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질병관리청

WHO, 대한민국 공중보건위기 대응역량 '우수 평가'....위기소통 분야 숙제도 남겨

WHO 합동외부평가단, 1일 평가 마치고 48개 분야 중 5점 29개(60.4%), 4점 15개(31.3%), 3점 4개(8.3%) 등 최종 결과 발표

대한민국은 메르스 유행 이후 공중보건위기 대응역량이 매우 향상된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위기소통 분야, 우선순위에 따른 자원확보 추진 등은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보건당국은 이같은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 체계 점검을 위한 WHO 합동외부평가' 최종 결과를 바탕으로 미흡한 점을 국가계획에 반영하여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대한민국은 JEE에서 높은 수준의 역량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됐다. 여러 기술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서태평양지역 내 다른 회원국들이 IHR(2005) 핵심역량을 달성하는 것을 지원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JEE 평가단은 최종 결과 보고서를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보건안보 강화를 위한 지역적, 글로벌 수준에서 선도적 역할과 기여 그리고 국내, 지역내 또는 다른 지역의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노력을 지속할 것을 기대했다.


한편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대한민국의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 체계에 대한 객관적인 점검을 위해 WHO 합동외부평가(Joint External Evaluation)를 1주일(8월27일-9월1일)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WHO 합동외부평가단(단장 Ronald St. John 박사, 캐나다)과 국내평가단(단장 지영미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및 국내 유관부처(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원자력안전위원회/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와 토론을 통해 19개 영역별로 평가하고,인천공항검역소, 광명시 보건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1339 콜센터,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 현장방문을 통해 현장대응 역량을 확인하였으며,국내평가단의 자체 평가점수를 토대로 외부평가단과의 토의를 거쳐 평가 점수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각 분야의 개선 및 권고사항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 19개 평가 영역

예방(7)

조기 탐지(4)

신속 대응(5)

기타(3)

1: 국제보건규약 이행을 위한 법률, 정책, 예산

2: 국제보건규약 이행을 위한 조정, 소통, 지지

3: 항생제 내성

4: 인수공통감염병

5: 식품안전

6: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7: 예방접종

8: 실험실 진단체계

9: 실시간 감시

10: 보고체계

11: 인력개발

12: 공중보건위기 대비

13: 공중보건위기 대응

14: 다분야 합동신속대응

15: 의약품 지원 및 보건의료인력 파견

16: 위기소통

17: 검역

18: 화학물질 사고

19: 방사능 사고


 로널드 존 (Ronald St. John) 합동외부평가단장은 “대한민국이 메르스 유행의 경험을 교훈삼아 국가방역체계 개편을 통해 공중보건위기상황에 대한 대응태세를 재정비하였다”고 전제하면서, “높은 접근성과 접종률을 보인 예방접종분야, 감시 및 위험평가 담당과를 신설한 항생제 내성분야,  위기분석국제협력과 및 긴급상황센터(EOC) 신설을 통해 강화된 감염병 위기대응체계,  다양한 훈련과 평가를 시행하는 방사능 사고분야는 매우 인상적이었다”라고 평가하였다.

 

그는 “향후 대한민국이 공중보건위기 관련 지속적인 재정투자 및 시스템 강화, IHR담당관(National focal point)의 다분야 조율․협력 역량 강화, 다분야를 포괄하는 인력개발 지속 추진, 국내외 공중보건위기 시 보건의료인력 및 의약품 교류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권고하였다.

 

-합동외부평가 부문별(19개 항목) 점수

평가영역

지표

점수

법률, 정책, 예산

P.1.1. 법안, 법률, 규정, 지침, 정책 유무 및 기타 정부 기구가 IHR 이행을 충분히 지원하는지 여부

5

P.1.2. IHR(2005)을 지원하는 자국의 법안정책지침과의 조율 등 입증

5

IHR 조정, 커뮤니케이션, 지지

P.2.1. IHR 이행 시 관련 부문의 통합과 조율 과정이 정립되었는지 여부

5

항생제 내성

P.3.1. 항생제 내성(AMR) 감지

5

P.3.2. AMR 병원체에 의한 인체감염 감시

5

P.3.3. 의료감염(HCAI) 관리 프로그램

5

P.3.4. 항생제 사용 관리

4

인수공통감염병

P.4.1. 인수공통감염병/병원체에 대해 감시 시스템

4

P.4.2. 수의사 또는 동물 보건 인력

4

P.4.3. 감염성 및 잠재적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4

식품안전

P.5.1. 식품매개질병 감시대응 체계의 수립·운영

5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P.6.1. 범국가적 인간, 동물, 시설용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관리시스템

