역량을 확인하였으며,국내평가단의 자체 평가점수를 토대로 외부평가단과의 토의를 거쳐 평가 점수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각 분야의 개선 및 권고사항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 19개 평가 영역

예방(7)

조기 탐지(4)

신속 대응(5)

기타(3)

1: 국제보건규약 이행을 위한 법률, 정책, 예산

2: 국제보건규약 이행을 위한 조정, 소통, 지지

3: 항생제 내성

4: 인수공통감염병

5: 식품안전

6: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7: 예방접종

8: 실험실 진단체계

9: 실시간 감시

10: 보고체계

11: 인력개발

12: 공중보건위기 대비

13: 공중보건위기 대응

14: 다분야 합동신속대응

15: 의약품 지원 및 보건의료인력 파견

16: 위기소통

17: 검역

18: 화학물질 사고

19: 방사능 사고


 로널드 존 (Ronald St. John) 합동외부평가단장은 “대한민국이 메르스 유행의 경험을 교훈삼아 국가방역체계 개편을 통해 공중보건위기상황에 대한 대응태세를 재정비하였다”고 전제하면서, “높은 접근성과 접종률을 보인 예방접종분야, 감시 및 위험평가 담당과를 신설한 항생제 내성분야,  위기분석국제협력과 및 긴급상황센터(EOC) 신설을 통해 강화된 감염병 위기대응체계,  다양한 훈련과 평가를 시행하는 방사능 사고분야는 매우 인상적이었다”라고 평가하였다.

 

그는 “향후 대한민국이 공중보건위기 관련 지속적인 재정투자 및 시스템 강화, IHR담당관(National focal point)의 다분야 조율․협력 역량 강화, 다분야를 포괄하는 인력개발 지속 추진, 국내외 공중보건위기 시 보건의료인력 및 의약품 교류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권고하였다.

 

-합동외부평가 부문별(19개 항목) 점수

평가영역

지표

점수

법률, 정책, 예산

P.1.1. 법안, 법률, 규정, 지침, 정책 유무 및 기타 정부 기구가 IHR 이행을 충분히 지원하는지 여부

5

P.1.2. IHR(2005)을 지원하는 자국의 법안정책지침과의 조율 등 입증

5

IHR 조정, 커뮤니케이션, 지지

P.2.1. IHR 이행 시 관련 부문의 통합과 조율 과정이 정립되었는지 여부

5

항생제 내성

P.3.1. 항생제 내성(AMR) 감지

5

P.3.2. AMR 병원체에 의한 인체감염 감시

5

P.3.3. 의료감염(HCAI) 관리 프로그램

5

P.3.4. 항생제 사용 관리

4

인수공통감염병

P.4.1. 인수공통감염병/병원체에 대해 감시 시스템

4

P.4.2. 수의사 또는 동물 보건 인력

4

P.4.3. 감염성 및 잠재적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4

식품안전

P.5.1. 식품매개질병 감시대응 체계의 수립·운영

5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P.6.1. 범국가적 인간, 동물, 시설용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관리시스템

5

P.6.2.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훈련체계

4

예방접종

P.7.1. 국가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의 백신 보급률(홍역)

5

P.7.2. 국가의 백신수급체계

5

실험실진단체계

D.1.1. 국가실험실체계를 통한 주요 질병 진단 능력

5

D.1.2. 검체 의뢰 및 이송체계

5

D.1.3. 효과적인 현장 검사 및 실험실 진단

5

D.1.4. 실험실 질 관리체계

4

실시간 감시

D.2.1. 사건 기반 감시 시스템

5

D.2.2. 상호 연계 운영되는 실시간 전자신고 체계

5

D.2.3. 감시 데이터 분석

5

D.2.4. 증후군 감시 체계

4

보고체계

D.3.1. WHO, FAO OIE에 보고체계

5

D.3.2. 국가 내 다분야 정보공유를 위한 협력체계

5

인력개발

D.4.1. IHR 이행을 위한 인력 개발

5

D.4.2. FETP(Fiel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 등 인력 양성 프로그램

