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맑음동두천 8.8℃
  • 구름조금강릉 12.5℃
  • 맑음서울 10.7℃
  • 맑음대전 11.5℃
  • 맑음대구 13.3℃
  • 맑음울산 11.4℃
  • 구름많음광주 11.9℃
  • 구름조금부산 13.1℃
  • 구름조금고창 11.6℃
  • 구름많음제주 13.4℃
  • 맑음강화 8.6℃
  • 맑음보은 10.9℃
  • 맑음금산 10.5℃
  • 구름많음강진군 12.3℃
  • 맑음경주시 10.1℃
  • 맑음거제 12.1℃
기상청 제공

휴메딕스, 사상 첫 연매출 786억원 달성

㈜휴메딕스(대표 김진환)가 설립 이래 최대 매출실적을 기록했다.


휴메딕스는 연매출과 4분기 매출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이뤄내며 확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6일 휴메딕스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 2019년에는 786억원, 영업이익은 133억원, 당기순이익 121억원을 기록했으며, 전년대비 각 21%, 24%, 13% 증가했다.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는 매출 690억원, 영업이익 94억원, 당기순이익 88억원을 기록, 전년대비 각 20%, 26%,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분기를 별도로 분석하면, 연결재무제표 기준 전년동기대비 매출 171억원에서 30% 증가한 222억원, 영업이익은 34억원에서 21% 증가한 41억원, 당기순이익은 26억원에서 29% 증가한 34억원을 달성하며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연간 실적과 지난 3분기에 세운 최고 실적을 모두 경신한 수치로, 외형적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결과를 낳았다.


휴메딕스의 고공성장은 주력 사업부인 에스테틱 사업부의 성장이 주효했다. 히알루론산 필러(엘라비에® 프리미어)와 보툴리눔 톡신(리즈톡스), 에스테틱 의료장비(더마샤인 시리즈)의 통합 마케팅 전략이 시장에 적중했으며, 전국으로 확대된 에스테틱 영업 인력을 통해 매출이 실현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부터 관계사 휴온스를 통해 유통 중인 1회제형 골관절염치료제 ‘하이히알원스’도 의료 현장에서 편의성과 효과를 인정받으며 판매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더해 원료의약품 수주 증가와 전문의약품 매출 증가도 성장에 힘을 보탰다.


자회사 파나시도 지난해 보다 31% 증가한 연매출123억원을 기록, 역대 최대 매출로 휴메딕스의 실적 상승에 기여했다.


휴메딕스는 올해도 상승세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고순도 줄기세포 엑소좀 스킨부스터 ‘셀엑소좀’ ▲남성용 비뇨기 필러 ‘더블로필’ ▲리도카인 함유 HA필러 ‘엘라비에 딥라인-L’ 중국 수출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 등 이미 확보한 성장 동력들을 주축으로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을 내겠다는 포부다.


파나시도 유럽 CE, 호주 TGA, 중국 NMPA 등의 까다로운 글로벌 인증을 획득한 ‘더마샤인 밸런스’의 세계화를 발빠르게 추진, 전세계로 퍼지는 ‘K-뷰티’ 트렌드를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휴메딕스 김진환 대표는 “휴메딕스는 체계적으로 설계된 성장 로드맵에 따라 지난해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며 “올해는 더 견고해진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집중해 글로벌 경쟁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성과 창출에 더욱 힘써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말레이시아, WTO/TBT 위원회에서 소주, 탁주 알코올 기준 개정 ...K-주류,아세안 수출길 청신호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탁주와 소주의 알코올 도수 기준을 우리 수출 제품에 맞추어 개정하고 2026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식약처가 요청한 규제 완화 내용이 전면 반영된 것으로 말레이시아 보건부가 11월 12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세계무역기구 무역기술장벽 위원회(WTO TBT)에 참석해 발표했다. 지난 2022년 한국산 탁주(막걸리)와 과일소주의 알코올 도수가 말레이시아 기준보다 낮아 부적합 판정을 받고 수출이 제한되면서 업계는 많은 한국산 주류의 수출 장벽으로 작용하는 말레이시아의 기준 완화를 요청해 왔다. 식약처는 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2022년부터 업계, 대사관 등과 협력하여 말레이시아 측에 의견서를 보내는 등 알코올 도수 기준 완화를 제안하였고, 2023년 4월 말레이시아 보건부가 탁주는 ‘3% 이상’, 소주는 ‘10% 이상’으로 완화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마련 중임을 식약처에 알려왔다. 이에 식약처는 양자회담(2023), WTO TBT 위원회(2023~2025) 등 다양한 외교 채널을 활용해 조속한 기준 개정·시행을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 2025년 10월 말레이시아 정부가 개정안을 최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세브란스병원 남효석 교수,급성 뇌경색 환자..."동맥 혈관 재개통 치료 후 혈압 낮게 유지하면 위험"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남효석 교수<사진>가 최근 발표된 미국심장학회, 대한뇌졸중학회의 급성 뇌경색 진료 지침 개정을 이끌어냈다. 급성 뇌경색은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혈액과 산소량을 줄여 뇌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뇌 손상은 편마비나 언어장애 등 치명적인 후유증을 야기하기 때문에 혈관을 되도록 빨리 뚫어야 한다. 혈전의 양이 많으면 동맥으로 관을 삽입해 혈전을 제거하는 혈관 재개통 치료를 시행한다. 성공적인 재개통 치료 후에는 뇌혈관을 통과하는 혈액량이 과해 일어나는 뇌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수축기(최고) 혈압 관리가 중요하다. 이번 가이드라인 개정 전에는 미국과 유럽의 진료 지침에서 동맥 재개통 치료 후 수축기 혈압을 180㎜Hg 미만으로 유지할 것을 권하고 있었다. 하지만 후향 연구 대부분은 180㎜Hg보다 더 낮게 조절하는 것이 환자 예후에 좋다고 밝혔고 실제 진료에서도 낮은 목표 혈압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효석 교수팀은 2023년 동맥 혈관 재개통 치료를 받은 급성 뇌경색 환자의 혈압을 가이드라인(180㎜Hg 미만)보다 훨씬 낮게 조절하면(140㎜Hg 미만) 예후가 나빠질 위험이 1.84배 올라간다는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연구 결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