5

P.6.2.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훈련체계

4

예방접종

P.7.1. 국가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의 백신 보급률(홍역)

5

P.7.2. 국가의 백신수급체계

5

실험실진단체계

D.1.1. 국가실험실체계를 통한 주요 질병 진단 능력

5

D.1.2. 검체 의뢰 및 이송체계

5

D.1.3. 효과적인 현장 검사 및 실험실 진단

5

D.1.4. 실험실 질 관리체계

4

실시간 감시

D.2.1. 사건 기반 감시 시스템

5

D.2.2. 상호 연계 운영되는 실시간 전자신고 체계

5

D.2.3. 감시 데이터 분석

5

D.2.4. 증후군 감시 체계

4

보고체계

D.3.1. WHO, FAO OIE에 보고체계

5

D.3.2. 국가 내 다분야 정보공유를 위한 협력체계

5

인력개발

D.4.1. IHR 이행을 위한 인력 개발

5

D.4.2. FETP(Field Epidemiology Training Program) 등 인력 양성 프로그램

5

D.4.3. 인력 개발 전략

4

공중보건위기 대비

R.1.1. 국가 공중보건위기상황에 대한 대비계획 수립 및 이행

5

R.1.2. 우선순위에 따른 자원 확보 및 활용

3

공중보건위기 대응

R.2.1. 국가 공중보건위기상황에 대한 대응 계획 수립 및 이행

5

R.2.2. 긴급상황센터(EOC) 운영

4

R.2.3. 공중보건위기상황에 대한 대응 훈련 수행

5

R.2.4. IHR 규정에 따른 사례관리 절차

4

다분야 합동신속대응

R.3.1.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다분야 협력 체계

5

의약품 지원 및보건의료인력 파견

R.4.1.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의약품 이송에 대한 체계 구축

4

R.4.2.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보건의료인력 파견을 위한 체계 구축

3

위기소통

R.5.1.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소통 계획 및 체계 구축

4

R.5.2. 내부인력 및 협력기관 간 위기소통 및 조정

3

R.5.3. 대국민 위기소통

4

R.5.4. 위기소통과정에서 피해지역사회 참여 보장

3

R.5.5. 적극적인 유언비어 확인 및 대처 방안

4

검역

PoE.1. 검역소의 인력 및 시설 등

5

PoE.2. 검역소의 효율적인 공중보건위기 대응

5

화학물질 사고

CE.1. 화학물질 사고 감시·대응 체계의 수립·운영

4

CE.2. 화학물질 사고관리 환경 구축

5

방사능 사고

RE.1. 방사능·원자력 사고 감시·대응 체계의 수립·운영

5

RE.2. 방사능 사고관리 환경 구축

5


대한민국은 대부분의 분야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았으나, 위기소통 분야, 우선순위에 따른 자원확보 추진 등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8개 분야 중 5점 29개(60.4%), 4점 15개(31.3%), 3점 4개(8.3%).


 - 합동외부평가 결과(영문)

 . Background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or the IHR (2005) are a global legal framework to protect global health security. All Member States are required to develop the minimum core capacities to detect, assess, report and respond to acute public health events and emergencie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the Asia Pacific Strategy for Emerging Diseases (APSED) has been developed to guide Member States to achieve IHR (2005) core capacities since 2005. The APSED has recently been upgraded as the Asia Pacific Strategy for Emerging Diseases and Public Health Emergencies (APSED III) and was endorsed by the Regional Committee Meeting (RCM). APSED III serves as the common regional framework for action to guide all Member States to advance IHR for health security.


The Republic of Korea is fully committed to meeting the IHR (2005) requirements to protect health security. The country is the fifth Member State in the WHO Western Pacific Region to participate in the voluntary JEE, and the first developed country in the region to undergo this process. APSED III is becoming more relevant even fo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following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utbreak in 2015. Many international and regional initiatives have emerged in recent years to further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IHR (2005) to protect global health security, including the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GHSA) launched in 2014 where the Republic of Korea is the current chair of the steering group in 2017.


The IHR Joint External Evaluation (JEE) is one of the core components of the IHR monitoring and evaluation framework, moving from exclusive self-evaluation to joint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 to assess IHR capacities. JEE provides a unique opportunity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multi-sectoral teamwork within the country. This report is the product of the JEE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summarizes the evaluation findings and recommended priority actions for the 19 technical areas in the JEE tool.