5

D.4.3. 인력 개발 전략

4

공중보건위기 대비

R.1.1. 국가 공중보건위기상황에 대한 대비계획 수립 및 이행

5

R.1.2. 우선순위에 따른 자원 확보 및 활용

3

공중보건위기 대응

R.2.1. 국가 공중보건위기상황에 대한 대응 계획 수립 및 이행

5

R.2.2. 긴급상황센터(EOC) 운영

4

R.2.3. 공중보건위기상황에 대한 대응 훈련 수행

5

R.2.4. IHR 규정에 따른 사례관리 절차

4

다분야 합동신속대응

R.3.1.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다분야 협력 체계

5

의약품 지원 및보건의료인력 파견

R.4.1.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의약품 이송에 대한 체계 구축

4

R.4.2.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보건의료인력 파견을 위한 체계 구축

3

위기소통

R.5.1.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소통 계획 및 체계 구축

4

R.5.2. 내부인력 및 협력기관 간 위기소통 및 조정

3

R.5.3. 대국민 위기소통

4

R.5.4. 위기소통과정에서 피해지역사회 참여 보장

3

R.5.5. 적극적인 유언비어 확인 및 대처 방안

4

검역

PoE.1. 검역소의 인력 및 시설 등

5

PoE.2. 검역소의 효율적인 공중보건위기 대응

5

화학물질 사고

CE.1. 화학물질 사고 감시·대응 체계의 수립·운영

4

CE.2. 화학물질 사고관리 환경 구축

5

방사능 사고

RE.1. 방사능·원자력 사고 감시·대응 체계의 수립·운영

5

RE.2. 방사능 사고관리 환경 구축

5


대한민국은 대부분의 분야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았으나, 위기소통 분야, 우선순위에 따른 자원확보 추진 등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8개 분야 중 5점 29개(60.4%), 4점 15개(31.3%), 3점 4개(8.3%).


 - 합동외부평가 결과(영문)

 . Background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or the IHR (2005) are a global legal framework to protect global health security. All Member States are required to develop the minimum core capacities to detect, assess, report and respond to acute public health events and emergencie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the Asia Pacific Strategy for Emerging Diseases (APSED) has been developed to guide Member States to achieve IHR (2005) core capacities since 2005. The APSED has recently been upgraded as the Asia Pacific Strategy for Emerging Diseases and Public Health Emergencies (APSED III) and was endorsed by the Regional Committee Meeting (RCM). APSED III serves as the common regional framework for action to guide all Member States to advance IHR for health security.


The Republic of Korea is fully committed to meeting the IHR (2005) requirements to protect health security. The country is the fifth Member State in the WHO Western Pacific Region to participate in the voluntary JEE, and the first developed country in the region to undergo this process. APSED III is becoming more relevant even fo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following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utbreak in 2015. Many international and regional initiatives have emerged in recent years to further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IHR (2005) to protect global health security, including the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GHSA) launched in 2014 where the Republic of Korea is the current chair of the steering group in 2017.


The IHR Joint External Evaluation (JEE) is one of the core components of the IHR monitoring and evaluation framework, moving from exclusive self-evaluation to joint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 to assess IHR capacities. JEE provides a unique opportunity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multi-sectoral teamwork within the country. This report is the product of the JEE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summarizes the evaluation findings and recommended priority actions for the 19 technical areas in the JEE tool.


The JEE process started with a self-evaluation overseen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JEE Taskforce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in March 2017. Over a 6-month period, the JEE Taskforce worked collaboratively to compile all the information and supporting documents required by the JEE tool to prepare a comprehensive self-assessment report. This was a substantial multi-sectoral effort bringing together ten core ministries through three working-level review meetings, two workshops, as well as numerous consultations with additional ministries. From 27 August to 1 September 2017, the JEE mission took place in the Republic of Korea, where a multi-sectoral team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experts jointly conducted a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s IHR core capacities in the 19 technical areas using the JEE tool.


Main findings
The JEE team was highly impressed by the Republic of Korea’s outstanding effort to prepare for the JEE. It is evident that the Republic of Korea put in considerable time, energy and thought into the preparation of a high-quality self-assessment report, presentations of the technical areas, and the well-planned site visits to demonstrate system functioning. The JEE team unanimously agre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s highly sophisticated systems and capacities in place to address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 threats and public health emergencies. Across the different technical areas, the JEE team noted the Republic of Korea’s significant achievements i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et of legislation, cultivating a strong culture of conducting exercises, and applying innovative technology to public health.


