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코로나19로 외출자제? 1주일 한 번 장보기, 가능할까?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의 중요성이 무게를 더해가는 시기다. 특히 봄이 다가오면서 벚꽃구경, 야외 나들이 등의 바깥 활동을 줄여달라는 정부의 호소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최대한 바깥출입을 줄이기 위해 1주일에 한번만 장을 보려는 사람들도 늘었다. 하지만 1주일 장보기로 균형 있는 식단을 구성하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비만클리닉 365mc식이영양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1번 장보기로 가능한 건강한 1주일 식단을 알아봤다. 
  
한끼 칼로리는 500~700kcal…현미밥, 잡곡밥으로 구성 
1주일에 한번 장을 볼 때 3가지 품목으로 구분하면 좀더 균형 있는 식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콩나물, 버섯, 양배추, 감자, 당근, 무, 깻잎, 상추, 쌈배추 등의 채소류 ▲된장, 고추장, 간장, 카레, 배추김치, 깍두기 등의 양념류&김치 ▲돼지고기, 소고기, 오징어, 모둠 어묵, 두부 등의 육류 및 해산물, 가공식품으로 구분해 각 끼니마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365mc 식이영양위원회의 조언을 받아, 한국인의 일반적인 식단인 국, 메인 반찬, 밑반찬으로 일주일치 식단 구성안을 소개한다 .  
국은 시금치된장국, 콩나물국, 미역국, 된장찌개, 오뎅탕, 참치김치찌개 등으로 요리하고, 메인 반찬은 소고기&상추쌈, 두부조림, 닭가슴살야채볶음, 오징어볶음, 꽁치구이, 돼지불고기&양배추찜 등으로 구성한다. 
  
밑반찬으로는 시금치나물, 느타리버섯무침, 콩나물무침, 어묵조림, 계란장조림, 감자채볶음, 멸치볶음, 진미채볶음 등을 추천한다. 
  
강은영 영양사는 "외부활동이 줄어든 만큼, 고칼로리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며 "1주일 식단을 짤 때 한 끼당 500~700kcal로 구성하고 백미보다는 현미밥과 잡곡밥 등을 추천한다"고 설명했다. 
  
신선제품, 상하기 쉬운 재료부터 요리 
1주일 장보기에서 중요한 것은 오래 보관하기 어려운 채소류를 먼저 소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추, 깻잎, 오이 등 빨리 상하는 신선제품은 1주일 식단 중 월요일, 화요일 등 앞쪽으로 배치해 소비한다. 그리고 첫 장날의 뒤로 갈수록 당근, 감자, 양파, 양배추 등 장기간 보관 가능한 채소 위주로 식단을 구성한다. 
  
강은영 영양사는 "계란장조림, 어묵조림, 멸치볶음, 진미채볶음 등 3~4일정도 냉장고에 두고 먹을 밑반찬을 준비해 두고 육류는 한 전 조리할 만큼 소분해서 비닐팩에 냉동시켜 보관하면 좀더 신선하고 오래 먹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중에 판매되는 급속 냉동 채소를 활용해보는 것도 좋다. 
  
브로콜리, 껍질콩, 완두콩, 혼합 야채 등을 급속 냉동시켜 보관하면 세포나 조직 파괴를 줄여 식품의 맛과 조직이 유지되고 영양소 파괴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음식 조리시에는 냉동 상태에서 급속 가열해 조리하도록 한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응급의료법 개정안 “신중한 접근 필요” 대한의사협회는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2211254)’에 대해, 의료 현장의 현실과 행정 부담을 고려할 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해당 개정안은 응급의료기관이 운영 상황과 수용능력 등의 정보를 중앙응급의료센터에 통보하고, 이를 응급의료정보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사협회는 개정안의 취지에는 공감하나, 실시간 정보 제공을 의무화하고 위반 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식은 '과도한 행정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병상 가동 현황, 전문인력 가용 여부, 특수 장비 운용 등은 수시로 변동되며, 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시스템 등 기반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방이나 중소 의료기관의 경우 전담 인력조차 확보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행정적 지원 없이 의무만 부과하는 것은 실질적인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진료 가능 여부를 단순 수치로 판단하기 어렵고, 정보 입력 착오나 갱신 지연 등으로 인한 과태료 등은 현장의료진의 위축과 방어적 진료를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의협은 수용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