The JEE process started with a self-evaluation overseen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JEE Taskforce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in March 2017. Over a 6-month period, the JEE Taskforce worked collaboratively to compile all the information and supporting documents required by the JEE tool to prepare a comprehensive self-assessment report. This was a substantial multi-sectoral effort bringing together ten core ministries through three working-level review meetings, two workshops, as well as numerous consultations with additional ministries. From 27 August to 1 September 2017, the JEE mission took place in the Republic of Korea, where a multi-sectoral team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experts jointly conducted a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s IHR core capacities in the 19 technical areas using the JEE tool.


Main findings
The JEE team was highly impressed by the Republic of Korea’s outstanding effort to prepare for the JEE. It is evident that the Republic of Korea put in considerable time, energy and thought into the preparation of a high-quality self-assessment report, presentations of the technical areas, and the well-planned site visits to demonstrate system functioning. The JEE team unanimously agre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s highly sophisticated systems and capacities in place to address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 threats and public health emergencies. Across the different technical areas, the JEE team noted the Republic of Korea’s significant achievements i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et of legislation, cultivating a strong culture of conducting exercises, and applying innovative technology to public health.


The JEE team assessed the Republic of Korea’s IHR core capacities using the JEE tool, and categorized the majority of the indicators as having sustainable capacity (60.4%) and demonstrated capacity (31.3%), with 8.3% categorized as having developed capacity. However, although the Republic of Korea has achieved high scores, the JEE team cautions on the danger of becoming complacent, as this level of capacity can only be sustained with continued multi-sectoral effort and stable investment in the core public health functions supporting health security.
The MERS outbreak was a major trigger that resulted in 48 reforms to enhance the country’s ability to prevent, detect, and respon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threats and public health emergencies. The JEE team wishes to commend the Republic of Korea for translating their lessons learned from this event into concrete actions, not only revising the legislations but expediting funding and implementing the legislations. The dedicated divisions in KCDC have been established to strengthen event-based surveillance, information collection, risk assessment and emergency operations through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EOC).  During the review, the JEE team noted several strong technical areas with potential for high public health impact. These included well-established systems to maintain high levels of immunization coverage in the population; the use of robust systems to monitor and control outbreaks related to food safety; an impressive national laboratory system equipped with the capability to test a wide range of pathogens from human, food and environmental samples; and dedicated team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AMR) mitigation, surveillance and risk assessment.


The MERS outbreak was also a reminder that even the most sophisticated system can be challenged by public health threats. On this note, the JEE team recognized that even the best systems can still have areas for improvement. One cross-cutting theme the JEE team noted is the need to further strengthen multi-sectoral coordination during a non-infectious disease public health emergency. The Republic of Korea may wish to consider testing the interoperability of different sectors for non-infectious disease responses to ensure that the expected level of coordination can be realized in practice.
Specific areas with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clude prioritizing public health risks and resource mapping, establishing a system for sending and receiving health personnel during a public health emergency, and risk communication, especially related to internal and partner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engagement with affected communities.


However, even in technical areas where the Republic of Korea has achieved developed or sustainable capacities, there are still possibilities for further improvement. One such area to be emphasized is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al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IHR Focal Point (IHR NFP) function and the IHR coordination capacity with other sectors including animal health and environment. Also, although the state-of-the-art point of entry quarantine programme highly impressed the JEE team, the Republic of Korea may wish to consider a paradigm shift for managing public health threats in our highly connected world where global population travels faster than the incubation period of many pathogens. Despite the high capacity of the workforce in the country, it is important to continue investing in the development of a multi-disciplinary workforce under an all hazards One Health approach and strengthen the multi-disciplinary workforce, especially at the local levels. In addition, given the borderless nature of health security, the Republic of Korea may wish to explore having systems in place for reg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sharing of medical countermeasures and health professionals in the case of a large public health emergency.


Conclusions
Health security threats are increasing and becoming more complex to manage. Although the Republic of Korea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our interconnected world, vulnerability is universal. No single country or single agency can manage all the health security threats alone.
The Republic of Korea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capacity in this JE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having sustainable capacity across many technical areas also means there is an obligation to proactively support the other Member States in the region to achieve their core capacities under IHR (2005). Moving forward, the JEE team looks forward to seeing the Republic of Korea play a leadership role at the regional and global level, and continue its commitment to advocate and invest resources domestically and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region and globally to enhance global health security.
In closing, the JEE team wishes to extend their deepest gratitude to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ir thorough preparation, active participation, and open discussion to share their depth and breadth of experiences during this evaluation process.

