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7.1℃
  • 흐림강릉 12.8℃
  • 서울 18.8℃
  • 대전 17.1℃
  • 대구 16.2℃
  • 울산 17.0℃
  • 광주 19.3℃
  • 부산 17.1℃
  • 흐림고창 19.2℃
  • 구름많음제주 23.8℃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5.7℃
  • 흐림금산 17.2℃
  • 흐림강진군 19.2℃
  • 흐림경주시 18.8℃
  • 흐림거제 18.1℃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비가 오면 통증 심해지는 무릎 관절, 단계에 맞게 치료해야

연세가 있는 장년층, 혹은 노년층은 비가 오는 것을 귀신같이 안다. 몸이 먼저 느끼기 때문이다. 우리는 흔히 흐린 날을 '저기압'이라고 하는데, 노년층이 비가 오는 날에 무릎 통증을 느끼는 이유도 바로 이 '저기압'과 관련이 있다.


비가 오면서 기압이 낮아지게 되면 우리 몸을 감싸는 공기의 압력도 줄어들게 된다. 외부의 압력이 줄어들면서 반작용으로 신체 내부의 압력은 커지게 되는데 이때 무릎 관절 안쪽의 공간의 압력도 높아지면서 신경을 자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무릎의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비가 오고 기압이 떨어진다고 모두가 무릎이 아픈 것은 아니다. 앞서 말했듯, 주로 장년층 혹은 노년층이 그런 통증을 잘 느끼게 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나이가 들 수록 연골이 닳게 되고 자연스럽게 '퇴행성 관절염'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약학정보원이 발표한 논문에서는 60세 이상 노인의 약 1/3이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다고 한다. 나이를 더 먹고 노화가 더 진행될수록 유병률은 높아져만 간다. 무릎 연골을 사용하다 보면 닳는 건 자연스럽기 때문에 노력한다고 퇴행성 관절염을 피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피하기 힘든 병이라고 대처까지 안일하게 할 수는 없다. 퇴행의 단계에 따라 적합한 치료 내지는 시술이 필요하다.


허동범 원장(무릎관절 전문의)은 "퇴행성 관절염 초기는 연골이 약간만 얇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매 순간 통증을 느끼진 않고 주로 앉았다 일어나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을 느낀다"며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어느정도 가시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넘기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허 원장은 "초기에 대처하면 연골 손상을 그만큼 늦출 수 있기 때문에 경미한 통증이라도 무시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초기의 경우에는 수술까지 하지 않아도 되고 염증을 줄여주고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약물치료와 함께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물리치료, 그리고 가벼운 운동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중기부터다. 연골 손상이 어느정도 진행된 정도라면 계단을 오를 때 뿐만 아니라 평지를 걸을 때도 통증이 느껴진다. 이 시점부터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연골 재생술'이 있다. 기존까지는 잘 사용하지 않는 연골을 채취해 손상부위에 이식하거나 줄기세포에서 재생한 연골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수술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런 수술법에 대해 허 원장은 "초기 줄기세포치료로 재생된 연골은 정상 연골에 비해 약하고, 이식 세포수가 적어 한계가 있다"며 한계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허 원장은 "최근에는 자가골수세포를 이용해 새 연골을 재생시켜주는 연골재생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환자의 골반에서 채취한 자가골수세포를 농축시켜 상처에 주입, 손상된 연골뿌리부터 근본적인 재생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무릎연골 일부를 떼 내 그대로 이식하거나 약한 연골로 대체했던 기존방식과 차별화 된다"고 설명했다.


이보다 퇴행 정도가 더 심할 경우에는 수술로 가야 한다. 기존 관절을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이다. 한국에서는 다소 생소한 개념일지 모르지만 의료선진국인 미국에서는 인공관절 수술이 연간 100만건 정도 시행될 정도로 보편화 됐다.


인공관절 치환수술은 꽤 고난이도다. 그래서 수술 경험이 많은 병원을 찾아야 안전하다. 허 원장은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우 경험이 풍부한 병원은 티타늄이나 코발트 크롬으로 만든 금속 보형물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플라스틱 보형물을 함께 사용하는데, 이렇게 구성된 인공관절은 정상적인 무릎관절의 구조를 그대로 재현해 체중 부하로 인한 하중을 견디며 자극에 유연해 마모를 늦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종근당,문화 투자에도 진심이네..‘종근당 예술지상 2025’작가 선정 종근당홀딩스(대표 최희남)는 21일 서울 충정로 종근당 본사에서 임희재, 조기섭, 지알원 등 3인을 올해의 작가로 선정하고 ‘종근당 예술지상 2025 올해의 작가 증서 수여식’을 가졌다. 올해 선정된 작가들은 각기 다른 시선과 회화적 언어로 현대미술계에 새로운 담론을 제시해왔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작가 선정은 미술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두 차례 비공개 심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45세 이하 회화 작가를 대상으로 독창성과 예술적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3인이 선정됐다. 선정된 작가들에게는 1인당 연간 1천만원의 창작지원금이 3년간 제공되며, 지원 마지막 해에는 기획전을 통해 창작 성과를 발표하는 기회도 주어진다. 임희재 작가는 박제된 동물을 통해 인간의 소유욕과 재현의 딜레마를 회화적으로 탐구하고 유리막 너머로 이를 바라보는 방식에 주목한다. 조기섭 작가는 자연 안에서 느낀 기억과 감정을 은분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겹겹이 쌓아가는 방식으로 화면에 공간감을 만들어낸다. 지알원 작가는 거리 문화인 그래피티 방식으로 문화, 정치, 사회적 충돌과 갈등으로 발생되는 현상을 작업의 소재로 다룬다. 조기섭 작가는 “종근당 예술지상 선정은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용인세브란스병원,정신건강 치료 적응력 평가 위한 디지털 감수성 척도 개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박진영 교수‧박해인 임상심리사)은 최근 디지털 치료 환경에서의 적응력을 평가하는 디지털 감수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했다. 최근 정신건강 분야에서는 치료와 관리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치료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정신건강 앱, 디지털 기반 심리치료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치료 방식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역량, 즉 디지털 감수성이 중요하다. 디지털 감수성이 낮으면 치료의 효과가 저하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기존의 연구들이 다룬 ‘디지털 문해력’이라는 개념이 개인의 기술적 역량에만 집중했고, 기술 활용에 대한 자신감이나 불안감 등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에서 착안해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문해력과 효능감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척도를 제안했다. 이 척도는 ‘용인세브란스 디지털 감수성 척도(YI-DSS)’로 명명해 디지털 혁신이라는 병원의 방향성을 반영하고자 했다. 연구에는 인구통계학적 구성을 고려한 총