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아동 근시 ”초기 발견, 교정렌즈 조기 착용 중요”

평소 올바른 시(視) 습관 유지도 근시 예방에 효과

국민적 스타로 떠오른 정현 선수의 테니스 입문 동기가 어릴적 약시 극복을 위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다.

 

어린이의 눈 질환은 태반이 약시와 근시다. 아이의 눈은 18세까지는 계속 성장을 하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빠른 교정 및 치료와 함께 부모의 관찰이 중요하다. 새학년을 앞둔 1~2월 겨울방학기간은 평소 미뤄온 자녀 눈 건강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다.

 

부모는 자녀가 TV앞으로 바싹 다가가 시청하거나, 평소보다 눈을 자주 깜박거리거나 찡그린다든지, 학습 시에 집중력이 떨어진 모습이 보인다면 근시가 왔는지를 의심 해봄직하다. 우선, 안과 및 안경원을 방문하여 눈의 건강 및 시력 상태를 진단받는 것이 순서다. 검안을 통해 근시 외에도 다른 눈의 질환을 발견할 수도 있다. 특히 요즘 아동 및 청소년들은 지나친 학습량과 컴퓨터게임,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과다사용으로 예전보다 근시 발병에 취약한 환경이다.

 

근시로 시력이 저하된 경우, 가급적이면 안경을 쓰는 것이 유리하다. 안경렌즈 종합 제조사 케미렌즈는 “18세 이하 연령대의 눈은 성장기에 있어, 아동용 근시완화렌즈 착용으로 근시진행을 부분 완화 시켜줄 수 있다”고 말했다. 원천적인 근시 치유가 쉽지는 않지만 조기 안경 착용이 진행 속도를 더디게 해 급격한 시력감퇴나 저 시력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케미렌즈는 성장기의 아동-청소년 맞춤용 안경렌즈인 '케미 키즈'와 '케미 매직폼 키즈'를 공급하고 있다.

 

`케미 키즈’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독서 등 장시간 근거리 시 생활에서 발생하는 안구조절운동의 부담을 줄이고 안구 피로를 감소시켜 근시 예방을 돕는다. `케미 매직폼 키즈’는 누진다초점렌즈의 누진 가입도 도수 원리를 이용해 근시진행이 시작된 아동의 근시 진행을 완화시켜준다.

 

또한, 이들 케미렌즈는 근시 초래 요인 중 하나인 자외선을 최고 파장대인 400나노미터에서 99.9% 차단하는 `케미 퍼펙트UV’ 기능도 장착했다. 성장기의 눈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수정체 기능이 어릴수록 약하기 때문이다. 성장이 완벽하지 않은 유아나 아동의 눈은 성인에 비해서 자외선에 좋지 못한 영향을 받기 쉽다. 따라서 아동용 근시완화 렌즈는 이 같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춘 안경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자녀의 눈 건강을 위해서 평소 바른 생활 습관을 갖도록 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책은 바른 자세로 30센티미터 이상 떨어져 밝은 조명 아래에서 읽는 습관을 갖도록하고, TV는 아이 눈 높이에 맞게 설치해주고 3미터이상 떨어져서 보게 한다. 컴퓨터 모니터는 30~40분 사용 후 5~10분 정도 쉬게 하는 습관을 길러주도록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방사선 피폭사고 대응 모의훈련 실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5일 가상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사고 재난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방사선 관련 시설에서의 피폭사고 발생을 가정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대응 절차를 정립함으로써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방사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현장훈련의 단점인 공간 제약, 높은 비용, 인력 소모, 일회성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가상 병원 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했다. 플랫폼은 실제 병원 구조와 부서 위치, 환자 흐름 등을 삼차원(3D) 기반으로 디지털 공간에 구현하고, 방사선 피폭사고 발생 시 환자 이동, 진료, 보고 등의 절차를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부서의 동시 접속 및 협업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의훈련이 가능하다. 훈련은 ▲방사성동위원소 노출(핵의학과) ▲방사선발생장치 이상(진단검사의학과 혈액조사기실) ▲방사선 방어 기구 미착용(응급CT 검사실)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참여 부서는 상황 전파, 초기 조치, 원내외 보고, 오염 확산 방지, 재난환자 분류‧진료‧이송 등 정해진 절차에 따랐다. 훈련은 결과 공유 및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