 

 WHO는 강화된 공중보건위기 대응역량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이 서태평양지역과 글로벌 보건안보 강화를 위해 다른 회원국에 대한 지원과 협력을 강화해줄 것을 요청하였다.합동외부평가단의 평가결과 최종보고서는 약 2개월 후에 WHO 홈페이지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된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합동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미흡한 점을 국가계획에 반영하는 등 후속조치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영석 의원, ‘해외입양기록의 윤리적 이관과 국가책임’ 국회토론회 개최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부천시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오는 7월 7일(월)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해외입양기록의 윤리적 이관과 국가책임」을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서영석 의원을 비롯해 윤후덕, 남인순, 이재정, 김남희, 김선민 의원이 공동주최하며, ‘입양기록 긴급행동(EARS)’, ‘국내입양인연대’, ‘입양연대회의’, ‘한국미혼모가족협회’ 등 국내외 입양인 단체 및 시민사회가 주관한다. 미국, 스웨덴, 프랑스, 호주 등지에서 활동 중인 입양인 대표자들도 온라인을 통해 참여할 예정이다. 2023년 제정된 「국제입양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오는 2025년 7월까지 모든 해외입양기록은 민간 입양기관에서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권리보장원(NCRC)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이는 약 20만 명에 달하는 해외입양인들의 정체성과 가족 정보를 담은 중요한 자료를 국가가 직접 책임지고 관리하게 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관을 앞두고, 입양인 단체와 시민사회는 기록물의 안전한 보존 환경, 당사자 중심의 열람·정보 접근 시스템, 보편적·지속가능한 서비스 기반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열람공간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보험약제 정책·등재 전략 등 공유 ‘2025 보험약가교육’ 개최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3일 양재 aT센터 창조룸1(4F)에서 ‘2025년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보험약가교육’을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협회가 주최한 이번 교육은 제약기업의 약가 및 유관 부서 실무자들에게 보험약제 정책 방향, 약제 등재 전략과 사례 등을 공유, 약가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으며, 이날 90여 명이 참여했다. 노연홍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정부의 정책 방향과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유기적으로 소통되는 오늘의 자리가 제도 개선과 산업 발전의 실질적인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이번 교육이 약가 담당자의 업무 이해도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라고 말했다. ‘보험약제 주요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발표한 보건복지부 김연숙 보험약제과장은 “제약산업의 건전한 성장 및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종합적 관점의 약가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필수의약품 공급 등 사회적 가치 창출 기업을 지원하는 약가제도 마련 방안에 대해 고민하겠다”라고 밝혔다. ‘약제 특성에 따른 신약 등재 전략 수립’을 주제로 발표한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수경 전문위원은 대체제 없는 고가 항암제 등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높이는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기다림이 중요한‘경계선지능’..."또래보다 늦더라도 성취 이뤘을 때 칭찬과 축하를 아낌없이 보내줘야" 경계성지능 아동은 또래보다 학습과 적응 속도가 느리다. 이들에게는 자신만의 속도에 맞는 성장환경이 필요하지만, 진단이 쉽지 않은 특성상 학교와 일상에서 충분한 배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경계선지능 아동의 특징과 어려움, 그리고 가정과 사회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 방안을 소아정신과 홍순범 교수와 알아봤다. 1. 경계선지능이란?지능은 학습에 도움이 되는 능력을 말한다. 경계선지능은 일반적으로 지능지수(IQ)가 지적장애(70 이하) 진단 기준보다 조금 더 높은 ‘70~85’로 측정되는 경우를 일컫는다. ‘장애’로 평가하는 단계는 아니다. 최근 경계선지능 진단을 위해 IQ 뿐 아니라 보다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적 기능 외에도, 의사소통·사회성·자기관리 등 사회활동에 필요한 ‘적응 기능’도 경계선지능의 평가 기준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2. 경계선지능의 특징경계선지능 아동은 지적장애 아동만큼은 아니지만 또래들보다는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 말 그대로 ‘경계 정도’의 애매한 어려움이며, 그렇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어렵다. 처음 입학했을 때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학업이 점점 어려워지는 시점부터 의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