The JEE team assessed the Republic of Korea’s IHR core capacities using the JEE tool, and categorized the majority of the indicators as having sustainable capacity (60.4%) and demonstrated capacity (31.3%), with 8.3% categorized as having developed capacity. However, although the Republic of Korea has achieved high scores, the JEE team cautions on the danger of becoming complacent, as this level of capacity can only be sustained with continued multi-sectoral effort and stable investment in the core public health functions supporting health security.
The MERS outbreak was a major trigger that resulted in 48 reforms to enhance the country’s ability to prevent, detect, and respon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threats and public health emergencies. The JEE team wishes to commend the Republic of Korea for translating their lessons learned from this event into concrete actions, not only revising the legislations but expediting funding and implementing the legislations. The dedicated divisions in KCDC have been established to strengthen event-based surveillance, information collection, risk assessment and emergency operations through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EOC).  During the review, the JEE team noted several strong technical areas with potential for high public health impact. These included well-established systems to maintain high levels of immunization coverage in the population; the use of robust systems to monitor and control outbreaks related to food safety; an impressive national laboratory system equipped with the capability to test a wide range of pathogens from human, food and environmental samples; and dedicated team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AMR) mitigation, surveillance and risk assessment.


The MERS outbreak was also a reminder that even the most sophisticated system can be challenged by public health threats. On this note, the JEE team recognized that even the best systems can still have areas for improvement. One cross-cutting theme the JEE team noted is the need to further strengthen multi-sectoral coordination during a non-infectious disease public health emergency. The Republic of Korea may wish to consider testing the interoperability of different sectors for non-infectious disease responses to ensure that the expected level of coordination can be realized in practice.
Specific areas with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clude prioritizing public health risks and resource mapping, establishing a system for sending and receiving health personnel during a public health emergency, and risk communication, especially related to internal and partner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engagement with affected communities.


However, even in technical areas where the Republic of Korea has achieved developed or sustainable capacities, there are still possibilities for further improvement. One such area to be emphasized is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al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IHR Focal Point (IHR NFP) function and the IHR coordination capacity with other sectors including animal health and environment. Also, although the state-of-the-art point of entry quarantine programme highly impressed the JEE team, the Republic of Korea may wish to consider a paradigm shift for managing public health threats in our highly connected world where global population travels faster than the incubation period of many pathogens. Despite the high capacity of the workforce in the country, it is important to continue investing in the development of a multi-disciplinary workforce under an all hazards One Health approach and strengthen the multi-disciplinary workforce, especially at the local levels. In addition, given the borderless nature of health security, the Republic of Korea may wish to explore having systems in place for reg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sharing of medical countermeasures and health professionals in the case of a large public health emergency.


Conclusions
Health security threats are increasing and becoming more complex to manage. Although the Republic of Korea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our interconnected world, vulnerability is universal. No single country or single agency can manage all the health security threats alone.
The Republic of Korea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capacity in this JE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having sustainable capacity across many technical areas also means there is an obligation to proactively support the other Member States in the region to achieve their core capacities under IHR (2005). Moving forward, the JEE team looks forward to seeing the Republic of Korea play a leadership role at the regional and global level, and continue its commitment to advocate and invest resources domestically and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region and globally to enhance global health security.
In closing, the JEE team wishes to extend their deepest gratitude to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ir thorough preparation, active participation, and open discussion to share their depth and breadth of experiences during this evaluation process.

 

 WHO는 강화된 공중보건위기 대응역량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이 서태평양지역과 글로벌 보건안보 강화를 위해 다른 회원국에 대한 지원과 협력을 강화해줄 것을 요청하였다.합동외부평가단의 평가결과 최종보고서는 약 2개월 후에 WHO 홈페이지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된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합동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미흡한 점을 국가계획에 반영하는 등 후속조치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종근당, 새로운 시도 통했다... 2024 World IT Show에서 ‘메타버스 팩토리’ 열기 후끈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열린 ‘2024 World IT Show’에서 천안공장의 메타버스 팩토리를 공개했다. 종근당은 이번 전시에서 메타버스 팩토리와 최첨단 스마트 제조환경 구축 성과를 전시하여 첨단기술을 산업현장에 접목한 성공 사례를 적극 알리는 자리를 가졌다. 메타버스 팩토리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제 공장과 동일한 쌍둥이 공장을 가상 공간에 구축하는 통합 가상 플랫폼이다.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확장현실(XR) 장비와 메타버스 솔루션을 활용하여 공간적 제약 없이 실제 생산현장과 동일한 수준으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이번 전시에는 3일간 약 65,000명이 방문했으며 종근당 전시 부스에는 약 6,000명이 찾아 메타버스 팩토리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종근당은 전시 부스를 방문한 참석자들이 PC로 제공되는 가상 공간에서 천안공장을 둘러보며 메타버스 팩토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메타버스 기술이 실제 제약 공정에 적용되어 품질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과정을 공개하는 등 생산현장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사례를 입증했다. 종근당 관계자는 "국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