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4 (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하임바이오, 국립암센터 보유 ‘표적항암제와의 병용 대사표적 항암제’ 특허기술 이전

개발중인 대사항암제와 시너지 효과 기대 ,11종의 암종에서 예방 및 치료 효과



'암세포만 굶겨 죽이는’ 4세대 대사항암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 스타트업 ㈜하임바이오(대표 김홍렬)는 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로부터 ‘표적항암제와의 병용 대사표적 항암제’ 특허 기술을 이전 받았다고 1일 공식 발표했다.


이번에 하임바이오가 이전 받은 기술은 하임바이오가 개발중인 대사 항암제의 주요 성분인 ‘고시폴(gossypol)’과 펜포르민(phenformin)’에 ‘시스플라틴(cisplat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등과 같은 기존 표적항암제와 병용했을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항암제다.


실험을 통해 3종 약물의 조합으로 병용 처리할 때,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 보다 암의 증식을 억제하고, 암세포를 사멸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신장암, 간암, 전립선암, 흑색종, 대장암, 폐암, 췌장암, 난소암, 유방암, 위암, 뇌암 등 11종의 암종에서 암 예방과 치료에 효용이 있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국립암센터의 김수열 박사를 필두로 한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로 ‘고시폴, 펜포르민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라는 이름으로 특허를 출원했다.


최근 IPO 주관사를 한국투자증권으로 선정하고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하임바이오는 기존 항암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완치율을 높일 수 있는 꿈의 항암제로 불리는 ‘대사항암제’를 개발 중인 스타트업이다.


 하임바이오가 개발 중인 대사항암제 신약 ‘NYH817100’은 난치성 재발암의 완치율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암센터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폐암, 뇌암, 위암 대사항암제 기술과 국립암센터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췌장암 대사항암제 기술을 이전 받아 개발 중이며 이번 기술이전은 기존의 연관된 기존항암제와의 병용투여에 관한 확장된 효용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하임바이오의 뇌암 치료 관련 핵심 기술은 영국 옥스퍼드대학에서 발행하는 세계적인 신경종양학회지 ‘뉴로온콜로지(Neuro-Oncology)’에 실리기도 했으며, 폐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미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에서 특허를 획득하며 세계 의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안전성평가연구소(KIT)에서 신약 ‘NYH817100’에 대한 비임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IND 임상허가를 거친 후 국립암센터,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과 임상 1상을 할 예정이다. 


하임바이오 기업부설연구소는 이번에 국립암센터로부터 이전 받은 기술에 대한 R&D를 진행해 빠른 시일내에 상용화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헌혈유공기관’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강동경희대학교병원(원장 이우인) 진단검사의학과가 6월 14일(토) 세계 헌혈자의 날을 기념하여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표창은 헌혈 증진 활동에 앞장서 온 개인 및 기관에 수여하는 상이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는 안전한 수혈 환경을 조성하고 혈액 제제를 적정하게 사용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등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표창을 수상했다. 특히 진단검사의학과 산하 수혈관리실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환자 오인 방지를 위한 '환자인식 시스템(PRS)' 도입 ▲안전 절차 강화를 위한 '수혈 체크리스트' 적용 ▲수혈 처방 시 적응증 입력을 의무화하는 전산 시스템 개발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노력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주관한 ‘수혈 적정성 평가’에서 1차와 2차 모두 만점으로 1등급을 획득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졌다. 진단검사의학과 김명희 과장은 “진단검사의학과 모든 구성원이 노력한 결과를 인정받은 것 같아 뿌듯하다”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관리와 지속적인 질 향상을 통해 환자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